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2903)
    • 웹진<미디어.. (37)
    • 특집 (67)
    • 수업 현장 (88)
    • 포럼 (81)
    • 해외 미디어.. (65)
    • 언론진흥재단.. (108)
    • 공지사항 (95)
    • 다독다독, 다.. (2322)
      • 현장소식 (175)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스마트폰 미디어 다독다독 서포터즈 신문읽기 기자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책 이벤트 신문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NIE 미디어교육

최근글

  • 한국언론진흥재단, ‘군과 미⋯
  •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 개설로⋯
  • 경제 기사, 주의해야 할 점⋯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댓글

  • 잘 보고갑니다!
  • 페이스북 구글 잘보고갑니다.
  • 안녕하세요. 파이채굴러입니다. 요기조⋯
  • 안녕하세요. 파이채굴러입니다. 요기조⋯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 2022/05
  • 2022/04
  • 2022/03
  • 2022/02
  • 2022/01

언론진흥재단 소식(108)

  • 한국언론진흥재단, ‘군과 미디어’ 연수 진행하다!

    2022.05.19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2022.05.16
  •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실천·지도 매뉴얼 알아보아요!

    2022.05.13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유권자가 바라보는 선거보도

    2022.05.13
  •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2022.05.11
  • [웹진 다시보기]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2022.04.29
한국언론진흥재단, ‘군과 미디어’ 연수 진행하다!

​ ​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방부 소속 국방정신전력원이 협업해 공보정훈병과 장교들을 대상으로 4월 25일과 26일 이틀간 재단 미디어교육원에서 ‘군과 미디어’ 연수를 진행하였습니다. ​ ​ ​ ​ 언론학자, 국방 담당 현직기자와 미디어담당 기자, 작가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번 연수는 언론의 기능, 미디어리터러시 등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주제와 보도자료 작성, 기자 소통법 등 공보 실무자를 위한 과정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 ​ ​ ​ 첫날은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의 ‘미디어와 선전’, SBS 박수진 기자의 ‘뉴미디어 시대의 뉴스-MZ는 어떤 뉴스를 원할까?’, 세명대 심석태 교수의 ‘공보 실무자를 위한 언론의 기능과 언론윤리 법제’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둘째 날은 JTBC 김민관..

2022. 5. 19. 11:26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 한국언론학회 집담회-‘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 ​ ​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자와 실무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이는 미디어 생태계가 너무나도 빠르게 변하고 있고, 광범위하게 미디어 활용이 늘어나면서 하나의 특정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내리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운영에 더 큰 주의를 기울이면서 정작 개념적 정의와 관련해서는 근본적인 논의의 장이 자주 마련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 ​ ​ ​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연구회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근본적..

2022. 5. 16. 13:40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실천·지도 매뉴얼 알아보아요!

​ 하루종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아이들과 씨름 중이신가요? 미디어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는 아이들이 걱정되지는 않나요? 오늘은 우리 아이들이 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실천·지도 매뉴얼을 알아보겠습니다! ​ ​ 에 따르면, 만 3~9세 어린이의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시간은 4시간 45분(284.6분)1)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어린이 미디어 이용시간’ 기준을 훌쩍 넘어설 정도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미디어 세상에서 태어나 자라고 매일 미디어와 인사하는 우리 아이들의 올바른 미디어 이용 습관을 위해 부모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이를 위해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실천·지도 매뉴얼에는 아이..

2022. 5. 13. 17:38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유권자가 바라보는 선거보도

6월 1일은 전국동시지방선거날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1,000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엠브레인퍼블릭 대행, 조사기간: 2021.11.22.~2021.11.26.) 언론의 선거보도에 대한 인식, 허위정보와 팩트체크 등에 대해 설문조사한 연구1)에 따르면 72%가 선거관련 정보는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의 뉴스섹션에서 가장 많이 접한다고 답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텔레비전 59.2%, 구글 등 검색사이트 47.5%, 유튜브 35.9%를 통해 선거관련 정보 이용이 이뤄지고 있었으며, 텔레비전을 제외하면 디지털 플랫폼이 선거관련 정보 이용의 중심축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선거 관련 가짜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유권자는 45.7%로 절반에 가까웠습니다. 허위정보 및 가짜뉴스의 영향력을..

2022. 5. 13. 09:16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 ​ 프랑스 끌레미(CLEMI, 미디어 정보 교육 연계 센터) ‘2022년 언론 주간 교육 가이드’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 ​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 ​ ​ ​ 정보 통신 사회에서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정보에 입각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프랑스 ‘학교에서의 미디어와 언론 주간’이 지난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됐다. 2022년의 언론 주간의 주제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정보 얻기‘로, 올해의 테마를 위해 끌레미는 교육 가이드를 배포했다. 교육 가이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 ​ 첫 번째는 ‘표현의 자유에 대해 질문하기’다.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에서 때때로 통제되지 않는 표현과 마주하게 되면 표현의 자유의 한..

2022. 5. 11. 09:20
[웹진 다시보기]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2022 학교미디어교육 주간 ‘미디어교육 국제 세미나’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배상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 ​ 학교미디어교육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가 지난 1월 20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됐다. 다양한 논의가 오간 이날 세미나의 핵심 행사였던 런던정경대 소니아 리빙스턴 교수의 ‘디지털 환경의 아동 권리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의 국제 동향 및 과제’ 주제 강연과 특별 대담 내용을 키워드 중심으로 소개한다. ​ ​ ​ ​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동 권리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격차를 목격하게 된다. 디지털 소외 계층은 더 소외되고 가진 자는 더 많이 갖게 되는 현상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모든 아동·청소년에게 디지털 인프라의 제공뿐만 아니라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2022. 4. 29. 18:17
1 2 3 4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