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2)
-
“의심하고 질문하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성평등 교육의 핵심 - 2부 -
성인지 감수성 수업 송: 제 경우는 성폭력을 다루는 기사를 함께 살펴보는 수업을 했어요. 팩트체크의 맥락이 아니라 기사에서 사용한 표현, 삽화, 사진 같은 것이 어떻게 피해자 중심주의의 원칙을 벗어났는지 보도 원칙과 함께 살펴보았어요. 성평등한 관점, 성인지 감수성에 기반해 봤을 때 무엇이 문제인지를 같이 이야기 해보는 것이죠. 그렇게 이야기하다 보면 결국에는 아주 섬세하고 어렵고 복잡한 얘기지만 “우리는 결국 해야 돼”라고 결론이 나는 것이 있어요. 예를 들어 성범죄자에 대한 기사를 공부하면서 성범죄자는 우리와 매우 다른 특별한 존재인 것처럼 말함으로써 윤리적 감각과 상상력을 제한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었어요. 가해자와 피해자의 성별 중 어떤 것을 밝히고 있으며, 어떤 효과를 낳는가. 남성이 피해자일..
2021.12.17 -
생활 속 미소지니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여성과 남성의 권리 및 기회의 평등을 주장하는 페미니즘 운동이 한국에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활 속에 깊숙이 묻어 있어 아무렇지 않게 지나쳤던 미소지니(misogyny)가 하나 둘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여성혐오, 수면 위로 떠오르다 지난 여름 강남역에서 ‘묻지마식’ 여성 살인사건이 터지고 난 후 우리사회에서는 ‘여성혐오’가 사회적인 이슈로 강하게 떠올랐다. ‘여성혐오’는 여성에 대한 부정과 비하, 여성에 대한 폭력, 남성 우월주의 사상, 여성의 성적 대상화 등을 포함한 여러 방식으로 등장한다. 이와 비슷한 말로 ‘미소지니(misogyny)’를 쓰기도 한다. 일본식 영어의 우리말 표현인 미소지니는 부정적 의미의 ..
2016.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