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시민성(2)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디지털 생태계와 인권의 문제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홍남희(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매일매일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하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는 더욱 진보한다. 동시에 혐오 표현, 사이버 괴롭힘 등 사회적, 윤리적, 인권의 문제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인터넷 초기부터 악성 댓글이나 혐오 표현, 허위정보, 사이버 성폭력 등의 문제는 있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가 더욱 불거지는 이유는 수많은 개인들이 생산한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가 유통되는 미디어 환경과 수많은 정보 속에서 더 많은 대중의 눈을 끌기 위한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정보의 생산, 그리고 그것이 독려되는 ‘주목 경제’의 기술적..
2022.07.22 -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넘어 ‘디지털 시민성’으로 디지털 생태계와 인권의 문제 미디어는 진화한다. 매일매일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하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는 더욱 진보한다. 동시에 혐오 표현, 사이버 괴롭힘 등 사회적, 윤리적, 인권의 문제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는 ‘디지털 시민성’ 개념과 디지털 세상 속 인권 이슈를 살펴보았다. 홍남희(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모든 시민이 온라인에서 안전할 권리, 시민으로 동등하게 참여할 권리로서 디지털 시민성은 미디어 활용 능력을 넘어 미디어를 매개로 한 삶에서 시민 상호 간의 윤리와 존중, 인권의 가치를 중시하는 담론으로 확장된다. 우리의 일상은 각종 스마트 기기와 항시 연결되어 있다. ..
20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