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3)
-
이열치열, 여름철 건강관리법
[요약] 잡절의 하나인 복(伏)은 24절기나 명절에는 속하지 않지만 한국인이 여름철 가장 잘 챙기는 절기중 하나입니다. 더울 때 뜨거운 것을 먹는다는 뜻을 가진 ‘이열치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이열치열 여름철 건강관리법을 소개합니다. #삼복의 유래 2016년의 복날은 언제일까요? 초복은 7월 17일, 중복은 7월 27일, 말복은 8월 16일이라고 합니다. 복날은 대개 10일 간격으로 도래하지만, 때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의 간격이 20일 이상 벌어지기도 합니다. 초복에서 말복까지의 기간은 일년 중 가장 더위가 심한 때로 이 무렵의 더위를 다들 아시다시피 삼복더위라고 합니다.삼복은 어디서, 어떻게 유래 되었을까요? 정확한 어원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대부분 중국의 진(秦)나..
2016.06.30 -
‘초복’ 끊이지 않는 보신탕 논쟁, 어디서 왜 시작됐을까?
‘삼복 무더위’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복날은 여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초복인 오늘 올해 여름도 건강하게 보내자는 의미로 삼삼오오 모여 보양식집을 향하는 것이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입니다. 하지만 복날이면 아주 오랫동안 끊이지 않는 논쟁이 하나 있죠. 바로 ‘보신탕’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내에서만이 아니라 동서양 문화적 갈등으로까지 번지는 원인이기도 하죠. 양측 논쟁의 주장은 보통 ‘인간의 오랜 친구로 살게 된 개(犬)까지 굳이 먹어야 하느냐’와 ‘소와 돼지를 먹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입니다. 이쪽의 말을 들어보면 맞는 것 같고, 또 저쪽의 말을 들어보면 그들의 의견도 맞는 것 같고, 누구 하나 확실한 답을 내릴 수도 없었던 개고기에 대한 논쟁은 언제부터 어떻게 이어져왔을까요..
2014.07.18 -
알고 먹자, 무더위 내쫓는 여름 보양식
요즘 계속되는 더위에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낮이면 심신이 괴로운 분들 많으실 겁니다. 시원한 빗줄기라도 쏟아지면 좋으련만 올해는 장마까지도 변덕을 부려 더욱더 무더위가 기승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건강을 잘 챙겨야 하는데요. 7월 13일 곧 다가올 초복에 여러분은 어떤 보양음식을 생각하고 있나요? 오늘은 여름철 원기회복에 좋은 음식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출처-서울신문] 왜 ‘삼복’의 대표 보양식은 ‘삼계탕’일까?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꼽힙니다. 때문에 ‘삼복더위’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우리 옛 선조들은 이 삼복이 다가 올 때면 여름 과일을 즐기고 산간계곡으로 들어가 여름을 나았다고 합니다. 또한 이때만큼은 ‘삼계탕’과 ‘보신탕’등을 끓여 이열치열 정신으로..
201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