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2903)
    • 웹진<미디어.. (37)
    • 특집 (67)
    • 수업 현장 (88)
    • 포럼 (81)
    • 해외 미디어.. (65)
    • 언론진흥재단.. (108)
    • 공지사항 (95)
    • 다독다독, 다.. (2322)
      • 현장소식 (175)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스마트폰 미디어 다독다독 서포터즈 신문읽기 기자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책 이벤트 신문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NIE 미디어교육

최근글

  • 한국언론진흥재단, ‘군과 미⋯
  •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 개설로⋯
  • 경제 기사, 주의해야 할 점⋯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댓글

  • 잘 보고갑니다!
  • 페이스북 구글 잘보고갑니다.
  • 안녕하세요. 파이채굴러입니다. 요기조⋯
  • 안녕하세요. 파이채굴러입니다. 요기조⋯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 2022/05
  • 2022/04
  • 2022/03
  • 2022/02
  • 2022/01

해외 미디어 교육(65)

  •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2022.05.10
  •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2022.05.03
  •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2022.05.02
  •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2022.01.28
  •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2.01.27
  • 어린이의 권리는 디지털 세상에서도 중요하다!

    2021.04.16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 ​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책 소개-‘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1) ​ ​ 최근 몇 년 새 ‘가짜뉴스’ 문제는 전 세계적 현안이 됐다. 더불어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도 급부상하며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단체에서는 관련 연구를 거듭해 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2021년 말 공동으로 번역 출간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을 소개하며 국내 시사점을 찾아본다. ​ ​ 임영호 (부산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 저자들은 리터러시 배양 과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미디어가 제 역할을 소홀히 했다고 비판한다. 가짜뉴스 논란은 미디어가..

2022. 5. 10. 18:46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 ​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유럽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 ​ ​ 지난해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지속가능하며 안전한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2030 디지털 컴퍼스’라는 중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유럽집행위원회가 주도하는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Safer Internet Forum 2021)’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미래 디지털 사회의 주체가 될 아동과 청소년이 어떻게 하면 인터넷에서 마주할 위험과 기회를 포착하고 잘 대처할 수 있을지 논의하는 장이었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 이수정 (서울대 강사/교육학 박사) ​ ​ 이해 당사자는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라이버시 등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2022. 5. 3. 15:25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일리노이 주, 미국 최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의무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됨으로써 우리나라도 2024년부터는 공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확보됐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근거는 없다. 최근 미국 내 최초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법으로 의무화한 일리노이 주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정부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

2022. 5. 2. 11:00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 ​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캐나다 미디어스마트 ‘20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 ​ 캐나다의 대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관 미디어스마트(MediaSmarts)가 2021년 10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Media Literacy Week)’을 개최했다. 16회를 맞이한 ‘20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 정선임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 서강대 박사과정) ​ ​ “우리의 삶이 훨씬 더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필수가 됐다.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은 온라인에서 접하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대중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거나, 혹은 우리가 미디어와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다.” ​ ​​ ​미..

2022. 1. 28. 09:56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1 저널리즘 주간’ 마이클 데주아니 교수 기조 강연 전문 ​ ​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기간에 열린 ‘미디어교육, 세상을 비추다 (Re:flect)’ 콘퍼런스의 기조 강연자 마이클 데주아니 교수의 강연과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 전문을 싣는다. ​ ​ 마이클 데주아니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 디지털미디어리서치센터 교수) ​ ​ 일부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면 주로 잘못된 정보를 확인하고 방지하는 데, 즉 팩트체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그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정의되어야 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들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비평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안녕하십니까. 오늘 저를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강연할..

2022. 1. 27. 18:00
어린이의 권리는 디지털 세상에서도 중요하다!

어린이의 권리는 디지털 세상에서도 중요하다! 유엔 ‘디지털 환경 관련 아동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 제25호’ 의미와 과제 ​ ​ 최근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디지털 환경과 관련해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논평을 채택했다. 이 논평은 아동의 시민권과 자유, 개인 정보 보호, 차별 금지, 교육, 놀이에 대한 권리 전반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정현선 (경인교대 국어교육과 교수,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소장) ​ ​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 논평 제25호 채택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어린이가 처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위험을 규정하고, 이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입법과 정책 추진, 그리고 사회적 인식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20..

2021. 4. 16. 11:30
1 2 3 4 ··· 1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