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2022. 5. 10. 18:46해외 미디어 교육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책 소개-‘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1)

최근 몇 년 새 ‘가짜뉴스’ 문제는 전 세계적 현안이 됐다.

더불어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도 급부상하며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단체에서는 관련 연구를 거듭해 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2021년 말 공동으로 번역 출간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을 소개하며 국내 시사점을 찾아본다.

임영호 (부산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저자들은 리터러시 배양 과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미디어가 제 역할을 소홀히 했다고 비판한다.

가짜뉴스 논란은 미디어가 잘못된 정보/허위정보를 퇴치하기는커녕 오히려 전파의 플랫폼이 되고,

극단주의에 악용되면서 사회 문제를 부추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랫동안 ‘미디어 리터러시’나 ‘미디어교육’은 일부 교육자나 미디어 학자의 제한된 관심사에 불과했다. 그렇지만 지금은 미디어교육, 리터러시 문제가 민주 시민의 기본적 자질이자 공동체 전체의 시급한 현안이라는 데 이의가 없다. 무엇보다 ‘가짜뉴스’ 문제가 언론계나 학계뿐 아니라 국회, 정부 부서 차원에서 핵심적 정책 이슈로 부상한 데서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 잘못된 정보나 허위정보가 여론의 향방까지 좌우하게 되면서 정보를 식별하고 활용하는 자질을 어떻게 배양할 것인지는 사회 부문을 막론하고 시급하게 다루어야 할 현안이 됐다.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적 단체들은 이러한 문제를 놓고 오랫동안 숙고를 거듭한 후 성과물을 잇달아 내놓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2021년 말 공동으로 번역, 출간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은 그 최신 결과물 중 하나다. 이 책은 단순히 집필을 맡은 세 연구자 개인의 연구 성과에 그치지 않고 그동안 국제적 연구와 운동 차원에서 전개된 논의의 흐름을 집약해서 보여준다는 점에서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운동에도 시사점이 크다. 이 책자의 몇 가지 특성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현대인의 기본권

우선 이 안내서는 전통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변화된 환경에 맞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media information literacy, MIL)’로 확장해서 새롭게 규정했다. 이 개념 하에서는 과거의 뉴스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등 다양한 정보 역량이 통합되어 개념적으로 자리 배치된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역량은 정보 접근, 분석과 이해, 비판적 평가, 이용, 창작과 관여 등 다섯 가지 광범위한 영역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와 시청각 데이터, 다양한 지식 형태 등 메시지 내용 영역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구사를 넘어 컴퓨터 등 새로운 IT 기술에 대한 접근과 활용 능력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재정의 된다. 나아가 저자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를 보편적 인권 개념과 연관 지으며, 개인, 공동체, 국가가 표현의 자유라는 권리와 정보 접근권을 누리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까지 격상시킨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단지 일부 미디어교육 전문가의 관심사를 넘어서 기본권 차원의 현안으로 다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처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를 넓게 정의하는 것은 디지털 기술 변화의 폭과 영향이 갈수록 커지는 현실과 관련이 있다. 오늘날 유행하는 프로슈머(prosumer)라는 용어는 정보 수용자와 생산자의 구분이 사라지고 미디어 메시지의 수동적인 소비자가 적극적인 소비자이자 배포자, 생산자의 역할로 변해가는 최근 온라인 환경의 추세를 반영한다. 이제 적어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에 관한 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의 구분은 의미가 없으며, 미디어와 도서관, 사적 대화 등 정보 채널의 구분 역시 무의미해진다. 정보의 이용 능력은 창작 역량과도 분리해서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번 유네스코 지침서는 시민의 정보 이해 및 구사 능력과 관련이 있는 한 모든 정보 영역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 하에 체계적으로 재배치한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가 정보의 공급자이든 소비자이든, 모든 공동체 구성원에게 필요한 자질 배양을 의미한다면 여기서 교육자와 피교육자는 누구인가?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이라는 책 부제가 보여주듯이, 물론 이 안내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발의 동반자로서 미디어 종사자와 저널리즘 교육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둔다. 그렇지만 미디어 종사자와 저널리즘 교육자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 공급자, 사서, 미디어 정책 담당자 등 폭넓은 사회 행위자가 리터러시 배양의 주체로 동참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전통적인 미디어, 플랫폼 기업 종사자와 기타 정보 공급자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를 배양하는 주체 중의 하나일 뿐 아니라 스스로 그러한 소양을 갖추어야 하는 교육 대상자이기도 하다고 강조한다. 이 안내서는 다양한 부문에 종사하는 이들 간의 전략적 협력과 유대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발이라는 목표 실현에 필수적이라고 단언한다. 다양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행위자에 대해 여러 부문 간의 구분보다는 ‘정보 공급자(information provider)’라는 포괄적 용어를 선호하는 데서도 이러한 시각이 잘 드러난다.

예컨대, 저자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발을 위한 협력 과정에서 도서관과 사서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한다. 전통적으로 도서관은 꾸준하게 정보 리터러시 배양에 힘쓰면서 큰 역할을 해온 (그렇지만 합당한 인정을 받지 못한) 반면, 오히려 리터러시 배양 과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미디어가 제 역할을 소홀히 했다고 저자들은 비판한다. 최근 부각된 가짜뉴스 논란은 미디어가 잘못된 정보나 허위정보를 퇴치하기는커녕 오히려 전파의 플랫폼이 되고, 왜곡된 재현과 극단주의에 악용되면서 사회 문제를 부추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목적이 시민들이 현실을 진실에 가깝게 파악하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면 지식, 정보의 장르나 제도적 형태 구분은 의미가 없다.

 

다섯 가지 핵심 원칙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를 폭넓게 개념화하고 행위자 다자간의 협력에 입각한 개발 모델을 제시하는 이 안내서의 시각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원칙에서도 드러난다. 저자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배양이라는 과업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원칙에 근거한다고 주장한다.

 

1. 진실은 모든 사람, 즉 언론인과 시민 사이에 구축된다.
2. 거짓과의 투쟁은 편견, 고정 관념, 폐쇄적 사고에 맞선 대결을 수반한다.
3. 윤리와 정직성, 책무성이 없다면 저널리즘의 신뢰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4. 대중·시민의 참여 없이 양질의 저널리즘은 존재할 수 없다.
5. 양질의 우수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는 사람들의 권리를 평등하고 차별 없이 강화하는 수단이자 목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편적 원칙을 선언하는 순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기본 원칙과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사이에 큰 차이는 사라진다. 양자 모두 진실을 추구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저자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발에서 나라별로 특수성을 고려한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유네스코는 오랫동안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기여하는 도구 개발에 힘써왔는데, 기존 자료들은 주로 북미 상황에 치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공백을 보완하고 유네스코 “전 세계 회원국에서 각자의 실정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유연성 있는 도구” 용으로 이 안내서를 개발했다고 저자들은 밝힌다. 저자들은 특히 개발도상국가로서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서술한다. 물론 이러한 취지가 어느 정도 잘 구현됐는지는 전혀 다른 문제다. 이들은 검열과 통제가 미디어 상황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면서도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적인 정치 상황에 대해서는 말을 아낀다. 하지만 적어도 국가의 구체적 상황에 맞춘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은 국내 연구자와 교육자가 추구해야 할 방향에도 시사점이 크다.

 

국내 교육 자료 발간 이어지길

이 안내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서나 학술서는 아니다. 책의 집필 목적은 실용성과 현장 활용성에 맞춰져 있고 책의 서술 방식이나 체계 역시 진지한 학술서보다는 중등학교 교재나 참고서를 연상시킨다. ‘잘못된 정보와 허위정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배양에 도움이 되도록 다양한 사례, 연습 문제, 과제, 체크리스트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 점에서 언론인과 교육자가 훈련 교보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물론 이 짧은 책자에서 저자들이 추구한 거창한 목표가 충분히 구현됐다고는 하기 어렵다. 수록된 내용이 아주 새롭고 독창적이라고 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적어도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우리가 어떤 점에 주목하고 어떤 방향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정보 식별 능력이 개선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데에는 유용하다. 이처럼 구체적인 상황 대처에 필요한 체크리스트 기능만으로도 이 안내서는 제 역할을 다했다고 본다. 이 책자 발간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좀 더 시민의 관심사와 눈높이에 맞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자료가 더 활발하게 나오길 기대한다.

 

 

1) 노지마 무라토바, 알톤 그리즐, 딜푸자 미르자흐메도바 지음. 임영호 옮김.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 한국언론진흥재단/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1.

본 원고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

https://www.kpf.or.kr/front/intropage/intropageShow.do?page_id=48035c62865b4989a98bb3f860d076ce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관리자의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고객의 소리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www.kp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