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2901) N
    • 웹진<미디어.. (36)
    • 특집 (67) N
    • 수업 현장 (88)
    • 포럼 (81)
    • 해외 미디어.. (65)
    • 언론진흥재단.. (107) N
    • 공지사항 (95)
    • 다독다독, 다.. (2322)
      • 현장소식 (175)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신문 미디어교육 NIE 책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스마트폰 다독다독 다독다독 서포터즈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공모전

최근글

  • 경제 기사, 주의해야 할 점⋯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리터러⋯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

댓글

  • 잘 보고갑니다!
  • 페이스북 구글 잘보고갑니다.
  • 안녕하세요. 파이채굴러입니다. 요기조⋯
  • 안녕하세요. 파이채굴러입니다. 요기조⋯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 2022/05
  • 2022/04
  • 2022/03
  • 2022/02
  • 2022/01

수업 현장(88)

  •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2022.04.18
  • 나를 알고 너를 발견한 소중한 시간

    2022.01.13
  • 디지털 세대의 꿈 찾기, ‘미디어’만 있으면 만사형통

    2021.08.04
  • 뉴스 읽고 신문 만들며 진짜 친구가 됐어요!

    2021.07.30
  • TV 예능 속 ‘남녀 모습’ 무엇이 문제일까요?

    2021.07.27
  • 10대를 위한 슬기로운 유튜브 생활

    2021.04.30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 ​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교 수업 사례 ​ ​ 아직은 다소 생소한 단어일 수 있지만 ‘메타버스’는 최근 미디어, 게임, IT 업계 등에서 뜨거운 화두다. 그런데 업계뿐이 아니다. 교육 현장에서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바로 메타버스에 관심 있는 선생님들이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관한 실험과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초등학교에서 진행된 실제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 ​ 오인선 (인천 천마초등학교 교사) ​ ​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해 가상공간에서 체험해 보도록 수업 내용을 재구성했다. 도시에 필요한 학교, 공원, 상가 등의 위치를 고민하고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서로 협의하고, 도로의 방향과 예상되는 문제점을 정리해 가상의 공간에 만들었다...

2022. 4. 18. 16:41
나를 알고 너를 발견한 소중한 시간

​ 나를 알고 너를 발견한 소중한 시간 초등 4학년생이 만들어간 ‘목요음악방송’ ​ 경남 김해에 위치한 대감초등학교는 전교생 28명의 작은 학교다. 그러나 이곳 선생님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열정과 학생들의 참여 열기만은 그 어느 학교 못지않게 크다. 4학년 학생들의 참여로 매주 이어진 학교 음악방송 제작기를 소개한다. ​ ​ 이경민 (대감초 교사) ​ ​ 7주 동안 목요음악방송을 하면서 서로가 좋아하는 음악이 다르고 서로의 관심사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라는 개인을 표현하면서 ‘너’를 알아가고 ‘나와 너’를 알아가 우리라는 공동체를 알아가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시작은 갑작스러웠다. 사회 과목에서 ‘지역 문제와 주민 참여’라는 단원을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다. 우리 지역의 문제를 이야기하다가..

2022. 1. 13. 14:24
디지털 세대의 꿈 찾기, ‘미디어’만 있으면 만사형통

​ ​ 디지털 세대의 꿈 찾기, ‘미디어’만 있으면 만사형통 중학교 진로 탐색 수업과 미디어 활용 ​ ​ 현재 우리나라는 중학교 1학년을 자유학년제로 지정해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따라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진로 교육이 다른 학년보다도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미디어와 익숙하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이들을 위해 미디어를 활용한 진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현장으로 안내한다. ​ ​ 노애경 (부산개성중 교사) ​ ​ 바야흐로 유튜브 키즈들이 교실에 앉아 있다. 그들의 일상 대부분을 채우고 있는 다양한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아이들은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보다 쉽게 알게 될 것이다. 이런 믿음을..

2021. 8. 4. 17:34
뉴스 읽고 신문 만들며 진짜 친구가 됐어요!

뉴스 읽고 신문 만들며 진짜 친구가 됐어요! 다문화 특성화 학교의 뉴스 리터러시 수업 ​ ​ 초등학생을 상대로 뉴스 리터러시 수업을 하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그것도 다문화 특성화 학교라는 좀 특별한 학교라면? 최근 경기도 한 초등학교에서 진행됐던 뉴스 리터러시 수업을 통해 해답을 찾아보자. ​ ​ 김현경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 ​ ​ 수업의 목표는 한국에 살고 있는 다문화 가족을 차별하거나 혐오하지 말고 함께 잘 살아가자는 깨달음을 아이들로부터 자연스럽게 끌어내는 것이었다. 아이들은 짧지만 울림 있는 목소리로 외쳤다. “다른 것은 있어도 틀린 것은 없다.”, “인종 차별 멈춰! 차별 멈춰! 편견 멈춰!” ​ ​ ​ ​ ​ 포천 조용한 마을에 아담하게 자리한 정교초등학교. 이 학교는 포천 지역에서 ..

2021. 7. 30. 15:56
TV 예능 속 ‘남녀 모습’ 무엇이 문제일까요?

TV 예능 속 ‘남녀 모습’ 무엇이 문제일까요? 초등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 ‘젠더 감수성 키우기’ ​ ​ 우리가 매일 접하는 미디어 속에는 다양한 성차별적 표현과 메시지가 들어 있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지나치기 쉬운 이런 차별들을 어렸을 때부터 계속 접한다면 고치기 힘든 성별에 대한 고정 관념을 지니게 될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를 키우며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춘 ‘젠더 감수성’ 수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소개한다. ​ ​ 김은혜 (송포초등학교 교사/초등성평등연구회) ​ ​ 미디어의 여성 출연자 수가 무척 적고, 그들 모두 마르고 예쁘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던 아이들은 이제 이 사회가 남성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다양한 개성은 남성들의 몫이고 여성의 역할은 ‘웃어주는’ 역할에 그..

2021. 7. 27. 14:09
10대를 위한 슬기로운 유튜브 생활

10대를 위한 슬기로운 유튜브 생활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 강화 교육과정 및 평가지표 개발 ​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하고 대학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자 2020년 ‘대학·지역사회 연계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지원 사업’을 신설했다. 이에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고려대 융합연구원 빅데이터융합연구단의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방법론을 활용한 아동·청소년 유튜브 리터러시’ 연구 사례를 살펴본다. ​ 김형진 (전 고려대 융합연구원 빅데이터융합연구단 교수, 현 명지대 미래융합경영학과 조교수) ​ ​ 무엇보다 아동·청소년이 정보의 품질을 스스로 평가하고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기준에 따른 콘텐츠 소비 및 공유를 할 수 있도록 ..

2021. 4. 30. 17:22
1 2 3 4 ··· 1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