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뉴스리터러시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스마트폰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미디어교육 기자 이벤트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제대로 된 자살 보도가 생명 구한다

    2011.06.08
  • 온라인 뉴스가 따라올 수 없는 ‘지면 편집의 힘’이란

    2011.06.07
  • ‘종이나라박물관’에서 만난 종이의 새로운 발견

    2011.06.03
  • 면접을 대비한 기업 정보, RSS 리더로 쉽게 받아보자

    2011.06.03
  • 댓글로 통하는 독서모임, 소셜북스를 아세요?

    2011.06.02
  • 요즘 아이들이 읽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3가지 이유

    2011.06.02
제대로 된 자살 보도가 생명 구한다

대표적인 고전 문학으로 일컬어지는 를 남긴 독일의 문학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장장 60년이 걸려 완성했다는 이 작품은 괴테가 세상을 떠난 후 ‘대작’의 반열에 올랐는데요. 하지만 가 유명해진 것은 괴테 사후의 일로, 사실 괴테는 생전에 이라는 청춘 소설로 더욱 큰 인기를 얻었답니다. 1774년에 간행된 은 친구의 약혼녀를 사랑했던 괴테 자신의 체험이 어우러진 자전적인 소설로, 끝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절망해 자살로 생을 마감한 비극적인 청춘의 이야기입니다. 이 소설은 비슷한 연령대의 젊은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작품 속 주인공 베르테르의 아픔에 공감한 많은 젊은이들이 모방자살을 해 당시 사회적인 파장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

2011. 6. 8. 09:06
온라인 뉴스가 따라올 수 없는 ‘지면 편집의 힘’이란

10년 뒤에도 신문이 있을까요? 신문이 위기라고 합니다. 아니 신문산업이 위기라고 합니다. 극단적으로는 요즘 종이신문 누가 보냐며 멀지 않은 장래에 신문은 사라질 거라고 예언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실제로도 신문을 구독하는 독자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미국의 일부 신문은 조만간 종이신문 발행을 중단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습니다. 이미 실행에 옮긴 곳도 있습니다. 신문은 과연 사라지는 매체일까요. 더는 신문의 매력은 없는 걸까요. 아침에 일어나면 신문부터 집어드는 50~60대 어르신들이 사라지면 신문도 그 생명이 끝나는 걸까요. 소위 말하는 신문 전문가들조차 견해가 엇갈립니다. 비관론자의 주장은 이렇습니다. “종이활자시대는 갔다. 인터넷 클릭 한 번이면 필요한 정보를 모두 찾아볼 수 있는데 누가 신문을 볼..

2011. 6. 7. 13:26
‘종이나라박물관’에서 만난 종이의 새로운 발견

전자책과 각종 스마트 기기 등이 등장하면서 미래사회에서는 이제 종이의 쓰임새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단하는 의견이 많습니다. 하지만, 종이로 된 책이나 신문을 넘길 때 그 특유의 손맛 때문에라도 종이를 고집한다는 사람도 많이 있죠. 그렇게 책과 신문을 만들고, 생활과 산업 곳곳에서 수없이 쓰이는 종이가 가끔은 예술 작품으로 변신하기도 합니다. 종이로 표현하는 예술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서울 장충동에 있는 ‘종이나라박물관’에 가보면, 종이로 만들어진 것이 맞나 싶을 정도로 놀라운 작품들이 눈에 띄는데요. 그 판타스틱한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미술 작품으로 재탄생하는 종이 이곳 종이나라박물관은 우리나라의 우수한 종이문화유물을 소장하고, 창조적인 종이문화예술작품을 발굴해 전시하고 있는데요. 이외에도 , 등 다양..

2011. 6. 3. 13:19
면접을 대비한 기업 정보, RSS 리더로 쉽게 받아보자

지금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사람들도 이력서를 작성하기 위해 기업 홈페이지를 방문해본 기억이 있을 겁니다. 취업을 위해 이력서를 작성하려면 해당 기업의 정보를 최대한 파악한 후 작성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대학생들의 이력서나 면접상황을 보면 이런 기본적인 것들이 잘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취업, 인사 포털 사이트 인크루트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기업 정보를 충실히 파악한 지원자가 17.7%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었죠. 면접을 대비한 기업 정보, 어떻게 습득할 수 있을까? 기업 면접에서는 사업영역, 제품, 서비스에 관한 질문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능력이나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하여도 지원 기업에 대한 정보조차 충분히 숙지하..

2011. 6. 3. 09:14
댓글로 통하는 독서모임, 소셜북스를 아세요?

좋은 책이란 물론 거침없이 읽히는 책이다. 그러나 진짜 양서는 읽다가 자꾸 덮히는 책이어야 한다. 한두 구절이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주기 때문이다. 이렇듯 양서란 거울 같은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한 권의 책이 때로는 번쩍 내 눈을 뜨게 하고, 안이해지려는 내 일상을 깨우쳐 준다. - 무소유 본문 中 (법정스님) 스마트폰 1000만대 시대에 맞춰 짧은 메시지를 주고 받는 소셜네트워크(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뉴스나 속보를 전달하는 공적인 기능은 물론, 자투리 시간을 보내거나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단문 메시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늘수록, 반대로 책에 대한 관심은 매우 하락하고 있습니다. ..

2011. 6. 2. 12:57
요즘 아이들이 읽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3가지 이유

“자, 자유롭게 독서하는 시간이에요.” 우리 반은 1주일에 한번 아침자습으로 자율독서활동을 갖습니다. 10여 년 전 처음 교단에 섰을 때만 해도 아이들은 독서하는 시간을 일부러 시간 내어 갖게 해주면 환호성을 올리며 좋아했답니다. 요즘 아이들은 독서하는 시간이라고 해도 시무룩한 표정을 지으며 그다지 반기지 않는 눈치입니다. 책 읽기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며 부모님들이 책 읽기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는 사회풍토와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하는 독서활동시간에 만화책을 찾는가 하면 책장만 만지작거리며 읽는 것 자체를 힘들어하는 모습은 현재 우리 아이들 읽기교육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아이들은 책 읽기를 싫어할까요? 우리 아이들이 책 읽기를 힘들어하는, 어쩌면 더 나아..

2011. 6. 2. 08:56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