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6)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8)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책 신문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독서 NIE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16)

  • 미디어 리터러시의 확장과 지속 가능성을 논하다

    2025.10.15
  • 깨어 있는 시민을 기르는 교육 시민다운 교육자로부터 시작돼야

    2025.10.08
  • 미디어, ‘그냥 보지 않는’ 사람으로 성장하기

    2025.10.01
  • 수업 적용 쉽고 활용도 높아 학생들의 미디어 역량 강화에 이바지

    2025.09.24
  • 초등학교에서의 첫걸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첫 시작

    2025.09.17
  • 놀이와 대화로 시작하는 디지털 시민성

    2025.09.10
미디어 리터러시의 확장과 지속 가능성을 논하다

ㅣ배인환(코넬대학교 박사과정)ㅣ 지난 5월 30일 서울대학교 SSK 디지털 소통과 지속가능성 연구단(이하 서울대 SSK 연구단)이연세대학교 바른ICT 연구소(이하 연세대 바른ICT 연구소)와 함께한국프레스센터에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정신건강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본 행사에는 국내외 저명 학자들이 참여해다양한 디지털 소통 방식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이번 심포지엄의 주요 내용을 요약·소개한다. 디지털 미디어의 빠른 발전과 변화 속에서 사람 중심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고자, 지난 5월 국내외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서울대 SSK 연구단과 연세대 바른ICT 연구소는 공동으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정신건강’을 주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

2025. 10. 15. 10:00
깨어 있는 시민을 기르는 교육 시민다운 교육자로부터 시작돼야

ㅣ구미숙(미디어강사&한림대학교 AI·미디어교육 전공)ㅣ 지난 5월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열렸다.다양한 세션이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미디어 다양성·리터러시 특별위원회가 라운드테이블을 주최해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된 유의미한 담론을 나눴다.이번 라운드테이블의 주요 논의 내용을 소개한다. 디지털 플랫폼과 알고리즘 기반 정보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를 단순히 ‘읽는’ 차원을 넘어 비판하고 해석하는 역량을 새롭게 길러야 하는 시대에 놓여 있다. 정보의 진위 판단, 표현 윤리, 데이터 감수성 등 미디어 리터러시는 이제 필수적인 교육 과제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도 핵심 개념 선정, 교수자 역량 기준, 실천적 교수 전략에 대한 공론화는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

2025. 10. 8. 10:00
미디어, ‘그냥 보지 않는’ 사람으로 성장하기

|박희라(인천국제고등학교 교사)| 인천국제고등학교 학생들은 미디어 재현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미디어가 만든 인천 영상과 인천의 실제 모습을 직접 비교하며,지역의 다양한 모습과 미디어가 지역을재현하는 방식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했다.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지역의 문제와 가능성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는 계기를마련한 학습 과정을 따라가 본다. 마계 인천, 고담 대구, 노잼 도시 대전……. 인터넷에 지역을 검색하면 등장하는 키워드들이다. 지역의 일부 특색에 대한 농담으로 시작한 별명 붙이기는, 점차 인터넷과 미디어를 잠식하며 지역에 대한 편견과 비하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그저 인터넷 내에서 일부 누리꾼들이 하는 이야기 아닌가 싶지만, 실제 현실에서도 “인천에 살고 있다”고 밝히면 돌아오는 반응이 1..

2025. 10. 1. 10:00
수업 적용 쉽고 활용도 높아 학생들의 미디어 역량 강화에 이바지

|김영환(배다리초등학교 교사)| 경기도교육청미디어교육센터는 지난해 교수학습자료을 발간했다.11명의 경기도 초등교사가 공동 집필을 맡은 본 자료는 학생들이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미디어 역량 강화에 목표를 두고 있다.초등학교 미디어교육의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특징과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작년 4월 중순, 출장으로 평택에서 세 시간 만에 경의중앙선 풍산역까지 간 적이 있다. 힘들여 도착한 풍산역 맞은편에는 현대미술관 같은 세련된 느낌의 3층 건물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아이보리색 건물 상단에 박힌 ‘미디어교육센터(MEDIA EDU CENTER)’의 명칭과 건물이 주는 이미지는 ‘미디어는 예술이다’라는 느낌으로 다가왔다. ‘이곳에서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무언가가 만들어지고..

2025. 9. 24. 10:00
초등학교에서의 첫걸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첫 시작

|서용리(문덕초등학교 교사)|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서용리 문덕초등학교 교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의뢰로 초등학교 1~2학년 대상 미디어 교구재를 개발했다. 커리큘럼과 교구재 개발 과정, 교구재의 주요 내용과 교육 현장의 반응 등 아이들이 학교에서 처음 만나는 미디어 교구재 탄생기를 소개한다. 초등교사에게 1학년은 기피 학년이다. 끊임없는 아이들의 질문과 사투를(?) 벌이며, 하나부터 열까지 손길이 닿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가장 보람을 느끼게 하는 학년이기도 하다. 아이들에게 1학년 담임교사는 학교에서 처음 만나게 되는 선생님이자 어른이고, 사회를 보는 창이 된다.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는 사람으로 여기기에 아이들은 선생님을 자신이 아는 가장 ..

2025. 9. 17. 10:00
놀이와 대화로 시작하는 디지털 시민성

|이선희(미디어 강사)| 미디어를 접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면서,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확대되고 있다.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과연 무엇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놀이와 대화를 통해 디지털 시민성을 자연스럽게 길러주는 효과적인 방법인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현장의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알파 세대를 넘어 ‘AI 원주민’이라 부르는 유아들.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스마트 미디어 기기 사용 연령이 점차 낮아지면서 미디어는 이제 단순한 오락적 도구를 넘어 교육적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유아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를 이해하고, 소통하며, 능동적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이것이 유..

2025. 9. 10. 10:00
1 2 3 4 ··· 2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