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공모전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기자 뉴스 NIE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독서 미디어교육 미디어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수업 현장(110)

  • 챗GPT, 어렵다고 피하지 말고 일단 써봅시다!

    2024.04.03
  • 인간의 존엄과 사회 공공선을 최우선으로

    2024.03.27
  • ‘대학 전문가-지역 학교’의 하나 된 힘으로 성공적!

    2024.03.20
  • 협력적 소통하며 허위정보 식별 능력 키우기

    2024.03.13
  • 미디어교육은 ‘세상 향한 징검다리 놓기’

    2024.03.06
  • 가짜뉴스 감별법부터 미디어 콘텐츠 제작까지

    2023.12.27
챗GPT, 어렵다고 피하지 말고 일단 써봅시다!

중장년‧노년층 대상 ‘생성형 AI 교육’ ​ written by. 김선미 (굿피플미디어협동조합 총괄이사) ​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챗GPT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이라는 글에서 챗GPT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고민하기보다 “생성 AI로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소개가 더 필요하다고 느꼈다. (중략) 무언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비판의 대상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빠르게 변해가는 기술 발전 앞에서 움츠러들 수밖에 없는 중장년 등 시니어에게 꼭 필요한 조언이다. 중장년 및 노년층을 대상으로 진행된 ‘생성형 AI 교육’ 현장을 소개한다. 수강생들은 스스로 직접 이용하고 느껴본 뒤 생성형 인공지능이자 언어 모델인 챗GPT는 ‘각종 문서를 작성하는 데 유용한 도구’라..

2024. 4. 3. 10:00
인간의 존엄과 사회 공공선을 최우선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개발 ‘인공지능 윤리 교재’ 활용법 written by. 이현경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지능정보사회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 인공지능, 특히 생성형 AI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이와 관련한 윤리적, 법적 쟁점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맞추어 인공지능 윤리 교재를 개발해 올 2월 발표했다. 인공지능 윤리 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교재 활용법을 소개한다. 개발된 초중고 인공지능 윤리 교재는 올해 2월 1,905개의 AI선도학교에 배포됐으며 온라인으로도 무료 공개됐다. ‘인공지능 윤리소통채널’ 사이트에 집필진 교사들의 교재 소개 동영상도 함께 업로드하여 교재를 활용하고자 하는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했다. 2023년..

2024. 3. 27. 10:00
‘대학 전문가-지역 학교’의 하나 된 힘으로 성공적!

한신대 ‘홈 포 유스’ 프로그램 ​ written by. 지원배 (한신대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전공 교수) 이승연 (한신대 교육혁신원 연구교수)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대학 및 지역사회의 교육 인프라 연계를 통해 미디어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 대상 생애주기별 맞춤 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기여하고자 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총 25개 대학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는데, 이중 한신대가 오산 금암초등학교와 공동으로 진행한 ‘홈 포 유스(HOME for Youth)’ 사업 결과를 소개한다. ‘홈 포 유스’의 경우 교수, 교사, 그리고 대학교수 및 초중고 교장단이 자문단으로 도움을 주었기에 성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했다. 이처럼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지역 교사와 대학 전문가의 ..

2024. 3. 20. 10:00
협력적 소통하며 허위정보 식별 능력 키우기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소개 2 ​ written by. 동북 미디어 프로젝트 수업 연구회 ​ 서울 동북고등학교의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동북 미디어 프로젝트 수업 연구회’는 그동안 학교 안팎에서 미디어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다양하고 모범적인 실천 사례를 만들어 왔다. 2023년도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원을 받아 진행된 ‘동북 미디어 프로젝트 수업 연구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학생들은 이번 수업을 통해 협력적으로 소통하면서 탐구형 질문을 스스로 만들고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답을 스스로 찾아보는 과정에서 이론으로 알고 있는 것을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성취했다고 평가했다. ‘동북 미디어 프로젝트 수업 연구회’는 미디어교육 연구와 실천을 위해 구성된 서울 동북고등학교의 학습공동체이다. ..

2024. 3. 13. 10:00
미디어교육은 ‘세상 향한 징검다리 놓기’

장애 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Q&A written by. 지정훈 (신림중 특수교사)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학교 미디어교육 활성화와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매년 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전국의 유치원과 초중고를 대상으로 미디어교육 강사를 파견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별도로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한 운영학교 사업을 운영했다. 이번 원고에서는 특수학급에 출강한 미디어 강사들의 고민을 나누고, 장애 학생 미디어교육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Q&A 형식으로 전달한다. 답변은 신림중에서 근무 중인 지정훈 특수교사가 수고해주셨다. 모든 장애 학생에게 딱 맞는 자료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다. 그러므로 ‘장애 학생을 위한 교재’를 찾기보다 장애 학생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발견하고 그것을..

2024. 3. 6. 10:00
가짜뉴스 감별법부터 미디어 콘텐츠 제작까지

명지전문대 ‘인공지능 오픈AI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 written by. 백재순 (명지전문대 AI빅데이터학과 교수)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대학 및 지역사회의 교육 인프라 연계를 통해 미디어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 대상 생애주기별 맞춤 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기여하고자 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총 25개 대학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는데, 이 중 명지전문대 평생교육원이 진행한 ‘인공지능 오픈AI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사업 결과를 소개한다. 자기효능감 측정 결과,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변화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미디어 경험을 통해 아이들이 또래 친구들에 비해 미디어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2022년..

2023. 12. 27. 18:30
1 2 3 4 ··· 1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