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6)
-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미디어교육 석학 인터뷰] 헨리 젠킨스 USC 교수 한국은 1991년에야 국제연합(유엔)에 북한과 동시에 가입했지만, 1950년부터 유엔 교육사회문화기구(유네스크)에 가입해 활동했다. 2020년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가입 70돌을 맞아 유네스코가 해마다 10월 마지막 주에 개최하는 ‘세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대표회의(GMIL)’를 한국에서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2020년 주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디스인포데믹(허위정보 범람 현상)에 저항하다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다. 글 구본권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모든 시민이 정보를 유통할 때 좀 더 관심을 갖고 책임감을 갖기 바란다. 또 시민들이 각자 의존하는 정보 출처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2021.01.29 -
알쏭달쏭 포털뉴스 배열원리, '뉴스알고(NewsAlgo)'로 체험해보아요
'포털 뉴스 배열 원리' 알려드려요 언론진흥재단 '뉴스 알고리즘 개발' 시범수업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16년부터 3년간 ‘뉴스트러스트위원회’를 운영하며 저널리즘 가치에 기반한 뉴스 배열 알고리즘을 개발해 공개했다. 이렇게 탄생한 ‘뉴스알고’ 프로그램을 이용해 포털 화면에 나타나는 뉴스 배열의 원리 등을 직접 체험해보는 수업을 소개한다. 글 윤현옥 (미디어교육 강사) “프로그램이 정한 기준에 따라서 뉴스 기사에 점수를 매긴다는 것이 신기했다. 가중치를 다르게 매기면 그에 따라 점수가 바뀌는 점 또한 인상 깊었다. 기사 속에 ‘이럴 수가, 충격’ 등의 자극적이고 관심을 유발하는 내용이 있는지 바로 분석해 볼 수 있어 신선했다.” 구글 검색창에서 우리는 알고리즘을 만난다. 검색어를 다 작성하기도 전에 구글의 ..
2020.11.20 -
페이스북은 온라인 뉴스 생태계를 바꿀 수 있을까?
요즘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가장 주목받는 업체는 페이스북입니다. 페이스북이 인스턴트 아티클 (instant articles) 이라는 서비스를 시작했고, 국내 업체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스턴트 아티클은 페이스북과 정식으로 계약을 맺은 언론사에 한 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하는 방식이 아니라, 페이스북 내에서 뉴스를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빠르게 뉴스를 볼 수 있으며, 언론사는 페이스북의 광고 수익을 나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온라인 뉴스 환경을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포털 중심의 온라인 환경에서 페이스북이 생각보다 빠른 시간에 자리 잡을 수 있는 충분한 시장 환경이 조성되어..
2016.01.26 -
로봇 저널리즘 국내 실험 사례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박사과정 이준환・김동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난 1월 AP통신이 작성한 애플의 실적 발표 기사‘Apple tops Street 1Q forecasts’가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에 의해 쓰였다는 사실이 국내 뉴스에 소개되면서 국내에서도 로봇 저널리즘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뉴스 기사를 만드는 모든 과정에 컴퓨터 알고리즘이 관여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기사를 생성하는 분야를 로봇 저널리즘이라 지칭하는데, 이미 미국에서는 내러티브 사이언스나 오토메이티드 인사이트 같은 회사가 AP통신, 포브스 등의 매체와 계약을 맺고 알고리즘이 작성한 기사를 다량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프로야구 기사 쓰는 로봇 알고리즘은 신속하고 정..
2015.12.07 -
이슈 기사, 언론사가 달라도 제목이 비슷한 이유는?
출처_ 네이버 뉴스스탠드 ‘포털 알고리즘 분석’이 네이버 핫토픽 키워드 1위에 막 진입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읽고 있는 이 특집 기사를 정확도 기준으로 네이버 뉴스 검색 상단에 보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기사 가장 마지막 부분에 다음 문단을 추가해 핫토픽 키워드 개수를 늘리면 됩니다. 포털 알고리즘 분석을 접한 누리꾼은 ‘포털 알고리즘 분석, 속 시원하네’ ‘포털 알고리즘 분석, 와’ ‘포털 알고리즘 분석, 그럴줄 알았다’ ‘포털 알고리즘 분석, 여전히 어렵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더 노골적으로 처절해진 어뷰징 기사 도입부에 ‘포털 알고리즘 분석, 포털 알고리즘 분석, 포털 알고리즘 분석, 포털 알고리즘 분석’과 같이 핫토픽 키워드를 몇 번 반복해 ..
2015.02.25 -
페이스북, 네이버, 다음도 적용한 '딥러닝'이란?
출처_ pixabay by geralt ‘딥러닝’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가트너에서 2014년 주목해야 할 기술로 꼽기도 한 ‘딥러닝’은 컴퓨터 인공지능 학습법 중에 하나입니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 등과 같은 곳에서도 굉장히 핫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지요. 컴퓨터의 인공지능 기술 하나로 전 세계가 들썩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딥러닝’이 세상에 가져올 변화 때문입니다. 컴퓨터를 아주 단순하게 표현하면 ‘계산기’와 같습니다. 우리가 계산기에 숫자와 연산기호를 입력하고 ‘=’ 버튼을 누르면 계산된 값을 보여주지요.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도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그와 똑같습니다.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하면 그것은 연산처리하여 그 결과값을 보여줍니다. 입력은 키보드와 마우스, 혹은 터치로 ..
2014.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