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이벤트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NIE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책 독서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웹툰 9화-신씨일보네 회식날

    2012.11.23
  • 조선 영재들의 독서법 3가지 살펴보니

    2012.11.23
  • 영국 아이들의 높은 창의력 비결 살펴보니

    2012.11.22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2012.11.21
  • 신문기자 부부에게 내려온 ‘기특이’ 이야기

    2012.11.21
  • 작년보다 3배 늘어난 이혼 고심 사유가 처월드?

    2012.11.20
웹툰 9화-신씨일보네 회식날

©다독다독

2012. 11. 23. 16:45
조선 영재들의 독서법 3가지 살펴보니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에서 대입과 취업을 앞 둔 학생과 구직자에 이르기까지 독서, 그 가운데서도 효율적인 독서는 많은 이들에게 늘 관심의 대상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후퇴보다 전진을 원하며 어제보다는 내일의 삶이 빛나기를 기대하는 법이니까요. 내적으로든 외적으로든 발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위한 최고의 수단이 바로 독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그런데 오늘날과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독서의 중요성이 강조되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바로 1392년 건국하여 1910년 멸망하기까지 무려 518년 동안 존속했던 조선시대입니다. 당시의 독서는 매우 특별한 의미였습니다. 오늘날의 독서가 상당수 지식을 얻기 위한 목표 위에서 행해진다면 조선시대의 독서는 자기 자신과 가문과 나라를 올바로 세우기 위한 목표 위에 행해졌..

2012. 11. 23. 09:38
영국 아이들의 높은 창의력 비결 살펴보니

최근 국내에서 통섭과 융합이라는 가치가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애플사의 CEO였던 스티브 잡스는 인문학과 테크놀로지의 적절한 융합을 거쳐 탄생한 창의적인 제품을 선보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습니다. 통섭과 융합에 관한 지대한 관심은 사회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어요. 과학자 최재천은 인문학과 과학의 통섭을 제안합니다. 21세기형 과학자에게는 사물을 탐구하는 능력뿐 아니라 글을 잘 쓰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것이죠. 미학자 진중권과 과학자 정재승이 공동집필한 저서 는 동일한 문화 현상을 인문학과 과학이라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본 책인데요. 인문학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이 만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냈습니다. 국내 대학들 또한 분과(分科)형식의 교육이 야기한 학문의 단절현상을 탈피하기..

2012. 11. 22. 09:13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다독다독

2012. 11. 21. 17:51
신문기자 부부에게 내려온 ‘기특이’ 이야기

기억하기로, 아버지의 휴대전화 요금은 늘 만 원 정도였다. 기본요금이 저렴하고 초당 요금이 비싼 형태의 요금제를 쓰는 덕분이다. 운전을 직업으로 하는 아버지는 휴대전화가 일반에 보급되는 초기부터 사용하셨다. 그때나 지금이나 꼭 필요한 통화 외에는 거의 하시지 않는다.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건 상상을 못했다. 아버지는 문자메시지를 보낼 일이 있으면 늘 어머니에게 부탁하곤 했다. 그것도 연말연시, 설이나 추석 때 지인들로부터 온 의례적인 메시지에 의례적인 답장을 하기 위해서였다. 대학에 진학하면서 서울에 올라온 스무 살 이후, 아버지와 긴 시간 통화를 한 건 재작년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처음이었을 것이다. 전형적인 ‘경상도 사나이’인 아버지와 나는 서울에 오기 전에도 그렇게 오랫동안 대화를 하는 편이 아니었..

2012. 11. 21. 09:41
작년보다 3배 늘어난 이혼 고심 사유가 처월드?

울랄라부부에서 영혼이 바뀐 남편의 시월드 체험기, 내 사랑 나비부인의 파란만장 시월드 입성기 등 최근 드라마의 단골 소재 중 하나는 시월드입니다. 최근에는 시댁을 뜻하는 은어 시월드에 상응하는 처월드란 말도 생겨났는데요. 이 시월드와 처월드에 휘둘리며 이혼을 고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네요. 특히 남자들이 처월드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를 함께 살펴보실까요? [출처-KBS '넝쿨째 굴러온 당신', KBS '울랄라부부', SBS '내 사랑 나비부인' 방송 화면 캡쳐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처가와 갈등 탓 결별 고심’ 전년보다 3배 증가 고부갈등은 예로부터 심각한 사회문제였습니다. 여자들이 장남과의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이 고부갈등 때문이었으니까요. 그런데 ..

2012. 11. 20. 09:33
1 ··· 421 422 423 424 425 426 427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