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는책을집어삼킬것인가(2)
-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6월의 추천 도서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written by. 계간 편집부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을 포함해서 사흘간의 연휴가 시작되었다’ ‘금일까지 과제 제출 바랍니다.’, ‘심심한 사과 말씀 드립니다’ 최근 문해력 논란을 불러왔던 문장들입니다. 우리가 흔히 문해력이라고 생각하는 ‘리터러시’의 대상은 시대별로 계속해서 바뀌어갔습니다. 단편적으로 조선시대에는 한자를 잘 아는 것이 리터러시였다면 현재에는 한글을 넘어 미디어를 잘 읽는 것이 리터러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제시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 생태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보 습득 방식은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오면서 말에서 글로, 듣는 것에서 읽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2023.06.07 -
'함께읽기' 북토크 '리터러시의 미래를 말하다'
너와 나를 이어주는 열쇳말 '리터러시' '함께읽기' 북토크 '리터러시의 미래를 말하다' 지난 5월 23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에서는 개관 후 첫 시민 참여 행사로 ‘함께읽기’ 북토크가 열렸다. 자발적 ‘미디어 리터러시 공부’ 독서 모임 ‘함께읽기’가 주최한 ‘리터러시의 미래를 말하다’ 북토크 현장을 소개한다. 글 주민정 (구산중 교사) 우리에게 필요한 리터러시는 대화 상대방에 대한 이해 능력에서 시작해야 한다. 리터러시는 단순히 텍스트를 읽고 쓰는 스킬이 아니라 상대의 입장과 처지를 이해하고 내가 어떻게 대응하고 응답해야 하는지를 아는 능력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생동감 있고 현장감 있는 수업을 하기 위해서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필요했다. 미디어 활용 수업을 하다 보니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공부..
2020.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