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리터러시(3)
-
[미리미리 6탄] 게임 리터러시! 올바른 게임 이용법
www.youtube.com/watch?v=Ag-f-0Nio6Y 미리미리 게임상담소 OPEN! 올바른 게임 이용은 건강한 취미가 될 수 있다는데? 게임 업계 개발자, 기획자, 마케터가 한 자리에 모여 게임에 대한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 모두 영상을 시청하고 게임 리터러시 LEVEL UP ✌ *영상과 무관한 내용, 도배, 외모비하, 욕설 등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게임리터러시 #미리미리 #게임교육
2020.12.01 -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교과 연결 게임 리터러시 수업 부모님 눈을 피해가며 오락실에 드나들던 세대들의 게임과 오늘날 게임에 대한 정의는 완전히 다르다. 현재 게임은 청소년이 즐기는 가장 대표적 문화 활동이라고 한다. 영화, TV처럼 하나의 미디어로서 ‘게임’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교과목과 게임을 연계한 수업도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글 이귀영 (전북 양현고 교사) 게임 문화 비평은 게임을 통해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게임 중독, 욕설, 현질 등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생각을 쓰도록 했다. 사람들이 게임을 어떻게 이용하고, 게임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서 성찰해 보는 시간이었다. 게임은 오늘날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 활동1)..
2020.02.28 -
‘중독’ 손가락질 전에 ‘올바로 즐기기 교육’부터
게임 과몰입과 리터러시 교육 세계보건기구 WHO가 2022년부터 게임이용장애를 공식 질병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한 뒤 게임업계의 반발이 거세다. 그러나 과도한 게임 이용이 ‘중독’이냐 아니냐를 정의하기보다는 지나친 게임 몰입과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방지하고 해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즉, ‘게임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글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세계보건기구(WHO)가 2019년 5월 25일 ‘게임이용장애(gaming disorder)’를 질병에 포함하는 국제질병분류 제11차 개정안(이하 ‘ICD-11’)을 통과시켰다. 게임이용장애는 도박 중독과 함께 중독성 행동장애(disorders due to addictive behaviours) 범주에 포함된..
201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