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 독서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뉴스 언론진흥재단 신문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모두를 위한 미디어교육, 세상을 밝히는 미디어 리터러시

    2022.01.05
  • 참가자가 직접 말하는 뉴스일기 작성 후 변화된 점은?

    2021.12.31
  • 오늘의 추천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021.12.29
  • 현명한 미디어 생비자(생산자+소비자)가 되기 위한 길, 미디어리터러시!

    2021.12.24
  • 제3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작성 중 재미있었던 에피소드!

    2021.12.24
  •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위한 필수 능력, 미디어리터러시!

    2021.12.23
모두를 위한 미디어교육, 세상을 밝히는 미디어 리터러시

모두를 위한 미디어교육, 세상을 밝히는 미디어 리터러시 ‘2021 저널리즘 주간’ 현장 스케치 ​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하는 이 10월 27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서울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진행됐다. 올해 주제는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동시에 언론 신뢰를 회복하자는 바람을 담아 ‘다시, 저널리즘(Re;journalism)’으로 정해졌다. 마지막 날인 10월 30일에 열린 ‘미디어교육, 세상을 비추다(Re:flect)’ 콘퍼런스의 주요 내용을 공유한다. ​ ​ 편집팀 ​ ​ “기존과는 달리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단순히 보아선 안 된다”고 발표자들은 공통적으로 강조했다. 비판적 읽기, 미디어 사용법, 미디어 사용의 규제 등은 이제 별도의 개념이 아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일 요소가 아닌 포괄된 개념..

2022. 1. 5. 15:17
참가자가 직접 말하는 뉴스일기 작성 후 변화된 점은?

2021년의 마지막 날에도 뉴스일기 작성하고 계신가요? 뉴스일기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르는 매우 좋은 습관인데요! 제3회 참가자분들이 말하는 뉴스일기 작성 후 변화된 점은 무엇이 있었을까요? 김태욱 어린이는 뉴스일기를 작성하게 된 이후로 한 가지 뉴스에 나오는 정보만을 받아들이지 않고 더 많은 기사를 찾아보게 되었어요! 기사를 통해 넓은 세상과 다양한 관점을 배우고, 친구들과 함께 생각을 나누며 성장하는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네요!! 이희영 님께서는 뉴스일기를 작성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을 가지게 되었어요! 뉴스일기에 뉴스와 나에 대한 매 순간을 기록하며 나와 주변을 돌아보게 되는 계기를 함께 가져보아요~ 박상권 님께서는 뉴스일기를 통해 알 권리의 소중함을 깨달았는데요! 뉴스를 접하게 되면 보이는..

2021. 12. 31. 14:00
오늘의 추천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새로운 형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법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계속해 오고 있는 영역을 심화시키는 것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을 위해 소중한 일이다.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독자들 사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가장 완벽한 지침서로 꼽히고 있는 입니다. 이 책은 단편적인 일회성 미디어 교육이 아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와 비판적 미디어 수용 교육, 창의적 미디어 활용과 생산 교육, 민주시민 교육 등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폭넓은 주제와 활동 사례를 자세하게 소개하며, 학교 현장에서 진행한 다양한 교육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신문·뉴스 활용 교육,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뉴스에 기초한 교육이라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 지식, 정보 등을 포괄하는 교..

2021. 12. 29. 13:37
현명한 미디어 생비자(생산자+소비자)가 되기 위한 길, 미디어리터러시!

​ ​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1편에서는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해 짚어보았는데요, ▼다시 짚어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1부 보러가기▼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위한 필수 능력, 미디어리터러시!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께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이제는 잘! 알고 계시지요?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보 dadoc.or.kr 2편에서는 현명하게 미디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법을 다시금 알아보기 위해, 주요 주제별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점차 심각해지는 코로나 19가 불러온 인포데믹 상황! 최고의 미디어 면역 강화법은 무엇일까요? ​ 정보를 얻기 위해 한 번의..

2021. 12. 24. 15:28
제3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작성 중 재미있었던 에피소드!

제3회 와 함께한 2021년은 어땠나요? 참가자분들께서 즐겁고 재미있었던 에피소드를 많이 보내주셨어요! 뜻깊고 유익했던 시간을 뉴스일기와 보낸 참가자들의 이야기, 함께 들어볼까요?! 제1, 2회 공모전에 모두 참가하셨던 이승록님께서는 이번 제3회 공모전부터는 아내분과 함께 참여하고 있으시대요~ 60대 부부가 뉴스일기를 통해 대화하고 의견을 나누며, 의미 있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시기 바라요! 서예린 어린이는 어머니와 함께 뉴스일기를 작성하고 있어요! 특히, 그림으로 뉴스일기를 작성하는 것을 좋아한대요~ 스무고개를 하거나, 뉴스일기 속 그림을 보며 뉴스의 내용을 맞추는 퀴즈를 맞히며 어머니와 함께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요!! 근명고등학교의 김주희 선생님은 수업을 진행하고 있어요! 이 수업을 통해 종이신문을 처..

2021. 12. 24. 13:36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위한 필수 능력, 미디어리터러시!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께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이제는 잘! 알고 계시지요?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media)와 리터러시(literacy)의 합성어인데요 다양한 매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분별력 있게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적절히 활용하며 창조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미디어는 익숙하지만, 리터러시라는 말은 익숙하지 않으실 수 있을 것 같아 준비했습니다. 리터러시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뜻합니다. 글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받아들였던 과거에는 책, 신문, 잡지 등의 종이 위주로 지식이 공유되었지만, 현재 인터넷의 발달로 인터..

2021. 12. 23. 09:56
1 ··· 42 43 44 45 46 47 48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