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내 친구 '미리'가 소개하는 AI 할루시네이션 대처법

2025. 8. 22. 10:00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민혁입니다 :)

입추가 지난 지도 이제 2주가 다 되어가네요!

오늘 블로그에서 다뤄볼 주제는 바로 'AI'인데요!

AI 사용 현황은 해를 거듭할수록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2.4%에서 2024년에는 약 60%가 넘는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렇게 증가하는 AI 사용 비율과 비례해 문제가 되는 현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인공지능 환각'이라고도 불리는 AI 할루시네이션 현상입니다!

아래 두가지 예시 통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사례① 챗GPT를 활용해 가짜 판례에 의존한 변호사

미국의 슈워츠 변호사는 챗GPT를 이용해 항공사에 대한 소송 서류를 작성했으나,

챗GPT가 알려준 내용에는 존재하지 않는 판례와 가상의 판사 이름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로 인해 해당 변호사는 법원에서 징계까지 받았다고 합니다.

이후 논란이 확산되자,

슈워츠 변호사는 25일 “업무를 ‘보완’하기 위해 챗GPT에 자문을 구했다”고 뒤늦게 시인했는데요.

챗GPT에게 반복적으로 해당 판례가 진짜인지 물어봤고

그때마다 챗GPT가 ‘그렇다’고 답해 진위를 의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례② 챗GPT가 지어낸 세종대왕의 맥북프로 던짐 사건

다른 사례로는,

챗GPT에게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세종대왕의 맥북프로 던짐 사건에 대해 알려줘."라고

가공의 사건을 질문하자,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일화로, 15세기 세종대왕이 새로 개발한 훈민정음(한글)의 초고를 작성하던 중

문서 작성 중단에 대해 담당자에게 분노해 맥북프로와 함께 그를 방으로 던진 사건입니다” 라고

거짓으로 대답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Google Cloud에서는 "AI 모델이 생성하는 잘못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결과"를

'AI 할루시네이션'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KPMG와 호주 멜버른 대학교가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47개국 48,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AI를 신뢰하고 있다고 발표했는데요.

조사 표본이 47개국인 점을 감안한다면, 그 비율이 적지 않습니다.

법률자금 조달 서비스 글로벌 기업 익스프레스 리걸 펀딩(Express Legal Funding)에 따르면,

의료, 법률 등 전문적인 분야에서는 AI 신뢰도가 높지 않지만,

진로, 제품추천, 교육 등 일상생활 범위에서는 AI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즉,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AI를 사용하면서 특정 뉴스를 접할 때나 정보를 접할 때,

AI 할루시네이션에 나도 모르게 노출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나도 모르게 AI 할루시네이션에 노출될 때

허위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대처법에 대해

최근 유행했던 숏폼 영상으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D

 

 

 

 

영상에서 소개드린 것처럼 AI 할루시네이션에 노출될 때 허위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쉬운 대처법은 바로 '공신력 있는 사이트에서 한번 더 검증해보기'입니다!

정부기관이나 학술기관, 공신력있는 언론사 등에서 해당 내용을 한번 더 검색해 보는 건데요.

이 방법만 이용하더라도 하나의 출처만 믿지 않고 거짓 정보를 판별할 수 있는 안목이 생기기 때문에

더욱 쉽고, 빠르게 미디어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안전하고 건강한 미디어 사회로 나아가는 한걸음!

간단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Trust, attitudes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global study 2025

Given the transformativ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on work, education and societ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ublic’s trust and attitudes towards AI, their experience of the impacts from AI use, and their expectations f

figshare.unimelb.edu.au

 

 

How People Use & Trust ChatGPT in 2025: AI Study Results

ChatGPT survey reveals how people use and trust the AI bot for legal, medical, and financial advice—plus key trends by age, gender, and income.

expresslegalfunding.com

 

 

30년 경력 美변호사도 챗GPT 가짜 정보에 당했다

30년 경력의 미국 베테랑 변호사가 법원에 서류를 제출하면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사용해 판례를 인용했다 제재를 받을 처지에 놓였다. 챗GPT를 통해 인용한 판례가 실제로 존재하

www.donga.com

 

 

세종대왕이 맥북을 던져?…챗GPT의 ‘환각’에 속지 않으려면

챗지피티(ChatGPT) 열풍 속 인공지능(AI)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도 커지고 있다. 챗지피티는 “과거 인터넷 발명만큼 중대한 발명이 될 수 있으며, 우리의 세상을 바꿀 것”(빌 게이츠 마이크로소

ww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