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2719) N
    • 웹진<미디어.. (9)
    • 특집 (53) N
    • 수업 현장 (79) N
    • 포럼 (73) N
    • 해외 미디어.. (54)
    • 언론진흥재단.. (36)
    • 공지사항 (94)
    • 다독다독, 다.. (2283)
      • 현장소식 (174)
      • 이슈연재 (1044)
      • 미디어 리터.. (149)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책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기자 신문 영자신문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미디어교육 독서 다독다독 서포터즈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종이신문

최근글

  • 온라인으로 함께 외친 ‘모두⋯
  • 정보 공유·합의로 한국적 미⋯
  •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
  • 미디어교육, 햇살처럼 어디에⋯

댓글

  • 안녕하세요 티참작가 입니다. 이제막 시⋯
  • 그건 좀 말이 심한것 같은데요, 님의 생⋯
  • 안녕하세요! 영어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 안녕하세요 클릭몬 김연주입니다. 배너⋯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 2021/01
  • 2020/12
  • 2020/11
  • 2020/10
  • 2020/09

뉴스(95)

  •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는 최고의 방법!

    2021.01.13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2020.08.19
  •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2020.03.02
  •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2020.02.28
  • 허위정보로 바뀌게 될 세상이 무서워요

    2020.01.15
  • [교육자들의 열린 서재 온더레코드에서 개최된 미디어리터러시 토론회]

    2019.11.15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는 최고의 방법!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는 최고의 방법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학생 지도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19년부터 국민들에게 뉴스 정보를 분별력 있게 이용하고,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다.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에서 수상한 초등학생의 뉴스일기와 이 학생을 지도했던 교사의 지도 과정을 소개한다. 글 이경민 (대감초 교사) 뉴스를 읽으면서 공소시효가 무엇인지 알게 됐다. (중략) 이런 것은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다. 교과서가 아닌 내용을 우리 반은 배우고 있다. 뉴스를 보는 것이 좋은 점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은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특별상 수상자인 박도담 학생의 뉴스일기 일부분과, 박도담 학생을 지도했던 이경민..

2021. 1. 13. 15:21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지난 6월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Q&A 이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남겨주신 다양한 질문들 중 주요 내용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질문들을 선별했으니 주목해주세요! 어떤 언론사의 뉴스를 읽는지는 자유입니다! 특정 언론사로 제한하기 보다는 다양한 논조의 기사를 읽으며 같은 사안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으로 이야기 하는 뉴스를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제2회 뉴스 일기장의 ‘미디어·뉴스 리터러시 이해하기’, ‘ 작성하는 법’에 더욱 상세한 허위정보 구별법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 기록은 뉴스의 출처를 밝히는 것이므로 지원자가 나중에 뉴스를 찾기 위해 필요한 활동입니다. 뉴스의 제목, 날짜, 기자명 등 중요 정보만을 적어두거나, URL을 기록..

2020. 8. 19. 09:19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 토론회 지난 10월 23일 방송회관에서는 전국언론노동조합과 방송기자연합회, KBS, MBC 공동 주최로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팩트체크 저널리즘 강화를 중심으로’란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언론노조가 제안한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 설립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토론회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송현준 (전국언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를 제안하는 이유입니다. 많은 정보가 생산되는 상황에서 언론의 기사 작성을 위한 ‘사실 확인’은 더욱 세밀해지고, 단단해져야 합니다. 특히,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지상파는 더욱 책임감을 느껴야 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언론사 내부의 갈등이야 늘 있..

2020. 3. 2. 11:00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교과 연결 게임 리터러시 수업 부모님 눈을 피해가며 오락실에 드나들던 세대들의 게임과 오늘날 게임에 대한 정의는 완전히 다르다. 현재 게임은 청소년이 즐기는 가장 대표적 문화 활동이라고 한다. 영화, TV처럼 하나의 미디어로서 ‘게임’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교과목과 게임을 연계한 수업도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글 이귀영 (전북 양현고 교사) 게임 문화 비평은 게임을 통해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게임 중독, 욕설, 현질 등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생각을 쓰도록 했다. 사람들이 게임을 어떻게 이용하고, 게임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서 성찰해 보는 시간이었다. 게임은 오늘날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 활동1)..

2020. 2. 28. 18:00
허위정보로 바뀌게 될 세상이 무서워요

성남 삼평중 ‘청소년 저널리즘반’ 활동 “지금의 뉴스 플랫폼은 너무 많은 뉴스와 어뷰징 뉴스로 혼잡해” 있으며, 따라서 앞으로는 “개인별로 맞춤 뉴스를 필요로 할 것.” 꽤 전문적으로 들리지만 이 말은 미디어 비평가가 아니라, 동아리 활동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받은 어느 ‘중학교 1학년생’의 날카로운 분석이다. 꽤나 매력적인 삼평중 동아리 ‘청소년 저널리즘반’의 수업 속으로 들어가본다. 글 조혜영 (미디어교육 전문강사) 청소년 저널리즘반 수업은 뉴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균형 있는 시각을 함양할 수 있으며, 뉴스 이용자의 적극적인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과정으로 구성했다.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지식정보 처리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것이었다. 경기도 성남 삼평중학교의 ‘청소년 저널리즘..

2020. 1. 15. 09:18
[교육자들의 열린 서재 온더레코드에서 개최된 미디어리터러시 토론회]

지난 8월 22일 서울 대학로 공공그라운드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제로 다양한 기관, 조직 관계자들이 터놓고 이야기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교사, 도서관 사서, 기자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유관기관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의견과 현장에서 느낀 고충 등을 자유롭게 나눴는데요, 그 현장의 이야기 자세히 보러 가실까요? 클릭이 돈 되는 시대, '가짜 뉴스' 잡으려면 '미디어 리터러시'부터 알아야 클릭이 돈이 되는 시대, 온라인 공간에 아주 매력적인 뉴스... www.ytn.co.kr 기사 출처 : YTN(사회) 서정호 기자 YTN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Uo6U0 #허위정보 #협업의_필요성 #설득과이해 #미디어교육 #뉴스 #미디어 #YTN #미..

2019. 11. 15. 16:39
1 2 3 4 ··· 16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