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책 신문 이벤트 신문읽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공모전 NIE 미디어교육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다시보기(35)

  •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2022.12.30
  •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2022.12.26
  • [웹진 다시보기]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2022.12.23
  • [웹진 다시보기] 통계와 과학용어만 가득, ‘내 문제’ 부각시킬 스토리텔링 필요해

    2022.12.09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가 기후변화에 책임 있을까?

    2022.12.02
  •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2022.11.25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대담: ‘기후 위기와 학교 현장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장서윤 (대전구봉고 교사)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교육과 환경 생태 교육에 앞장서 지행일치의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세 명의 교사와 대담을 나누었다. 전 지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소통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3년 전만 해도 지구온난화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2년 전부터는 미디어에서 ‘기후 위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용어의 변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학생들에게 환경 파괴의 결과에 대한 지식적 측면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기후 위기의 원인과 과정, 현상에 대해 직접적으로 체득..

2022. 12. 30. 11:36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기후 보도의 질적 성장을 위한 대안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최우리 (한겨레신문 기자) 8월 수도권에 내린 집중호우와 9월 태풍 힌남노에 의한 포항 지역 침수 피해 등 이제 우리나라에서 기후 위기, 기후변화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이러한 재난 상황을 신속히 보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시급하고 필요한 보도는 기후 위기의 원인과 대응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보도일 것이다. 기후 보도의 한계점과 대안을 현직 기자의 목소리로 소개한다. 는 2020년 4월 한국 언론 최초로 신문사에 기후변화팀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후 , , , , 등에서 순차적으로 기후와 환경을 다루는 팀이 따로 꾸려졌다. 그동안 언론사가 집중하지 않았던 기후 관련 보도를 전담해 이어갈 수 있는..

2022. 12. 26. 11:51
[웹진 다시보기]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기후 위기 보도 제대로 읽는 법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정희정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 연구위원) 언론은 사실을 확인하고 진실만을 보도해야 한다. 그러나 적어도 기후 보도와 관련해서는 고개를 갸웃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기후 위기에 여러 사회, 정치, 경제적 이해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일반 독자로서 기후 보도를 접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다섯 가지 핵심 비법을 소개한다. 첫째, 숫자도 거짓말을 한다. 통계에 속지 말자. 통계의 탈을 쓴 거짓말, 의도적으로 활용된 숫자에 속지 않기 위해 자꾸 의심해 봐야 한다. 둘째, 국제기구와 외신 등의 권위에 속지 말고 의심해 보자. 우리 언론은 국제기구, 국제 사회라는 권위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아예 검증을 시도하지 않는 ..

2022. 12. 23. 10:15
[웹진 다시보기] 통계와 과학용어만 가득, ‘내 문제’ 부각시킬 스토리텔링 필요해

국내 기후 위기 보도의 경향과 문제점 통계와 과학용어만 가득, ‘내 문제’ 부각시킬 스토리텔링 필요해 이봉현 (한겨레신문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올 초 기후 위기 취재기자 11명, 시민 단체 활동가 9명, 교수 4명 등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기후 위기 보도 개선 방안을 다룬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현황과 개선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의 공저자 중 한 명인 이봉현 한겨레신문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이 한국 언론의 기후 보도 문제점을 세 가지로 정리한 뒤,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 기후 보도가 가능할지 제언한다. ①소극적인 보도 태도 기후 위기의 심각성과 긴급성에 비춰, 임팩트 있고 핵심을 짚는 보도는 드물다. 많은 언론사에서 기후 보도를 환경이나 기상의 영역으로 ..

2022. 12. 9. 10:46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가 기후변화에 책임 있을까?

에코미디어의 정의와 에코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가 기후변화에 책임 있을까? 안토니오 로페즈(Antonio Lopez) / 이탈리아 존카봇대학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과 학과장 번역: 최원석 (미디어 리터러시교육 활동가) 기후 위기와 미디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미디어’에 ‘에코‘(환경)라는 접두사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탈리아 존카봇대학 안토니오 로페즈 교수의 글을 번역해 싣는다. 이 글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주요 개념 중 생산 구조 차원에서 인터넷, 전자 기기, 데이터, 또 나아가 블록체인 등이 어떻게 기후 위기, 생태, 환경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미디어와 환경이 어떤 관계인지는 ‘에코미디어 마인드프린트(ecomediamindprint)’와 ‘에코미디어 풋프린트(ecomediafootprin..

2022. 12. 2. 10:28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 ​ 주한독일문화원 ‘페이크헌터 탐정단’ 프로젝트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김의관 (주한독일문화원 교육협력부&PASCH 동아시아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주은혜 (주한독일문화원 정보&도서관 프로젝트 매니저) ​ ​ ​ ​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는 2018년 독일에서 탄생한 청소년 대상 가짜뉴스 판별 교육 프로젝트로, 지금까지 독일 전역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이해를 높이고 정보와 미디어 리서치 능력을 키우면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 주한독일문화원은 한국 현실에 맞게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를 재구성하여 올해 처음 ‘페이크헌터 탐정단’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만 15~18세의 청소년이라면 독일어 능..

2022. 11. 25. 10:37
1 2 3 4 ··· 6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