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신문 뉴스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책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영상과 소리로 보는 미래형 뉴스, ‘인터랙티브 뉴스’ 어디까지 왔나

    2014.04.18
  • 한류와 만난 한국 언론, 세계 속 위상은?

    2014.04.16
  • 모바일 뉴스 시대의 도래! 뉴스는 어떻게 소비되고 있을까?

    2014.04.15
  • 모바일 뉴스 큐레이팅 시대, 한국형 모바일 뉴스의 현주소는?

    2014.04.09
  • 잠시만요, 감성충전 하고 가실게요~

    2014.02.21
  • ‘미국, 정말 기회의 땅일까?’ 미국 사회의 실상 알아보니

    2014.02.04
영상과 소리로 보는 미래형 뉴스, ‘인터랙티브 뉴스’ 어디까지 왔나

스노폴(Snow Fall)과 파이어스톰(Fire Storm). 어찌 보면 극과 극인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두 단어가 전 세계 미디어에 미친 영향은 계속해서 현재 진행형입니다. 뉴스의 생산 과정부터 소비의 방식까지 다양한 형식의 ‘OOO저널리즘’들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텍스트는 물론 동영상과 애니메이션, 사진, 인포그래픽 이미지 등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뉴스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된 계기가 바로 뉴욕타임스의 인터랙티브 뉴스 ‘스노폴’과 가디언의 ‘파이어스톰’이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_뉴욕타임스 스노폴 홈페이지, 가디언 파이어스톰 홈페이지 2013년 퓰리처상 기획보도 부문 수상작이기도 한 스노폴은 미국의 한 스키장에서 발생한 눈사태 사고에 대한 기획기사입니다. 그런데 텍스트와 사진 등으로만 ..

2014. 4. 18. 11:20
한류와 만난 한국 언론, 세계 속 위상은?

이미지 출처/ pixabay by tpsdave 최근 3~4년 사이 한국 언론이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죠. 특히 해외 현지의 업체가 한국 매체나 대행사로부터 콘텐츠를 받고 제작하는 지금까지의 관행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매거진을 직접 발행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해외로 진출하는 한국 언론을 뒷받침해주는 정부도 예산 지원에 팔을 걷고 나서면서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죠. 이번에는 해외로 나가는 한국 언론의 현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로 진출한 한국 언론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서 해외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우선 신문 자체로 진출한 경우가 있는데요. 종합일간지에서는 서울신문이 가장 적극적입니..

2014. 4. 16. 11:13
모바일 뉴스 시대의 도래! 뉴스는 어떻게 소비되고 있을까?

이미지 출처_flickr by Shinichi Higashi 스마트폰 가입자 4,000만 시대가 머지않았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10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는 3,600만 명을 돌파했으며, 통신업계는 2014년 상반기 안에 가입자 수가 4,000만에 육박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폰을 위시한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대중화는 미디어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데요. ‘2013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모바일로 인한 미디어 환경의 지각 변동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 이용률(68.0%) 및 뉴스 이용률(55.3%)이 2013년 처음으로 데스크톱 PC 이용률(64.4%)과 뉴스 이용률(50.7%)을 앞지른 ..

2014. 4. 15. 11:17
모바일 뉴스 큐레이팅 시대, 한국형 모바일 뉴스의 현주소는?

▲ 출처_페이스북 페이퍼 사이트 최근에는 신문을 보는 사람보다 모바일로 뉴스를 보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간편하게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전통 미디어인 신문, 잡지 등이 고전적인 방법으로 계속 발전보다는 유지하는 사이 다양한 SNS 매체에서는 이용자의 관심사, 랭킹 알고리즘 등을 활용해서 ‘읽기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그래서 ‘소셜 리딩(social reading)’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탄생시켰죠. 이렇게 태어난 미디어들이 대부분 외국에서 만들어진 매체를 활용하고 있답니다. 이용자와 친숙하면서 모바일로 뉴스를 쉽게 만날 수 있는 한국형 모바일 혁신이 절실한데요. 외국의 사례를 통해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모색해볼까요? ▲ 출처_페이스북 페이퍼,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아이툰스..

2014. 4. 9. 16:44
잠시만요, 감성충전 하고 가실게요~

어느덧 겨울방학 시즌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짧고도 긴, 두 달이라는 시간이 지나는 동안 다독다독 친구들은 어떤 일을 해내셨나요? ‘아르바이트, 영어공부, 여행, 연애, 대외 활동’ 등등 방학 시작 전 야심차게 계획했던 일들을 모두 잘해냈을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방학마저도 숨 돌릴 틈 없이 무엇인가 해야 한다는 사실에 방학이 끝날 때쯤이면 허무한 마음이 앞서기도 하는데요. 현재 많은 사람이 ‘워커홀릭’ 증후군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일에 파묻혀 사는 사람을 ‘워커홀릭’이라 부르지만 워커홀릭은 스스로 일 외에는 자신을 지탱할 정신적인 힘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때문에 자신의 자존감의 근원을 일에서 찾으려고 하며 끊임없이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불안해하죠. 하지만 이런 과도한..

2014. 2. 21. 11:39
‘미국, 정말 기회의 땅일까?’ 미국 사회의 실상 알아보니

퀴즈를 하나 드리겠습니다. 이 나라의 기대수명은 78세입니다. 일본의 83세, 호주·이스라엘의 82세보다 짧습니다. 순위로 따지면 세계 40위 정도로 쿠바보다 낮다고 하네요. 유아 사망률은 벨라루스, 말레이시아보다 높고요. 수감자 비율은 성인 100명 중 1명꼴로 세계 최고이며, 대다수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면 9~10배에 이릅니다. 강력 범죄 발생 수치도 심각한 수준이고요. 일 년 중 한 달 이상을 하루 생계비 2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극빈층이 150만 가구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 나라는 어디일까요? 의외로 쉽게 답을 맞히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답은 ‘미국’입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미국이 쇠락하고 있다는 말씀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래도 이 정도일 줄은 짐작하지 못했다는 분들이 분명..

2014. 2. 4. 10:44
1 ··· 58 59 60 61 62 63 64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