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스마트폰 기자 미디어 다독다독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미디어교육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기사(31)

  • 영자신문 기사와 영어 실력의 관계

    2016.10.31
  • 탁월한 저널리즘 보여주는 현장의 교과서

    2016.05.30
  •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2016.05.02
  • 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2016.03.28
  • 로봇 저널리즘 국내 실험 사례

    2015.12.07
  •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2015.10.16
영자신문 기사와 영어 실력의 관계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주니어헤럴드 에디터 [요약] 공부에는 끝이 없다고 합니다. 제대로 하려고 하면 영원히 해도 부족합니다. 하지만 영자신문 읽기를 본인이 영어를 잘할 때까지 미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영자신문은 영어 달인이 되고 나서 읽는 자료가 아니라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 가는 자료이자 도구입니다. “나는 영어를 잘 못 하니까 영자신문 읽기는 너무 이르다.”라고 생각하기 보다,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 이제부터 영자신문을 읽고 활용해봐야지.”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영어와 영자신문의 관계는 어떨까요? 일단 영어로 작성된 기사이기 때문에 영어 실력이 관건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영어가 모국어인 국가에서는 언어적인 측면보다 글쓰기, 특히 이야기를 풀어내는 능력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

2016. 10. 31. 12:00
탁월한 저널리즘 보여주는 현장의 교과서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 연구원·언론학 박사 정은령의 글입니다. [요약] “저널리즘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이 최고의 도덕을 갖추고 지적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싶다” 퓰리처상 100주년 의미와 2016년 수상작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2016년 4월 18일 오후 3시 5분(미국 동부시간). 뉴욕 맨해튼 33번가의 AP 편집국에 환호와 박수소리가 울려 퍼졌다. 퓰리처상위원회의 올해의 수상작발표에서 최고 영예인 퓰리처상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 부문 수상 언론사로 AP가 호명됐기 때문이었다. 4명의 AP 기자들이 1년 넘게 인도네시아, 태국, 미얀마, 미국을 가로지르며 노예노동을 하는 동남아시아 어부들의 참혹한 실상을 파헤친 노력이 미국 언론계 최고 권위의 상으로 보답 받는 ..

2016. 5. 30. 09:51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글입니다. "크롱카이트를 잃으면 모두를 잃는 것" 1968년 2월 27일, 미국 CBS방송의 ‘이브닝뉴스’는 특별 방송을 보도했다. 월터 크롱카이트(Walter Cronkite) 앵커가 베트남에 직접 가서 보도한 ‘베트남으로부터의 리포트: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라는 제목의 특별 방송이었다. 통신사 기자에서 전직해 CBS 저녁 뉴스의 앵커가 된 지 6년 만에 처음 시도하는, 크롱카이트의 입김이 강하게 투영된 보도였다. 이 보도 이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은 완전히 싸늘해졌다. 그만큼 월터 크롱카이트 보도의 영향력이 강력했었다. 크롱카이트 자서전을 보면 이 무렵 베트남 특별 리포트를 취재하는 과정의 고뇌가 잘 정리돼 있다. 제임스 슐레진..

2016. 5. 2. 09:17
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빅데이터팀 김수지 사원의 글입니다. '카인즈'에서 '빅카인즈'로 진화 수초 단위로 뉴스가 소비되는 미디어 환경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990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뉴스 데이터베이스 카인즈(KINDS)는 다소 모순적인 존재였다. 카인즈의 가치는 ‘실시간성’에 있는 게 아니라 수년간 켜켜이 쌓여온 기사들의 ‘역사성’에 있다. 하지만 속보기사 일변도의 환경에서, 그리고 오래된 뉴스는 읽히지 않는 미디어 환경에서 과연 카인즈의 과거기사가 어떤 가치를 지닐 수 있을까?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사업은 이런 배경에서 시작됐다. 우리는 카인즈의 뉴스를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의 일종으로 보고, ‘분석 가치’를 부여해 뉴스 콘텐츠를 다시 보는 계기를 만들고자 했다. 현재 뉴스 빅데이터 분..

2016. 3. 28. 14:00
로봇 저널리즘 국내 실험 사례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박사과정 이준환・김동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난 1월 AP통신이 작성한 애플의 실적 발표 기사‘Apple tops Street 1Q forecasts’가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에 의해 쓰였다는 사실이 국내 뉴스에 소개되면서 국내에서도 로봇 저널리즘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뉴스 기사를 만드는 모든 과정에 컴퓨터 알고리즘이 관여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기사를 생성하는 분야를 로봇 저널리즘이라 지칭하는데, 이미 미국에서는 내러티브 사이언스나 오토메이티드 인사이트 같은 회사가 AP통신, 포브스 등의 매체와 계약을 맺고 알고리즘이 작성한 기사를 다량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프로야구 기사 쓰는 로봇 알고리즘은 신속하고 정..

2015. 12. 7. 09:00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김위근・김선호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최근 언론 산업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는 단연 ‘네이티브 광고’다. 직관적으로는 개념을 유추하기 어려운 이 용어는 새로운 수익 창출 방안으로 우리 언론에 소개되고 있습니다. 관련 문헌과 자료를 종합해 보면, 네이티브 광고는 “플랫폼 기능, 레이아웃·디자인, 그리고 콘텐츠, 이 세 가지 모든 측면에서 기사와 연속성 및 유사성을 가지면서 후원이 나 협찬을 투명하게 명시하는 광고”로 거칠게 정의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기사형 광고와 협찬 기사가 진화된 것으로 봅니다. 협찬 기사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협찬을 받았음을 수용자에게 분명히 밝히지 않는다는 점에서 네이티브 광고와는 다릅니다...

2015. 10. 16. 14:00
1 2 3 4 ··· 6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