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3)
-
정보 공유·합의로 한국적 미디어교육 모형 마련부터
정보 공유·합의로 한국적 미디어교육 모형 마련부터 미디어 업계의 적극적 참여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에서도 미디어교육 또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교육 주체는 대부분 지방 자치 단체나 정부 유관 기관이다. 미디어교육에 다수의 신문, 방송사가 참여하는 외국 사례와 비교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미디어 업계도 적극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글 권장원 (대구가톨릭대 언론광고학부 교수)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미디어 업계에서 추진 중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관련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 축적해 공감대를 넓히면서 동시에 각 교육 주체들은 각자 위치에서 차별화된 정체성을 추구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미디어 홍수 시대이다. ..
2021.01.14 -
급변하는 과학기술 과학 보도 전문성도 진화해야
이투데이 김윤경 기획취재팀장의 글입니다. 요즘은 영화도 그냥 즐기기가 쉽잖다. 우주 조난을 다룬 영화 ‘그래비티’까지야 인간이 우주에서 느낄 고립감에 대해 상상하면 되지만, ‘인터스텔라’에 이르면 차원이 달라진다. 웜홀과 블랙홀 같은 물리학과 천문학 아이템이 거론되고 그야말로 5차원이라는 개념까지 등장하니 말이다. 과학 저널리즘이 필요한 이유 사람들의 이런 의문에 답을 주어야 하는 주체는 누구일까. 과학자?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과학자의 말을 효율적으로 거르거나 가공해 들려줄 저널리스트들이 아마도 더 많은 책임을 갖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널리즘의 세계에도 불안이 가득하다. 하루가 다르게 과학은 발전하고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파고도 잘 모르겠는데 딥마인드는 무엇이며 딥러닝과는 ..
2016.05.23 -
80년대에 예측한 21세기 모습, 얼마나 맞았을까?
출처_Flickr by JD Hancock 어렸을 때 그러니까 우리가 초등학생인 시절, 학교에서는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는 그리기 시간을 자주 가졌습니다. 미래를 상상하며 미래를 그려가는 시간은 참 재미있었죠. 아마 많은 분들이 2000년대를 넘어가면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생기고, 로봇들이 집안 일을 대신 해주고, 학교에 가지 않아도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등 돌이켜 보면 이미 실현이 된 상상도 있고 아직도 먼 미래의 일만 같은 상상도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린 시절 지금 이 시간의 어떤 모습을 상상하셨나요? 오늘은 과거 7, 80년대 미래학자들과 같은 전문가들은 현재 우리나라의 모습을 어떻게 상상했을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해요. 그 시절 과연 그 예측들은 얼마나 현실과 가까워졌는지 비교하면서 읽..
201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