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NIE 이벤트 다독다독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97)

  • AI 전환의 시대,시민에게 필요한 덕목을 묻다

    2025.04.30
  • 세계 언론의 팩트체크 현황 및 전망이 한 자리에

    2025.04.23
  • 바로 보라(Baro Bora), 바른 미디어!

    2025.04.16
  • 포노사피엔스에서 AI 사피엔스로: 미래를 준비하는 첫걸음

    2025.04.09
  • 경기도 미디어교육의 중심,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를 가다

    2025.04.02
  • 이론과 실천의 조화: 교사 연구자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여정

    2025.03.26
AI 전환의 시대,시민에게 필요한 덕목을 묻다

|글. 김혜영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서울시민대학본부 동남권운영팀 팀장)|AI 기술로의 대전환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대를 맞이하여 시민들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시민들은 과연 다가오는 AI 사회를 맞이하기 위하여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이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지난 10월 30일 서울 중구의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24 서울 디지털 시민성 교육 콘퍼런스’가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동 주최하였으며, AI 시대에 필요한 시민 역량과 교육방향을 논의하는 장으로 기획되었다. 시민들을 위한 AI 시대 길잡이를 제공하는 이번 콘퍼런스를 다녀왔다.​​AI 대전환의 시대,시민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AI 전환(AI Transfor..

2025. 4. 30. 10:00
세계 언론의 팩트체크 현황 및 전망이 한 자리에

|글. 심재웅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지난 9월 서울 중구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제 1회 ‘서울 팩트체크 포럼’이 개최되었다. 온라인에 무분별하게 유포되는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대국민적 우려는 비단 우리나라의 일만이 아니다. 이에 미국, 싱가포르, 태국의 팩트체크 현황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서울에서 열렸다. 미디어 이용자에겐 초미의 관심사를 다룬만큼 뜨거웠던 발제와 토론의 현장을 다녀왔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3」에 따르면, 한국은 조사대상 46개국 중 9위에 해당할 만큼 인터넷 허위정보에 관한 우려가 매우 큰 국가다. 이용자의 66%가 인터넷에서 접하는 정보의 사실 여부에 대해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전통 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응답자의..

2025. 4. 23. 10:00
바로 보라(Baro Bora), 바른 미디어!

|글. 박보라 (청주대성초등학교 교사)|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데이터 활용 능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양질의 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교사는 입체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높은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특히 각종 언론사들이 취재를 통해 수집한 공신력 있는 뉴스 정보는 데이터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뉴스 데이터를 축적하여 빅데이터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분석 서비스가 있다면 교사라면 솔깃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빅카인즈’는 방대한 양의 뉴스 데이터베이스에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단순한 기사 검색을 넘어 깊이있는 분석이 가능하다. 알면 알수록 유용한 빅카인즈의 기능 탐색과 실제 수업 적용을 위한 미니 워크숍까지 알차게..

2025. 4. 16. 10:00
포노사피엔스에서 AI 사피엔스로: 미래를 준비하는 첫걸음

|글. 최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강사)|학교 내 미디어와 AI 리터러시 교육은 필요성은 모두가 절실히 느끼지만, 도구나 교재, 기술적 한계 등 현실적인 장벽으로 일선 교실에서 진행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학교 미디어교육 활성화와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중학생 대상의 AI 리터러시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사업의 일환으로 61개의 학교에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본고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수업 진행 내용을 실제 운영 사례를 상세하게 소개한다. 평소 AI 리터러시 교육에 관심 있었다면 눈 여겨 보자.“사람이 스마트해질 때 기술이 돕는다.” (《넷스마트》, 2014) 챗GPT의 등장으로 열린 AI 시대가 불과 2년 만에 우리의 현재이자 미래가 되었다. 사..

2025. 4. 9. 10:00
경기도 미디어교육의 중심,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를 가다

|글. 김만숙 (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 교육연구사)|프랑스의 끌레미, 캐나다의 스마트미디어처럼 해외 미디어교육 우수 사례를 접할 때마다 그 중심에는 미디어교육 전문 기관이 든든하게 자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교육 전문기관은 정부의 정책과 학교 현장의 교육을 긴밀하여 연결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미디어교육의 허브 역할을 하며, 교사와 학생들이 효과적인 미디어교육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국내에도 드디어 올해 3월 경기도교육청 산하 직속 기관으로 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가 신설되어, 국내 최초로 7월 4일 정식 개원했다. 많은 기대 속에서 새롭게 문을 연 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를 본지에서 만나보자. “미디어로 즐겁게, 안전하게, 세상과 소통하다” 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는 학교..

2025. 4. 2. 10:00
이론과 실천의 조화: 교사 연구자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여정

|글. 김세진 (인천 신정초등학교 교사)|국내 최초 미디어교육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전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에 기여한 교육자를 발굴하여 노고를 격려하는 동시에 우수 교육사례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공로를 포상하기 위하여 2024년 을 주최했다. 총 7명의 수상자 가운데 교육부장관상의 영예를 안은 김세진 인천 신정초등학교 교사의 수상 후기를 함께 들어본다.​​교사이자 연구자로서 새로운 여정의 시작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일상이던 그 시절, 여느 때처럼 화면 앞에서 수업하던 어느 날 문득 아이들의 표정이 눈에 들어왔다. 연결된 듯하지만, 어딘가 끊어진 듯한 희미한 표정들. 화면 속 아이들과 나의 모습은 물리적으로 가까워 보였지만, 심리적으로는 너무나 멀게 느껴졌다. 그 거리감을 깨달은 그 ..

2025. 3. 26. 10:00
1 2 3 4 ··· 1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