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책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공모전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스마트폰 독서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기자(70)

  • 뉴스가 궁금한 학생들, 기자를 만나다!

    2021.11.25
  • 지금 기자에게 필요한 건? ‘인권, 다양성, 젠더에 대한 감수성’

    2019.07.25
  • 미디어교육, 초등학생도 한 걸음부터

    2019.03.19
  • 영자신문 기사와 영어 실력의 관계

    2016.10.31
  • ‘여성과 언론, 자유와 평등의 횃불을 드높이다’

    2016.09.12
  • 세계 역사를 바꾼 두 가지 보도

    2016.03.14
뉴스가 궁금한 학생들, 기자를 만나다!

뉴스는 비타민이다? 뉴스는 물이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뉴스에 대한 정의에서부터, 실제 방송뉴스가 제작되는 과정까지 궁금한 것이 너무너무 많은데요! 그래서! 학생들과 기자가 만나 뉴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오늘 두 학생과 뉴스에 대한 대화를 함께 할 SBS 최재영 기자님을 소개합니다! 학생들을 위해 본인의 취재 수첩도 직접 가져와 보여주셨는데요 영상을 통해 함께 뉴스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러 가보실까요? 기자님이 취재하신 산불화재 현장 뉴스를 같이 보는 두 학생들, 뉴스에 대해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기자님이 생각하는 ‘뉴스란 무엇인지?’에 대한 답도 들어보고 기사를 어떻게 하면 잘 쓸 수 있는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이것 저것 궁금한 학생들의 궁금증을 하나하나 같이 이야기 나누고, 대화 ..

2021. 11. 25. 15:08
지금 기자에게 필요한 건? ‘인권, 다양성, 젠더에 대한 감수성’

언론인의 미디어 리터러시 점검 그동안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으로 이해되면서 그 대상이 미디어 수용자로 한정돼 왔다. 그러나 최근 약자를 향한 혐오 이슈가 보도되는 과정에서 콘텐츠 생산자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또한 강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글 장은미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디지털 시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디지털 퍼스트’, 모바일 퍼스트’를 넘어 ‘모바일 온리’에 이르렀다.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는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 경로를 다양화했을 뿐 아니라 미디어 생산자의 역할에도 변화를 요구했다. 전통적인 콘텐츠 생산 방식에서 미디어 생산자들은 수탁자(trustee) 모델에 기반해, 공중의 알 권리를 위해 그들에게 중요한 뉴스를 선..

2019. 7. 25. 10:24
미디어교육, 초등학생도 한 걸음부터

초등학생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세상을 바라보는 창, 뉴스로 열어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어린 시절부터 미디어를 접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재를 펴내 학생과 교사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미디어는 전례가 없는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미디어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정보의 생산과 수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많아졌습니다. 특히 다양한 미디어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미디어 생산의 문턱이 크게 낮아졌는데요. 예전과는 달리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이런 시대적 ..

2019. 3. 19. 11:53
영자신문 기사와 영어 실력의 관계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주니어헤럴드 에디터 [요약] 공부에는 끝이 없다고 합니다. 제대로 하려고 하면 영원히 해도 부족합니다. 하지만 영자신문 읽기를 본인이 영어를 잘할 때까지 미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영자신문은 영어 달인이 되고 나서 읽는 자료가 아니라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 가는 자료이자 도구입니다. “나는 영어를 잘 못 하니까 영자신문 읽기는 너무 이르다.”라고 생각하기 보다,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 이제부터 영자신문을 읽고 활용해봐야지.”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영어와 영자신문의 관계는 어떨까요? 일단 영어로 작성된 기사이기 때문에 영어 실력이 관건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영어가 모국어인 국가에서는 언어적인 측면보다 글쓰기, 특히 이야기를 풀어내는 능력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

2016. 10. 31. 12:00
‘여성과 언론, 자유와 평등의 횃불을 드높이다’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지난 2일 국회의원회관 세미나실에서 여성언론사를 표상하는 언론인과 이야기하는 ‘여성과 언론, 자유와 평등의 횃불을 드높이다’라는 포럼에 다녀왔습니다. 지금보다 훨씬 척박한 사회 분위기 속 고군분투했던 여기자들의 증언을 들을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2016년, 그 어느 때보다도 ‘여성’이라는 화두가 뜨겁게 오고가는 나날이다. 그 나날들 속에 여성사 박물관의 건립 소식이 들려왔다. ‘한국여성의 역사, 대한민국 미래를 품다’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고 있는 여성사 박물관 건립 추진운동은 여성의 눈으로 여성의 역사를 바라보며 이를 대중화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박물관의 한 칸에는 여성 언론인들의 기록이 담길 예정이다.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불모지로 일컬어..

2016. 9. 12. 13:19
세계 역사를 바꾼 두 가지 보도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교수 이재경 교수의 글입니다. “그 사람은 참으로 특별한 존재였다. 그 어떤 방송기자도 다시는, 회사 안이거나 밖에서나, 에드워드 머로우(Edward Murrow)가 쌓아 올린 명망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데이비드 핼버스텀의 말이다. 1960, 70년대 미국 언론의 거장들을 인터뷰해 쓴 ‘군림하는 권력(The Powers That Be)’이라는 책에서다. 방송기자의 롤 모델 에드워드 머로우는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나는 1996년 뉴욕의 UN본부에서 열린 미디어 관련 포럼에서 그의 이름을 처음 들었다. 1982년부터 TV 기자를 시작했고, 80년대 중반과 90년대 초에는 미국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공부하며 7년여의 시간을 보내기도 했지만 미국 방..

2016. 3. 14. 02:00
1 2 3 4 ··· 1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