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격차(4)
-
‘노년 삶의 질’ 높이고 ‘사회 통합’에도 기여
연구서 ‘노인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노년 삶의 질’ 높이고 ‘사회 통합’에도 기여 미디어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의 격차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노인의 미디어 격차는 다른 집단에 비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인 대상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하며 현실적 활성화 방안까지 제시한,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정과제 ‘노인 미디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조재희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고도로 디지털화된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격차를 겪고 있는 노인에 대한 미디어교육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미디어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젊은 세대와의 ..
2020.03.25 -
‘15세 선생님, 81세 학생’의 SNS 활용 수업
노년층을 위한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멘토링 해외 사례 ‘15세 선생님, 81세 학생’의 SNS 활용 수업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기술의 시대에 자칫 소외되기 쉬운 시니어 세대를 위해 어린 학생들이 나섰다. 미국, 싱가포르 등 여러 나라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시니어들을 위한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멘토링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글 황치성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미국 오하이오주 제퍼슨카운티에 소재한 토론토 공공도서관 강의실. 중학생쯤으로 보이는 한 소년이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켜 놓고 백발의 시니어들에게 뭔가를 열심히 설명하고 있다. 패트릭 코스탈레스(Patrick Costales)는 옆자리에 앉은 할아버지에게 태블릿PC의 유튜브 화면을 가리키며 “돋보기 아이콘을 찾아보세요.”라고 말..
2020.03.20 -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노인층 미디어 이용 행태와 디지털 격차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미국 퓨리서치 센터가 얼마 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5%로 조사 대상 27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보급률뿐 아니라 활용도 또한 높아 기차표 예매부터 외국어 학습, 보험금 청구 등 스마트폰으로 안 되는 일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가져온 편리한 삶의 혜택을 모두가 누리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혁신이 가져온 편리함의 바깥에 물러서 있는 사람들, 노인층의 디지털 격차 문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글 김경희 (한림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노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노인들이 알기 쉽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2020.03.18 -
AR로 기록하고 영상으로 찍어보는 ‘나의 황혼’
노년층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 스마트폰 하나로 일상의 거의 모든 것이 가능하고 나날이 새로운 IT기술이 등장하는 디지털 세상에 새로운 소외계층이 생겼다. 이 모든 변화를 따라가기가 벅찬 노인들은 현대 사회의 디지털 문맹자이고 소외계층이다. 노인들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감안한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글 김현경 (미디어강사) 스마트폰을 스마트하게 쓰지 못하는 현실을 하소연 하던 어르신들이 조금씩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알아가며 “알아야 재미도 있지. 우리 같은 노인들한테 알려줘서 고맙수”라며 배움의 기쁨을 전하는 순간, 온몸으로 부딪치며 살아온 삶의 향기가 묻어 나왔다. 잘 된 사람 곁에는 나를 믿어주고 이끌어 준 진정한 어른이 있었다는 공동체 세대의 어른들. 그분들..
202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