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체(3)
-
타이포그래피 세계가 이끈 서체(書體) 발달의 역사
구텐베르크의 제자 니콜라스 젠슨이 개발한 로마체 최초로 로마체를 만든 사람은 동전 조각가인 프랑스인 니콜라스 젠슨(Nicolas Jenson)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일에서 구텐베르크의 제자로서 인쇄술을 익혔지만 베네치아에 인쇄소를 설립하여 고전 베네치아체로 알려진 읽기 쉬운 서체를 개발했는데 현재까지 어도비(Adobe)사의 젠슨체로 전해지고 있으며 분류하자면 세리프체에 속합니다. 젠손은 뛰어난 인쇄기술자로 1470년 로마체(Roman type) 활자를 완성시킨 사람입니다. 18세기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개발된 세리프체 하지만 활판 인쇄술과 그래픽 디자인이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는 시대는 18세기였습니다. 인쇄술의 체계적인 방법이 도입되는 것과 함께 표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이 일어난 것이지요. 세리프(s..
2015.09.21 -
타이포그래피 세계의 탄생
타이포그래피란 무엇인가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글꼴, 서체(書體), 폰트(font)라고 부르는 활자의 생김새를 구성하기 위한 배열을 뜻합니다. 영문이든 한글이든 자음과 모음처럼 하나의 글자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들은 어떠한 모양을 하며 가로와 세로 굵기, 그리고 위치에 따라 전쳐 다른 느낌을 주게 됩니다. 타이포그래피는 활자 서체를 구성하는 배열을 말합니다. 처음에는 문자 또는 활판(letterpress plate)을 위한 기호를 중심으로 한 2차원적 표현을 가리켰습니다. 오늘날에는 뜻이 확장되어 사진도 첨가한 구성적 그래픽 디자인 전체를 가리킵니다. 서체(書體) 또는 타이포그래피는 일관성 있게 설계된 글자 모양을 이루는 하나의 집합이자 배열인 셈입니다. 출판에서는 본문, 제목, 그림, 캡션,..
2015.08.06 -
기업과 신문사가 전용서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현대카드, 올레 KT, 포털 사이트 네이버. 우수한 마케팅 사례를 꼽을 때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단골 브랜드인데요. 강렬한 메시지 전달력,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시각적 광고 효과 외에 이들 브랜드는 한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전용서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전용서체는 최근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데요. 앞서 언급한 현대카드의 '유앤아이(Youandi)', SK텔레콤의 '뫼비우스', 하나금융그룹의 '하나체', 서울시의 '서울남산체'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송성재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부회장은 “기업•기관들이 전용서체를 개발하는 이유는 인쇄,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업의 통합된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일반인들에게 적극적으..
2011.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