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이벤트 신문읽기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다독다독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공모전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62)

  •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2016.06.27
  •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2016.04.14
  • 미국 미디어리터러시센터 연수기

    2016.01.05
  • 미디어 포털은 망했지만 진 것은 아니다

    2015.12.17
  • 프랑스 국립미디어교육센터 연수기

    2015.11.20
  • 매체 환경 변화와 미디어교육의 방향

    2015.11.09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홍예진, 미네소타주립대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요약] “저널리즘도 스포티파이(Spotify), 넷플릭스, 아이튠즈가 필요하다.” ‘블렌들’은 한곳에서 모든 언론사의 읽고 싶은 기사만 골라 간편하게 돈을 내고 기사를 읽을 수 있게 한 서비스 입니다. 또한 구입한 기사가 만족스럽지 못 할 경우 환불을 해주는 등 이용자 입장의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그러자 젊은 세대들이 지갑을 열었습니다. ▲ 블렌들 미국판 초기화면 네덜란드의 미디어 플랫폰 블렌들(Blendle)이 지난 3월 23일 미국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독자가 읽고 싶은 기사를 건별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블렌들은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타임매거진 등 프리미엄급 언론사를 포함 총 20개의 언론사와 제휴해 서비스를 시작했으..

2016. 6. 27. 11:00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박명호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석사, 미디어 교육가 #들어가는 말 : 미디어는 메시지다 지하철의 풍경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예전엔 커다란 신문을 펴보는 사람, 소설책을 읽는 사람, 옆 친구와 담소를 나누는 사람 등 다양했지만 지금은 하나같이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를 손에 들고 쳐다보고 있다. 지금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풍경이지만, 사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낯선 풍경이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의 등장이 이처럼 우리의 일상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것이다. 미디어(media)는 그 말의 의미처럼 우리의 삶을 ‘매개’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매개하고, 또 사람과 사회 사이를 매개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미디어의 존재는 아주 중요하다. 그 시대에 지배적으로 사용되어지는 ..

2016. 4. 14. 11:56
미국 미디어리터러시센터 연수기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월계고 교사 한유승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인터넷의 발명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은 우리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정보를 머릿속에 저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정작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골라내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우리 학생들이 개인과 세상을 연결해주는 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디어를 스스로 해석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어야 합니다.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에서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던 중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해 미국CML(Center for Media Literacy) 방문 연수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미디어를 분석하는 5가지 핵심 개념 CML..

2016. 1. 5. 14:00
미디어 포털은 망했지만 진 것은 아니다

마리아 메이어가 이끌고 있는 야후가 세금 문제로 중국 최대 상거래 사이트인 알리바바 지분 분사계획을 포기하고 대신 정반대로 핵심 사업인 미디어와 검색 사업을 새로운 회사로 분리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미디어와 검색 사업을 새로운 회사로 넘기면 야후의 미디어와 검색의 가치를 평가받기가 쉬워지고 매각도 보다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최대 무선 통신회사인 버라이즌이 벌써부터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기사화 되고 있으며, AT&T, 컴캐스트, IAC 등도 관심을 보일 것이라고 언론은 전망하고 있습니다. 본체인 미디어와 검색을 매각하고 알리바바에 투자를 해서 크게 성공했던 것처럼 야후는 투자 전문 회사로 변신 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야후는 알리바바 주식의 15%를 가지고 있는데 약 310억 달러 (약, 37조원)..

2015. 12. 17. 09:00
프랑스 국립미디어교육센터 연수기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 배명중 국어교사 안용순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고민 중 만난 프랑스 미디어교육 정보가 많아서 현실을 파악하는 데 헷갈리는 시대에는 정보를 가려낼 수 있는 밝은 눈이 필요합니다. 사회 구성원들이 밝은 눈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알려주는 미디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정보 분석 능력 교육이 중요합니다.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자신의 눈으로 정보를 선별해 스스로 생각하고, 세계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 능력을 기르며 세상을 알아나가는 지혜를 선별해나갈 수 있도록 가르치는 미디어교육이 필요한 시대인 것입니다. 유럽의 미디어교육은 1964년 유네스코에서미디어교육이라는 말을 처음 쓰면서 시작했습니다. 1970년대에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질서를 위한 다양한 움직임의 일환으..

2015. 11. 20. 14:00
매체 환경 변화와 미디어교육의 방향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고양관산초등학교 수석교사 이정균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이제는 미디어를 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적극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 종종 등장합니다. 그럴 때마다 이 교육의 중요성을 소리 높여 보지만 학교는 아직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일반 과목처럼 구체적인 교과 내용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교육과정도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중요하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불편한 학습이 될 것이라는 편견마저도 존재합니다. 대체 미디어교육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미디어의 의미를 해석하고 수용하며, 더 나아가 스스로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습니다. 현대사회 미디어의 ..

2015. 11. 9. 14:00
1 ··· 5 6 7 8 9 10 1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