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2732) N
    • 웹진<미디어.. (9)
    • 특집 (55)
    • 수업 현장 (81)
    • 포럼 (73)
    • 해외 미디어.. (57)
    • 언론진흥재단.. (39)
    • 공지사항 (94)
    • 다독다독, 다.. (2286) N
      • 현장소식 (174)
      • 이슈연재 (1044)
      • 미디어 리터.. (152) N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영자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다독다독 다독다독 서포터즈 책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기자 NIE 미디어 뉴스 이벤트 종이신문 언론진흥재단 독서

최근글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 체계적 미디어교육 교수법 기⋯
  • 인포데믹 주의하세요! 거짓⋯
  • 미디어 리터러시 SNS 만족도⋯

댓글

  • 안녕하세요 티참작가 입니다. 이제막 시⋯
  • 그건 좀 말이 심한것 같은데요, 님의 생⋯
  • 안녕하세요! 영어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 안녕하세요 클릭몬 김연주입니다. 배너⋯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 2021/02
  • 2021/01
  • 2020/12
  • 2020/11
  • 2020/10

해외 미디어 교육(57)

  • 체계적 미디어교육 교수법 기준 제시

    2021.02.15
  •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2021.01.29
  • 일상 담은 ‘브이로그’ 촬영도 놀이 아닌 ‘노동’

    2021.01.26
  • 현장에서 쌓아올린 국가 미디어교육 정책

    2021.01.06
  • 자율 규제에서 적극 규제로! 아동·청소년 보호를 위한 지침

    2020.12.09
  •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2020.11.18
체계적 미디어교육 교수법 기준 제시

체계적 미디어교육 교수법 기준 제시 미국 PBS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자 인증제 우리나라에서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주목을 받는 가운데 체계적인 교수법이 마련돼야 한다는 현장의 요구가 높다. 이와 관련해 우리에게 시사점이 될 만한 해외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자 인증제를 소개한다. 글 황치성 (웹진 〈미디어 리터러시〉 기획위원, 언론학 박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자로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KQED 티치’에 들어가 8개 과정별로 포트폴리오를 제출하고 심사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초중고 교사, 도서관 사서,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 강사나 큐레이터 등이다. 최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시대적 화두로 부각되면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디..

2021. 2. 15. 10:04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미디어교육 석학 인터뷰] 헨리 젠킨스 USC 교수 한국은 1991년에야 국제연합(유엔)에 북한과 동시에 가입했지만, 1950년부터 유엔 교육사회문화기구(유네스크)에 가입해 활동했다. 2020년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가입 70돌을 맞아 유네스코가 해마다 10월 마지막 주에 개최하는 ‘세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대표회의(GMIL)’를 한국에서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2020년 주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디스인포데믹(허위정보 범람 현상)에 저항하다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다. 글 구본권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모든 시민이 정보를 유통할 때 좀 더 관심을 갖고 책임감을 갖기 바란다. 또 시민들이 각자 의존하는 정보 출처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2021. 1. 29. 17:14
일상 담은 ‘브이로그’ 촬영도 놀이 아닌 ‘노동’

일상 담은 ‘브이로그’ 촬영도 놀이 아닌 ‘노동’ 프랑스 ‘어린이 유튜버 보호법’ 제정 의미 어린이 유튜브 채널이 높은 인기를 끌면서 상업적으로도 성공하는 일이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작년 10월 프랑스에서는 어린이 유튜버의 동영상 출연을 노동으로 규정한 뒤, 어린이의 인권을 보호하고 이들에 대한 노동 착취를 금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법안이 제정됐다. 글 하서린 (다큐멘탈리스트) 16세 이하 자녀와 함께 SNS 콘텐츠를 제작하는 보호자는 콘텐츠의 양과 수익이 일정 기준을 넘어설 경우 행정 허가를 받아야 한다. 승인을 받지 않으면 긴급심리에 회부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우 5년 금고형 및 7만 5.000유로(약 1억원)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프랑스 국회가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어린이 유튜버 보호법..

2021. 1. 26. 17:12
현장에서 쌓아올린 국가 미디어교육 정책

현장에서 쌓아올린 국가 미디어교육 정책 ‘핀란드의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어 번역 소개 2019년 12월, 미디어교육·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선진국 핀란드는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새로운 정책안을 발표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이번 정책안을 해외 최초로(공식 영문판 제외) 번역 출판했다. 번역을 맡은 최원석 전 YTN 기자가 정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최원석 (핀란드 라플란드대학 미디어교육 석사 과정) 정책안은 미디어교육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기 위한 조건으로 현황 파악과 협력을 강조한다. 즉, 실천가 각자가 지닌 전문적 지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분야 전문가와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고 안내한다. 2019년 12월, 핀란드 교육문화부는 《핀란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국가 미디어교육 정책 ..

2021. 1. 6. 13:11
자율 규제에서 적극 규제로! 아동·청소년 보호를 위한 지침

‘자율 규제에서 적극 규제로’ 법·제도 정비 중 호주-인터넷 방송과 아동·청소년 출연자 보호 지난 6월 30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개인 방송에 출연하는 아동·청소년 보호를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 아동·청소년이 출연하는 콘텐츠가 늘면서 각종 인권 관련 문제가 불거지자 아동·청소년 출연자의 인권 보호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해외 동향을 살펴본다. 글 이지영 (호주 캔버라대 뉴스미디어연구센터 연구원) 호주의 온라인 콘텐츠 규제는 인터넷, 모바일, 기타 디지털 기기를 통해 접속 가능한 모든 형태의 온라인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어린이디지털안전위원회는 제재 처분을 받은 온라인 콘텐츠를 해당 사이트에서 삭제 조치할 권한이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6월 인터넷 개인 방송에 출연하는 아동..

2020. 12. 9. 17:12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 나온 책-‘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최근 많이 회자되는 ‘가짜뉴스’라는 용어는 흔히 사용되지만 동시에 매우 부정확한 표현이다. “뉴스란 공중이 관심을 갖는 것 중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데, 이런 기준에 맞지 않는 거짓 정보를 ‘뉴스’라고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 문제로 떠오른 허위정보 문제와 구별법 등을 깊이 있게 다룬 신간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를 소개한다. 글 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 이론과 실습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각 모듈별로 명확한 학습 목표와 학습 결과, 그리고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저널리즘 교재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도 눈에 띈다. ‘가짜뉴스’란 말..

2020. 11. 18. 15:01
1 2 3 4 ··· 1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