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누출량의 1900배 많은 불산 사용지는?

2012. 10. 12. 09:27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


 

불산가스에 대한 공포가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달 17일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여파로 경북 구미가 황량하고 무서운 도시가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이미 5명이 숨지고 18명이 부상했으며 5700명이 입원이나 치료를 받았습니다. 농작물과 가축 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고향집을 떠난 주민도 수백명에 달한다고 해요. 하지만 과연 불산가스가 구미에 한정된 문제일까요? 다독다독이 언론 보도를 중심으로 전국 불산가스 취급지를 살펴봤습니다.




구미 불산가스 재앙,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은 회사와 안이한 공무원 대처의 인재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CCTV 화면 공개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낸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경찰 조사 결과 안전수칙 미준수 때문으로 드러났습니다. 불산가스를 옮기는 과정에서 급히 작업하다보니 사고가 일어난 것이죠.



(전략) 경찰 조사 결과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은 것이 직접적 원인이었다. 탱크로리의 불산가스를 저장 탱크로 옮기는 과정에서 시간을 줄이기 위해 급하게 작업하다 사고가 일어났다. (후략)


<구미 불산참사> 국민일보, 2012. 10. 10



더 큰 문제는 구미시가 이 유출 사고를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겁니다. 사고 발생 하루만에 상황 종료를 선언하고 대책 마련도 없이 추석 연휴를 즐기기나 했습니다. 즉시 소석회를 살포하라는 환경과학원의 경고도 듣는둥 마는둥했고요. 그 결과가 뒤늦은 특별재난지역 선포입니다.  지역주민들이 구미 불산 유출 사고에 대해 집단소송과 사법처리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당연해요.



[출처-서울신문]




구미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대전, 충청도 불산가스 공포


구미시의 불소가스 누출사고에 시달리고 있는 건 구미시민뿐만이 아닙니다. 구미에서 떨어진 대전이나 충청도도 불산가스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대전과 충청도는 연간 10톤 이상 불산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18개에 취급량은 약 4천 톤에 달한다고 합니다. 



(전략) 대전·충남북은 연간 10t 이상 불산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18개에 취급량이 3891t에 달하고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은 수천 개에 이르지만 자치단체 간 업무 분산 등으로 정밀 통계조차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후략)


<불산가스 공포, 수십Km떨어진 대전·충남 왜> 대전일보, 2012. 10. 9




이에 대전과 충청도 시민들도 불산가스 공포에 떨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번 누출사고가 초기에 잡히지 못하고 확산된 것에는 유해화학물질 등 위험물에 대한 정부와 자치단체의 안이함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죠. 정부와 해당 자치단체는 정밀 통계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고 해요.




불산가스 최대 생산지는 구미가 아닌 울산. 2004년에는 누출사고도 일어나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두려움이 온 국민을 덮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최대의 석유화학 공단이 있는 울산도 불산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문제제기가 있습니다. 울산의 불산가스 사용량은 구미 사고 누출량의 1900배에 가까운 15000톤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전략) 국내 최대 규모의 울산 석유화학 공단에는 불산 취급업체가 모두 6곳입니다. 연간 사용량만 해도 구미 사고 누출량의 천9백 배에 가까운 만 5천여톤에 이릅니다. (후략)


<울산 ‘불산 취급업체’ 6곳…안전지대 아니다> KBS, 2012. 10. 10 



유독물 관리 기준에 따라 정기 점검을 받고는 있지만, 국내 취대 공단답게 유독물 취급 공장이 470곳이 넘는데다 감독기관도 제각각 6곳으로 분산돼 체계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고 해요. 이런 가운데 울산 지역 화학공단은 민가는 물론 도심과도 인접해 있는 상태입니다.



[출처-서울신문]




2004년에는 실제로 울산에서도 불산가스 유출사고가 있었습니다. 그때는 공장 밸브 고장으로 불산 3kg이 누출되었지만, 당시 주민들은 알지도 못했다고 해요.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사고 한 달 뒤 주변 가로수와 인근 조경업체의 조경수가 말라 죽어 유해성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었습니다.



국내 최대 불산 취급지인 울산에서도 화학물질사고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11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사고 예방, 대비, 대응을 위한 법률’을 제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후략)


<이번엔 불산 포비아? 국내 최대 불산 취급지 울산시민들 대책마련 요구> 헤럴드경제, 2012. 10. 11



국내 최대 불산 취급지인 울산에서도 화학물질사고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울산환경운동연합은 화학물질 사고 예방, 대비, 대응을 위한 법률을 제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OECD는 화학사고 예방, 대응을 위해 화학업체의 정보를 공개하고 대피행동 안내서 등을 규정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한국은 OECD 회원국이면서도 아직 관련 법률을 제정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죠.



[출처-서울신문]




불산가스 누출사고는 인재. 화학사고에 대한 법률 제정과 교육, 보상 필요


구미뿐만이 아니라 대전, 충청도, 나아가 우리나라 최대의 공단인 울산도 불산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확인되었습니다. 더 이상의 사고가 없도록 철저히 단속해야 할 것입니다. 만에 하나라도 울산에서 구미와 같은 사고가 난다면 그 결과는 끔찍할 겁니다.


화학물질로 인한 대참사는 인도의 보팔사태를 들 수 있을 겁니다. 1984년 최악의 유독가스 유출 참사가 발생한 인도의 보팔. 미국계 가국적기업인 유니언 카바이드사의 공장에서 화학물질 저장 탱크가 터져 치명적인 유독가스가 인근 인구 밀집지역으로 흘러들었습니다. 사망자 통계는 지금도 정확지 않지만 물경 3만 명이라고 해요. 50만 명이 실명하거나 호흡기 장애를 일으켰고 기형아 출산도 잦아졌습니다. 회사의 안전수칙 미준수와 조기경보 체계 미작동 때문에 벌어진 인재였습니다. 이처럼 화학물질에 의한 사고는 참혹한 결과를 낳곤 합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해결의 기미를 찾아가는 구미 불산가스 유출사고. 화학사고에 대한 법률 제정과 책임자 처벌, 예방 교육 그리고 이번 구미 불산가스 유출사고 피해자에 대한 구제가 필요한 때입니다.



©다독다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