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검색결과
해당글 4건
1971년 마이클 하트(Michael Hart)가 인류의 자료를 모아 전자정보로 저장하고 배포하자는 구텐베르크 프로젝트(Project Gutenberg)를 시작하면서 전자책의 역사는 시작되었습니다. 누구나 무료로 가상의 도서관에서 목표로 한 이 활동이 40년이 넘었고, 2000년 7월 스티븐 킹(Stephen Edwin King)이 자신의 소설을 다운로드 판매한 이후 15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적어도 국내에서는 전자책이 종이..
출처_ ciokorea 읽는 신문에서 보는 신문, 텍스와 사진 중심의 인터넷뉴스에서 사진, 인포그래픽, 그래프, 모션그래픽이 함께 사용된 인터넷 뉴스로 그 흐름이 바뀌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아시아의 많은 미디어들이 비주얼 콘텐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험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죠. 어디 미디어 뿐 인가요? 공공기관이 배포하는 홍보자료, 기업의 IR자료, 교육 콘텐츠,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가게에서도 우리는 비주얼콘텐츠를 쉽게 ..
비주얼 콘텐츠는 인포그래픽이란 정제된 정보 전달 개념에서 좀 더 확장된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활용영역 또한 교육, 실공간, 광고, 홍보물, 보고서 등 생활 전반에 파생된 형태로 적용돼 그 역할을 다하고 있지요. 인포그래픽, 데이터 시각화라는 구체적인 의미를 찾고 이에 대한 차이점을 언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점점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확장된 의미로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생명을 살리는 ..
미국 워싱턴주에는 스테밀트라는 가족이 운영하는 과수원이 있다. 이 과수원은 이름다운 과수원 풍경을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파란 하늘아래 수확을 해서 상자에 담은 과일모습, 물방울이 맺힌 사과모습, 과일을 따는 농부의 모습 등 사진만 보면 여느 인터넷 서비스회사의 콘텐츠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이 과수원에서 올린 사진 중 놀라운 사진 하나를 발견했는데 바로 과일 수확 후의 빈 과수원을 찍은 사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