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2)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5월 3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이번 주는 흥미로운 책들이 많이 나왔는데요. 다 소개해드리지 못해 아쉬울 따름입니다. 1위는 미국 유학파들이 학계와 기업에서 어떻게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기득권을 유지하는지 탐색하는 “지배받는 지배자”, 2위는 여자들을 가르치지 못해 안달난 남자들에 대한 사례를 에세이 형식으로 보여준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3위는 마르크스와 그의 가족사를 담은 책 “사랑과 자본”입니다. 관심 가는 책이 있다면 꼭 한번 읽어보세요~ 1위 : 지배받는 지배자 김종영 지음 | 돌베개 | 2015년 05월 11일 출간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계층이론에서 따온 용어 ‘지배받는 지배자’는 한국을 지배하고 있는 엘리트들이 미국 대학의 지배를 받는 구조를 분..
2015.05.19 -
문명의 발전에 내재된, 빈부격차에 대한 화두를 던진 책들
출처_ flickr by GK Sholanke 광대한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지구촌은 더욱 밀접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정보교류는 더욱 활발해졌으며, 글로벌 경제 관련 소식은 누구나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중요한 뉴스가 되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의 양적완화와 환율의 변동, 외인 자금의 유출입은 국내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요, 개개인 또한 이 거대한 물결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않은 만큼, 글로벌 경기는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한 외부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시스템의 근간인 자본주의 시장 모델이 결코 완벽한 건 아닙니다. 기술과 문명의 눈부신 발전에도 경제 공황은 주기적으로 찾아오며, 현 경제구조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경제모델이 지니고 ..
201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