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이벤트 신문 책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독서 기자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62)

  • 국민일보,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2019.12.11
  • [교육자들의 열린 서재 온더레코드에서 개최된 미디어리터러시 토론회]

    2019.11.15
  • 한겨레,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2019.11.06
  •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 미디어리터러시와 함께

    2019.09.11
  • ‘타인 이해하고 혐오 반대하는’ 시민 행동 교육

    2019.08.28
  • 한겨레, 읽고 만들기,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중요한 두 바퀴

    2019.08.23
국민일보,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 앞에서 올드미디어에 익숙한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할 지 갈피를 잡기 어렵습니다. 유해 콘텐츠에 노출될 것을 염려해 유튜브를 보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죠. 아이들 스스로가 미디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기사 출처 : 국민일보 신은정 기자 국민일보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aIKvi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속 끓는 부모들 유튜브 공화국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면서 남녀노소할 것 없이 TV보다 유튜브를 찾는다. 동치미 담그기 같은 요리 정보부터 지지 정당 대 news.kmib.co.kr #유튜브 #속_끓는_부모들 #스마트폰 #미디..

2019. 12. 11. 14:59
[교육자들의 열린 서재 온더레코드에서 개최된 미디어리터러시 토론회]

지난 8월 22일 서울 대학로 공공그라운드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제로 다양한 기관, 조직 관계자들이 터놓고 이야기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교사, 도서관 사서, 기자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유관기관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의견과 현장에서 느낀 고충 등을 자유롭게 나눴는데요, 그 현장의 이야기 자세히 보러 가실까요? 클릭이 돈 되는 시대, '가짜 뉴스' 잡으려면 '미디어 리터러시'부터 알아야 클릭이 돈이 되는 시대, 온라인 공간에 아주 매력적인 뉴스... www.ytn.co.kr 기사 출처 : YTN(사회) 서정호 기자 YTN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Uo6U0 #허위정보 #협업의_필요성 #설득과이해 #미디어교육 #뉴스 #미디어 #YTN #미..

2019. 11. 15. 16:39
한겨레,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미디어를 접하는 나이가 점점 낮아지면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김아미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님의 칼럼을 통해, 유럽연합의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네트워크 ‘디지리티’(DigiLitEY)가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함께 살펴볼까요? ​ 한겨레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x0roR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아미샘의 ‘미디어가 왜요?’ www.hani.co.kr #유아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가이드라인 #디지털교육 #유아미디어교육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1. 6. 17:20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 미디어리터러시와 함께

올 해의 반이 지나가고 우리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미디어리터러시와 함께 풍성한 한가위 보내시고 즐거운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2019. 9. 11. 18:30
‘타인 이해하고 혐오 반대하는’ 시민 행동 교육

혐오표현 문제와 미디어 리터러시 타인과 사회적 약자를 향한 차별적 언어와 적대적 행동 표현이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고 생산되면서 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더욱 심각해져가고 있다. 이처럼 모든 것을 미디어가 매개하는 시대에 혐오표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글 김세은 (강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혐오는 이데올로기에 따라 집단적으로 형성된 감정이다. 이것이 분출되려면 미리 정해진 양식이 필요하다. 모욕적인 언어 표현, 사고와 분류에 사용되는 연상과 이미지들, 범주를 나누고 평가하는 인식틀이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하다. 혐오와 증오는 느닷없이 폭발하는 것이 아니라 훈련되고 양성된다.”1) 바야흐로, 혐오의 시대 오늘날 한국 사회는 가히 혐오의 시대, 혐오의..

2019. 8. 28. 18:30
한겨레, 읽고 만들기,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중요한 두 바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의 제작 교육은 콘텐츠를 능숙하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는 목표와 방향성을 가집니다. 저자 김아미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의 칼럼을 통해 같이 고민해볼까요? 한겨레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yA2xL 읽고 만들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한 두 바퀴 지난 6월18일치 칼럼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우리가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지도 앱 같은 테크놀... www.hani.co.kr

2019. 8. 23. 15:30
1 ··· 3 4 5 6 7 8 9 ··· 1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