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3)
-
독서경영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
독서경영의 본질 21세기 화두 중 하나인 ‘지식기반 경제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가 ‘독서’라 생각합니다. 특히 경영환경의 혼돈 속에 새로운 경영 혁신기법이 절실한 상황에서 ‘독서’와 ‘경영’을 접목한 ‘독서경영’이 새로운 이슈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독서경영은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책 속에서 지식과 정보기술, 노하우, 아이디어, 영감 등을 얻고 이를 공유하여 다양한 방식의 관리를 통해 전파하거나 공유함으로써 개인과 기업의 가치와 생산성을 높여가는 새로운 경영기법입니다. 또한 독서경영은 급변하는 세계 경제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되고 있고, 세계적인 리더들의 공통적인 경쟁력의 요소입니다. 그리고 오늘을 이해하고 내일을 준비하는 요소이며, 평생교육을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독서경영은 ..
2012.01.05 -
마이스터고 교장이 키우고 싶은 ‘미래 인재’란?
흔히 우리는 ‘기술자’라고 하면 한가지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요즘은 이전처럼 한 분야에 통달한 사람보다는 다양한 분야를 두루 섭렵할 줄 아는 사람을 원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분야로 생각을 키우고, 자신만의 기술을 가져 미래의 인재를 육성하는 학교가 있다고 해서 찾아가 봤습니다. 바로 대전에 있는 ‘동아 마이스터고등학교’인데요. 이곳은 기술중심의 학교이지만 학생들에게 독서를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해요. 무엇보다 독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는 위성욱 교장을 만나 미래형 인재를 만드는 동아 마이스터고등학교만의 경쟁력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마이스터고등학교’라고 하면 기술교육 중심으로 기술명장(meister)을 만드는 학교인데요. 이..
2011.09.29 -
글 쓰는 과학자 최재천이 말하는 '쉽게 쓰는 법'
최근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스마트폰의 선두 주자 아이폰.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을 두고 “여기에 인문학을 담았다”는 말을 했는데요. 이 말은 첨단 IT 제품이라고 해서 단순히 기술만으로 어필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 원리와 작동 방법, 화면전환 방식 등 이 모든 것을 사람이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하도록 ‘사람에 대한 이해’, 즉 ‘인문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만들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를 쓴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는 “스티브 잡스, 제임스 캐머론 같은 사람들이야말로 통섭형 인재의 표본이다”라고 했는데요. 통섭형 인재란 말은 한 가지 분야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알고 있는 다양한 지식을 조합해 새로운 창조를 이끌어내는 사람을 뜻합니다. 지금까지의 시대는 빠르게 남을 쫓는 ‘패스트 팔로우(Fast F..
201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