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기자 뉴스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다독다독 독서 신문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신문활용교육(47)

  • 국내 최초 미디어교육사 206명 탄생

    2023.04.13
  • 미디어교육, 초등학생도 한 걸음부터

    2019.03.19
  • 영화와 인포그래픽스 통해 신문 읽기

    2016.09.15
  • 영자신문의 언어적 특성

    2016.08.31
  • 다독다독 고교 NIE, 신문은 살아있는 교과서

    2016.08.04
  • 집에서 할 수 있는 NIE 교수법

    2016.07.21
국내 최초 미디어교육사 206명 탄생

포럼·행사/동향 : 미디어 리터러시, 지금 우리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사 자격시험 실시 ​ written by. 이상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차장) ​ ​ 국내 미디어교육을 선도해온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미디어교육 전문 자격시험을 도입했다. 이에 지난 11월 제1회 미디어교육사 시험이 실시됐다. 미디어교육사 제도의 의의와 향후 전망을 소개한다. ​ 미디어교육사는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식을 바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기획, 실행, 분석, 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미디어교육사 자격시험에 필요한 검정 과목은 △미디어의 이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미디어교육 방법 및 사례 ..

2023. 4. 13. 14:14
미디어교육, 초등학생도 한 걸음부터

초등학생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세상을 바라보는 창, 뉴스로 열어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어린 시절부터 미디어를 접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재를 펴내 학생과 교사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미디어는 전례가 없는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미디어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정보의 생산과 수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많아졌습니다. 특히 다양한 미디어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미디어 생산의 문턱이 크게 낮아졌는데요. 예전과는 달리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이런 시대적 ..

2019. 3. 19. 11:53
영화와 인포그래픽스 통해 신문 읽기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가 되면 신문과 친해지는 활동을 하는 학교가 있습니다. 서울 홍제동에 위치한 정원여자중학교인데요. 이곳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강사가 파견돼 매주 토요일 NIE 수업을 진행합니다. 신문을 읽고 단순히 스크랩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읽기 방법을 터득하고 있는 정원여중 학생들과 한국언론진흥재단 정선임 미디어교육강사님을 직접 만났습니다. # ‘능동적인 읽기’ vs '수동적인 읽기‘ 정원여중 학생들은 신문에서 사회 이슈와 다양한 문제들을 조사한 후 영화의 주제를 찾고 신문을 활용한 영화 보기 활동으로 연계합니다. 이날 수업주제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깨기’였는데요. 주제를 신문에서 찾은 다음 다문화에 대한 내용을 다룬 영화 ‘완득이..

2016. 9. 15. 13:00
영자신문의 언어적 특성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주니어헤럴드 에디터[요약] 신문은 살아있는 정보의 보고라고 합니다.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영자신문은 살아있는 영어자료의 보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영어교육 분야에서는 신문의 활용이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용도로 수업에서 영자신문을 활용하는데, 이것을 ENIE (English Newspaper in Education)이라고 합니다. 영자신문을 좀 더 이해하고 영어학습과 시사상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오늘은 영자신문의 언어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짧은 단어 지금은 온라인 뉴스를 많이 이용하지만 원래 영자신문은 지면에서 출발했습니다. 지면은 공간의 제약이 뚜렷합니다. 매일 정해진 페이지 이상의 기사를 담을 수 없지요. 신문을 만드는 측면에서 보면 ..

2016. 8. 31. 15:49
다독다독 고교 NIE, 신문은 살아있는 교과서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신문은 살아있는 교과서'라 말하며, 실제 신문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하는 주인공은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 위치한 경기상업고등학교 신문토론반 학생들입니다. 신문을 활용해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정리하고,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가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경기상업고등학교에 신문토론반 학생들은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동아리 활동을 합니다. 매주 금요일 조선일보의 '신문은 선생님 코너'의 이슈토론글쓰기를 참고해 토론주제를 잡고, 6단 논법에 맞는 글쓰기를 하는데요. 6단 논법은 안건-결론-이유-이유설명-반론-반론꺾기-자신의 주장과 생각을 정리하는 형식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학생들은 토론교재로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중고교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에 실리는 시사이슈 찬반토..

2016. 8. 4. 13:37
집에서 할 수 있는 NIE 교수법

김우주,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NIE(News in Education)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자녀를 직접 교육하고 싶어 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NIE 전문 강사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집에서도 할 수 있는 NIE 교수법'을 소개합니다. #부모라면 누구나 최고의 선생님이 될 수 있다 NIE(News in Education)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나오면서 점차 NIE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집에서 자신의 자녀를 대상으로 NIE 교육을 지도해보고 싶다는 부모님들의 글을 인터넷에서 심심치 않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NIE 교수법에 대한 전문성의 문제 때문에 교육의 방향성이나 유의점을 알지 못해 불안해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남영희 ..

2016. 7. 21. 09:24
1 2 3 4 ··· 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