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 NIE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책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10)

  • 체계적인 수업 설계와 충분한 교육 시간 확보로 민주주의의 꽃 피우고 열매 맺어야

    2025.09.03
  • 우리의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민주적 역량 갖춘 ‘디지털 시민성’ 교육

    2025.08.27
  • 세상에 일어나는 많은 일 의심하고 삐딱하게 본다는 건

    2025.08.20
  • 진실보다 거짓이 편한 세상: 가짜뉴스와 행동심리의 함정

    2025.08.13
  • 유권자의 민주주의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2025.08.06
  • 가장 중요한 임무는 시민에게, 경각심 갖고 저질 여론조사 비판에 나서야

    2025.08.06
체계적인 수업 설계와 충분한 교육 시간 확보로 민주주의의 꽃 피우고 열매 맺어야

|박한철(덕성여자고등학교 교사)| 학생들은 미래의 주역이기도 하지만 현재의 시민이기도 하다.학생들의 정치 참여 능력 함양은 곧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를성장시키는 일이기도 하다.학생들의 선거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필자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진행한수업 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과 한계를 확인해 본다. 사람들은 흔히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 ‘민주주의의 학교’라고 말한다. 민주주의가 좋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선거’라는 꽃을 아름답게 피우는 것이 중요하고, 선거에 대해 제대로 배우고, 익히고, 실천해야 민주주의가 제대로 정착될 수 있다는 의미다. 국민을 대표해 일할 사람을 뽑는 선거는 민주 정치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선거를 통해 누가 대표로 선출되느냐에 따라 정책이 달라지고 우리 사..

2025. 9. 3. 10:00
우리의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민주적 역량 갖춘 ‘디지털 시민성’ 교육

|진민정(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 김아미(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독립연구자)| 프랑스의 미디어교육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끌레미(CLEMI)다.끌레미는 ‘끌레미 코디네이터’라는 특별한 직책을두고 학교 현장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뿌리내리는 데 힘쓰고 있다.전직 저널리스트이자 끌레미 코디네이터로활동하고 있는 세브린 퐁세-올리비에를 만나끌레미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운영 방식을 들어보았다. 프랑스 교육 현장에는 ‘끌레미(CLEMI) 코디네이터’라는 독특한 직책이 있다. 이들은 아카데미1) 소속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학교 현장에 뿌리내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단순한 교육 기획자나 행정 담당자를 넘어, 학교와 아카데미, 그리고 국가기관인 끌레미 중앙 본부를 연결하는 중재자이자, 교..

2025. 8. 27. 10:00
세상에 일어나는 많은 일 의심하고 삐딱하게 본다는 건

|모더레이터 김세진(인천신정초등학교 교사) / 사진 김성재(싸우나스튜디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해 아티스트 스텔라장과 협업해 ‘지구는 평평’이라는 곡을 선보였다. 이 곡은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는지, 초등교사이자 미디어 연구가이기도 한 김세진 교사가 곡의 작사·작곡을 맡은 스텔라장을 만나 확인해 보았다. 안녕하세요, 오늘 이렇게 귀한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스텔라장님의 음악은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영감을 전해주고 있는데요, 저를 비롯한 《미디어 리터러시》 독자들에게도 큰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지구는 평평’이라는 곡을 중심으로, 창작자로서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하신 생각과 메시지에 대해 좀 더 깊이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이 곡은 제가 수업 시간..

2025. 8. 20. 10:00
진실보다 거짓이 편한 세상: 가짜뉴스와 행동심리의 함정

|정대영(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미디어의 발달로 누구나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하고 생산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만큼 부작용 또한 커졌다. 그중 가짜뉴스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보 환경과 정치적 의사결정, 사회적 신뢰 시스템 전체를 흔드는핵심적 변수로 작동하는 가짜뉴스. 대중은 왜 그에 주목하며, 대응 방안은 무엇인지 짚어본다.2020년,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정부가 실제 확진자 수를 고의로 축소 발표하고 있다”는 식의 의혹이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었다. 확진자 동선이 누락되었다거나, 병상 상황이 조작되었다는 주장은 각종 음모론을 낳았고, 심지어 방역당국의 공식 발표보다 이러한 비공식 정보가 더 ‘진실에 가깝다’는 인식을 퍼뜨리기도 했다..

2025. 8. 13. 10:00
유권자의 민주주의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글. 최영돈(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선거 때마다 TV 토론이 진행·방송되지만, 이를 제대로 시청하는 이는 드물다. TV 토론은 유권자들이 선거에 참여하고, 민주주의 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절차다. 정치적 메시지를 해석하고 맥락화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실천 현장인 TV 토론의 유의미한 활용 방법을 확인해 본다. TV 토론을 시청하는 과정은 유권자가 정치적 메시지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맥락화하는 능력을 실제로 적용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실천 현장이기도 하다. 대선 후보자 TV 토론은 오늘날 세계 각국에서 유권자와 후보자, 나아가 시민사회와 정치권을 연결하는 핵심적 매개 장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선거 전문 웹포털인 ‘ACE 선거 지..

2025. 8. 6. 15:21
가장 중요한 임무는 시민에게, 경각심 갖고 저질 여론조사 비판에 나서야

| 글.이준웅(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 선거 때마다 언론은 수많은 여론조사 결과를 앞다퉈 보도한다.조사 결과의 홍수 속에서 유권자들이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가려내기란 쉽지 않다. 신뢰할 수 있는 여론조사의 조건은 무엇이며, 이를 제대로 받아들일 방법은 무엇인지,국내 여론조사 현황과 시민의 역할을 짚어본다. 여론조사에 대해 알아야 할 단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한 종류가 아니라는 것이다. 조사의 목적과 내용, 조사 자료의 쓰임새, 그리고 결정적으로 조사 방법에 따라 많은 종류의 여론조사가 있다. 실로 ‘여론조사 결과’라는 용어를 붙이고 나온 숫자들 가운데 서로 같은 것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주요 선거를 앞두고 수행하는 선거 여론조사만 해도, [표]와 같이 조사 기능과 내용에 따라 구분해 볼..

2025. 8. 6. 15:09
1 2 3 4 ··· 1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