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3)
-
읽기 프로젝트 : 의식적 읽기가 '습관'이 되길 바라며
2016 다독다독 기자단 3조 장두원, 신혜진, 이혜인 [요약] 다독다독 기자단 3조는 읽기 문화 확산이라는 목표를 갖고 9월 19일부터 11월 20일까지 약 두 달간의 시간을 활용해 읽기 습관 길들이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신혜진 기자 활동 후기 그동안 '읽기'의 대부분은 정말 단어 그대로 ‘읽는’ 수준에서 그쳤었다. 그러나 읽기 프로젝트를 통해 읽고, 기록하고, 내 생각을 정리해보며 이제는 신문과 책을 적극적으로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신문은 여름방학 동안 구독하였는데 개강 이후 시간에 쫓겨서 뒷전으로 미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신문 스크랩을 해야 했기에 다시금 신문을 읽기 시작했고, 시사 이슈에 대해서 정리해보며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가까이에서 느꼈다. ..
2016.12.21 -
사색하는 독서법, 독서노트 작성하기
이혜인,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깊이 있게 책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독서노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사색 없는 독서는 소화되지 않는 음식을 먹는 것과 같다." 아일랜드의 정치사상가 에드먼드 버크의 말입니다. 독서는 책을 끝까지 읽음으로써 끝나는 게 아니라, 책의 내용에 대해 사색하고 자기 생각을 정리해야 비로소 끝난다는 것입니다.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 역시 비슷한 말을 했습니다.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의 힘이다." 버크의 말과 같은 맥락으로, 책을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책 속에서 얻은 지식과 교훈을 그저 흘려보내는 것..
2016.08.18 -
현직 작가의 나만의 독서노트 작성법
저에게는 자랑하고픈 습관이 하나 있습니다. 독서노트, 즉 서평집을 꼼꼼히 작성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사실 이 버릇은 필요에 의해서라기보다 궁금증에서 시작이 되었지요. 오래 굶주린 사람처럼 닥치는 대로 책을 읽던 스무 살 무렵의 어느 날, 저는 불현듯 궁금증이 일었습니다. '나는 과연 일 년에 몇 권의 책을 읽고 있는 걸까?' 그때는 지금처럼 인터넷이 활성화되지도 않았고 저 자신 컴맹에 가까웠기에 요즘처럼 블로그나 미니홈피로 독서노트를 대신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 날 이후 저는 완독한 책의 제목과 저자를 일기장 한 구석에 적어내려가기 시작합니다. 시작은 이토록 작고 초라했지요. 처음에는 이렇듯 일기장 한 구석이 저의 독서노트를 대신했습니다. 다 읽은 책의 제목과 저자를 열심히 기록하고 일 년의 마지막..
201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