생활 속 미소지니

2016. 12. 15. 17:00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여성과 남성의 권리 및 기회의 평등을 주장하는 페미니즘 운동이 한국에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활 속에 깊숙이 묻어 있어 아무렇지 않게 지나쳤던 미소지니(misogyny)가 하나 둘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여성혐오, 수면 위로 떠오르다

 

지난 여름 [각주:1]강남역에서 묻지마식여성 살인사건이 터지고 난 후 우리사회에서는 여성혐오가 사회적인 이슈로 강하게 떠올랐다. ‘여성혐오는 여성에 대한 부정과 비하, 여성에 대한 폭력, 남성 우월주의 사상, 여성의 성적 대상화 등을 포함한 여러 방식으로 등장한다. 이와 비슷한 말로 미소지니(misogyny)’를 쓰기도 한다. 일본식 영어의 우리말 표현인 미소지니는 부정적 의미의 접두사 ‘mis’에 여성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gyn'의 합성어로 문학계의 비평용어로 자주 사용해왔다[각주:2]


여성혐오는 한국에서만 벌어지는 문제는 아니다. 미 대선 캠페인이 뜨거웠던 지난 7, 공화당 전당대회에서는 여성혐오를 버젓이 표시한 티셔츠와 장신구가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Life's a bitch, Don't Vote for One'라는 문구와 힐러리 클린턴의 얼굴을 담은 배지 등은 인기 품목이었다. 정치적 폭력을 조장하고 인종주의자, 여성혐오주의자 전략을 구사했던 트럼프 추종자들은 막말에 통쾌함을 느꼈던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결정된 후 미국에서는 인종, 여성 대상 혐오범죄가 늘어나고 있다.[각주:3] 미국 앨라배마 주에 기반을 둔 인권단체 남부빈민법센터(SPLC)11일 오후 5시까지 언론보도, 사회관계망서비스, 직접 접수로 파악한 증오에 따른 괴롭힘·협박 건수는 미국 전역에서 대선 후 201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슬람 전통 복장 중 하나인 히잡을 쓴 여성이 남성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는 경찰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혐오는 어디에서 오는가

 

혐오는 여성에게만 국한된 것일까. 그렇지 않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자신과 닮지 않은 상대를 공격해 왔다. 이민족을 무찌르고 자신의 종족의 우월함을 과시하면서 인류는 지금에 이른 것이다. 함무라비 법전에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문구가 적혀있을 정도로 인류는 폭력에 대한 해석이 관대했던 적도 있다. 지성으로 문명을 쌓아올린 인류는 비폭력의 가치관을 문명인의 덕목이라 여기고 폭력을 금지하는 규칙을 사회적 법규로 지키며 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 곳곳에서는 아직도 인종 차별, 장애인·아동·여성 등 약자에 대한 공격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여성혐오가 왜 지금 사회적 이슈가 되었을까. 남성 중심 사회였던 과거와 달리 여성이 고등교육을 받고 사회진출을 하면서 남성에 집중되었던 부와 권력이 여성으로 쪼개지기 시작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수렵으로 생계를 유지했던 고대사회를 시작으로 산업혁명 이후 건설 산업발전의 시대에는 물리적인 힘이 강했던 남성이 돈을 벌고, 여성은 출산·육아·살림 등 가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노동으로 성역할을 분담해 왔다. 산업시대의 익숙하고 평범한 가족의 모습이었다. 이 시대에는 여성은 보호 대상이라는 함의가 들어있기도 했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로 바뀌면서 물리적인 힘을 쓰지 않고도 노동의 현장에서 남성과 여성이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시대로 변화한 것이다.


국내 사정도 마찬가지다. 여성들의 대학진학률은 남성보다 높지만, 고용률은 낮다. 지난 2009년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처음으로 남성을 추월, 2014년에는 여성의 대학 진학률이 74.6%로 남성(67.6%)보다 높았지만, 같은 해 고용률은 남성이 71.4%로 여성(49.5%)보다 21.9%가 높았다. 같은 해 고용률은 남성이 71.4%로 여성(49.5%)보다 21.9%가 높았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양성평등지수는 31, 성 격차지수 136개국 중 111위이다. 고위 공직자 여성의 비율은 5%, 공기업 여성 임원 비율 0.6%, 100대 기업 여성 임원 비율 1.9%로 아시아 개도국 중 꼴찌이다.[각주:4]

 

 

#아직 많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젠더 교육

 

그럼에도 정부는 여전히 젠더 교육을 방관하고 있다.[각주:5] 호주 정부는 여성폭력여성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가정과 학교 등에서 남자아이들에게 상대를 존중하도록가르쳐야 한다는 캠페인을 시행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교육부는 지난해 36억 원을 들여 만들었다는 초··고 학생용 학교 성교육 표준안에서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성적 반응에 대한 남녀의 차이를 여자는 무드에 약하고, 남자는 누드에 약하다로 표현하였다. 성폭력 대처법으로는 <이성친구와 단둘이 집에 있을 때 : 단둘이 있는 상황을 만들지 않는다> <지하철에서 성범죄를 당했을 때 : 가방끈을 길게 뒤로 멘다, 실수인 척 가해자 발등을 밟는다> 등이 적혀 있다. 실질적인 도움이 없고 피해자에게 성폭력 책임을 전가하는 내용만 서술되어 있다, 또한, <데이트 비용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남성 입장에서는 여성에게 그에 상응하는 보답을 원하게 마련이다>라는 내용도 담겨있다. 아이들에게 서로에 대한 존중을 가르치기는커녕 성차별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여성혐오에 대한 반발의 최종 지향점은 성평등

 

여성혐오에 대한 반발의 최종 지향점은 성평등이다. 여성을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하지 않으며 모든 개인이 동등한 입장에서 서로 존중하며 대우받길 원하는 것이 목표이다. 우리나라는 조금 늦었지만, 성평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리고 완전한 성평등으로 가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노력이 필요하다.






  1. 올해 5월 17일 새벽, 서울 강남역 인근 주점 공용화장실에서 김모(34)씨가 휘두른 흉기에 여성 A(23)씨가 살해된 사건으로 경찰은 조현병으로 인한 범죄라고 했으나 범인이 “여성에게 자꾸 무시를 당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한 것과 여성만을 범죄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여성혐오 범죄로 보고 있다. [본문으로]
  2. 장현구, ‘트럼프 당선 후 미 증오행위 201건... 통합대신 극심한 분열로’, 연합뉴스, 2016.11.13. [본문으로]
  3. 데이브 재미슨, 공화당 전당대회에서는 여성혐오가 잘 팔린다, 허핑턴포스트 7월 19일 [본문으로]
  4. 채경옥, [매경포럼] 여성이여서 불안한 나라,2016.05.23 [본문으로]
  5. 곽성아, 여성혐오·폭력 심각하지만, 교육부는 ‘젠더 교육’에 아무런 관심이 없다,2016.7.1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