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공모전 다독다독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NIE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독서 책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무비데이에 살펴본 우리나라 독립예술영화

    2013.11.14
  • 취재, 어디까지 해봤니? 이색 취재 살펴보니

    2013.11.13
  • 숭례문 복원 부실공사, 과연 다른 문화재는 문제없을까?

    2013.11.12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상술과 나눔의 상관관계

    2013.11.11
  • 응답하라 1994, 사투리가 드라마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2013.11.08
  • 2014 수능, 신문에서 찾아본 수능일 사건사고

    2013.11.07
무비데이에 살펴본 우리나라 독립예술영화

그 시절 그땐 그렇게 갈 데가 없었는지 언제나 조조할인은 우리 차지였었죠. 돈 오백 원이 어디냐고 난 고집을 피웠지만 사실은 좀 더 일찍 그대를 보고파~ 하지만 우리 함께한 순간 이젠 주말의 명화 됐지만 가끔씩 나는 그리워져요 풋내 가득한 첫사랑~ 이문세의 조조할인 中 벌써 20년이 다 된 노래지만 지금도 여전히 영화 관람은 데이트의 기본이죠. 여가활동이 많아지긴 했지만 영화관에 가는 것만큼 쉽고 즐거운 것도 없습니다. 심지어 연인들이 함께 영화를 보는 날이라는 11월 14일 무비데이가 있는걸 보면요! 기념일을 타겟으로 하는 데이 마케팅의 하나라고는 하지만 유별난 행사보단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영화 산업의 발전을 위 만든 작은 이벤트라고 여긴다면 가볍게 즐길 수 있겠죠? 평소 대형 멀티플렉스에서 상업..

2013. 11. 14. 10:49
취재, 어디까지 해봤니? 이색 취재 살펴보니

서울도 영하로 떨어지며 겨울이 성큼 다가왔는데요. 설악산은 이미 영하 12.2도로 떨어지는 맹추위였다고 해요. 올 겨울은 주기적인 한파가 올 것이라는 예측이 있는데요. 폭설이 내리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그런데 폭설하면 생각나는 사람이 있죠. 바로 KBS의 박대기 기자인데요. [출처 - KBS] 2010년 1월 기록적인 폭설 소식을 전달하던 박대기 기자는 어깨와 머리에 눈이 잔뜩 쌓인 상태로 뉴스를 전해 그 추위와 매서움을 직접적으로 전해주었는데요. 이는 인터넷에서 화제를 모으며 한동안 재미있는 합성 사진들도 돌아다닐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처럼 기자들은 현장의 생생함을 전하기 위해 직접 체험을 하며 기사를 내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기자들의 이색 체험 취재기를 소개해볼게요. 김장체험부터 이색 직업 체..

2013. 11. 13. 09:52
숭례문 복원 부실공사, 과연 다른 문화재는 문제없을까?

[출처 - 서울신문] 설 연휴 마지막 날이었던 2008년 2월 10일 저녁, 사나운 불길에 휩싸인 숭례문의 모습을 보며 발을 동동 굴러야 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소방차가 출동해도 역부족이었습니다. 불길을 겨우 잡았을 땐 이미 2층 전부가 불에 타 사라졌죠. 토지개발보상금에 불만을 품은 한 70대 노인이 이 같은 엄청난 일을 저질렀다니 망연자실할 뿐이었습니다. 600년을 버텨온 민족 문화의 상징이었던 국보 1호 숭례문이 한 순간의 방화로 허망하게 무너져 내렸던 것은 순식간이었습니다. 숭례문 참사는 방화범이 의도적으로 저지른 소행이기는 했지만, 그동안 문화재 관리 체계가 얼마나 허술했고 문화재가 얼마나 무방비 상태로 방치돼 있었는지가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이후 숭례문 복구사업이 빠르게 진행되었습니다. 우리..

2013. 11. 12. 13:03
11월 11일 빼빼로데이, 상술과 나눔의 상관관계

발렌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처럼 1년 중 연인들의 마음을 들뜨게 하는 날이 있습니다. 바로 ‘빼빼로데이’ 입니다. 11월 11일, 빼빼로의 긴 막대모양과 꼭 닮은 날짜 덕분에 90년대부터 ‘데이 마케팅’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이제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 뿐만 아니라 농업인의 날로써 ‘가래떡데이’로 불러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널리 알려진 것은 ‘빼빼로데이’인데요. 그만큼 빼빼로데이는 이제 고유의 날로 굳어졌습니다. 빼빼로데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중 하나일까요, 아니면 지나친 상술일까요? 오늘은 가장 상업적인 ‘데이(Day)’마케팅 중 하나인 빼빼로데이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Day’ 마케팅의 원조, 1994년 빼빼로데이 시작 빼빼로데이는 1994년 부산 ..

2013. 11. 11. 10:28
응답하라 1994, 사투리가 드라마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흔한 속설 중 하나로 시리즈물은 회를 거듭할수록 원작만 못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속설은 ‘응답하라~’ 시리즈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듯합니다. 작년 겨울 응답하라 시리즈의 원조 격인 ‘응답하라 1997’이 성황리에 막을 내리며, 올 해 가을부터 시즌2 ‘응답하라 1994’가 케이블에 방영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서울신문] ‘응답하라 1994’는 전작인 ‘응답하라 1997’과 전체적인 이야기 구성 면에선 서로 비슷합니다. 하지만 시간적배경이 ‘1994년’이라는 점, 그리고 주인공들이 고등학생이 아닌 스무살 대학생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향수를 자극하는데요. 그 중 특히 ‘응답하라 1994’가 ‘응답하다 1997’(이하 응사, 응칠) 과 가장 대조적인 설정을 이루는 것은 ‘사투리’입니다. 응칠..

2013. 11. 8. 13:11
2014 수능, 신문에서 찾아본 수능일 사건사고

“아..수능 날 잊을 수가 없죠. 전날부터 많이 긴장했나봐요. 거의 잠을 자지 못하고 시험장에 갔는데 속이 메스꺼워 참을 수가 없었죠. 참다 참다 1교시 직전 감독 선생님께 사정사정해 화장실로 달려가 다 토해냈어요. 이제 좀 괜찮을까 싶었는데 시험이 시작되고 언어영역 듣기 평가 중간쯤 되었을까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죠. 결국 그 자리에서 다 토해냈어요. 듣기 평가 중간에! 생각해보면 주변 친구들에게 미안하죠. 저 때문에 2~3문제는 놓쳤을 텐데.. 원하던 대학은 못 갔지만 그게 꼭 그 사건 때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뭐, 세상 사는 게 다 그런 거죠! ” [출처 - 서울신문] 날씨가 쌀쌀해질 무렵, ‘그 날’은 어김없이 다가옵니다. 바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날이죠. 그래서 일까요. 괜히 수능..

2013. 11. 7. 10:17
1 ··· 66 67 68 69 70 71 72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