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진흥재단 소식(192)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의 디지털 문해력에 대한 인식
한국 청소년의 디지털 문해력이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태어나서부터 바로 고도화된 디지털 기술을 접하고 있습니다. 실제 KISDI STAT Report의 ‘알파 세대의 등장과 미디어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알파 세대(’21년 만 8~11세)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89.9%로 동 연령대의 Z세대(’17년 기준 만 8~11세)가 80.8%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콘텐츠 (교육 동영상, 온라인 뉴스/잡지/E-book, 음악 등)를 이용한 경험은 68.6%로 4.3%를 보인 Z세대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OECD가 발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1세기 독자: 디지털 ..
2022.09.07 -
[웹진 다시보기]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의 만남!일상 속 뉴스로 소통하다
제3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개최기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의 만남! 일상 속 뉴스로 소통하다 이영균(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뉴스일기를 통해 어렵게만 느껴졌던 사회·정치·경제 분야 기사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고, 세상과 더 가깝게 연결될 수 있었다.” 지난 7월 8일에 열린 에서 전해진 말이다.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장이 공존하는 ! 의 열기 속으로 함께 떠나보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을 개최하여 국민들에게 분별력 있는 뉴스 이용과 책임 있는 활용,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뉴스일기란 ‘뉴스읽기를 실천하는 뉴스일기장’으로 일상에서 뉴스를 접한 뒤 느낀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작성하는 일기를 말한다. 이 공모전은 남녀노소 누구나 ..
2022.09.02 -
8월의 추천 영화 – 소셜 딜레마
영화 「소셜 딜레마」는 소셜 미디어가 인류에게 미친 영향과 그 뒤에 숨은 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흔히 구글은 검색창이고 페이스북은 친구들이 뭐 하는지 보는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의 심리를 역이용하고, 관심사와 정보를 통제하고, 가짜 뉴스를 빠르게 퍼뜨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SNS 기업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알고리즘은 소셜 미디어 중독을 일으키고, 정신건강을 위협하고, 사회적 분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가짜 뉴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규제와 SNS 기업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세상 속에서 가짜 뉴스를 판별하고 비판적으로 SNS를 사용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의심과 판별할 수 있는..
2022.08.31 -
[웹진 다시보기] 아동 인플루언서·팔로워 모두 보호 대상
영국 하원, ‘디지털 미디어 시대 어린이 보호’ 촉구 아동 인플루언서·팔로워 모두 보호 대상 김세환(동국대 영상대학원 강의전담교수)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위원회 (이하 위원회)는 현재의 아동노동과 광고 법제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콘텐츠 문화를 반영하지 못하면서 어린이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인플루언서 마케팅으로부터 어린이 이용자를 보호하는 콘텐츠 소비자 측면과, 부모와 보호자로부터 아동 인플루언서의 노동 착취를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생산자 측면의 정책을 제안했다. 인플루언서 광고와 마케팅은 인플루언서와 어린이 이용자 사이에 형성되는 의사사회적 관계로 인해 어린이가 광고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위원회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인플루언서 광고 관련 ..
2022.08.26 -
한국언론진흥재단-틱톡 ‘미디어 리터러시 사업 협업’을 위한업무협약 체결!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틱톡이 ‘미디어 리터러시 사업 협업’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업무협약은 온라인 상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알리고 관련 교육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특히 청소년들이 숏폼 동영상 플랫폼을 이해하고, 다양한 미디어 정보를 받아들일 때 있어 비판적 사고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힘을 모을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틱톡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콘텐츠 공동 개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 및 홍보 등을 공동으로 추진해 갈 방침입니다. 미디어 재현, 필터 버블, 게이트 키핑 등 청소년이 알아두면 유용할 미디어 리터러시의 주요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5편의 교..
2022.08.25 -
[웹진 다시보기] 시민 교육 차원에서 전 연령별 교육 강조
영국 저널리즘 교육에서 뉴스 리터러시의 위상 시민 교육 차원에서 전 연령별 교육 강조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전 세계적으로 뉴스 리터러시를 함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영국은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영국에서 최근 뉴스 리터러시를 바라보는 시선과 교육에서 뉴스 리터러시가 차지하는 위상은 어떠한지 관련 문헌을 정리해 살펴보았다. 뉴스 리터러시는 뉴스라는 콘텐츠의 생산, 수용, 공유와 관련된 전반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그동안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왔지만 가짜뉴스(fake news) 문제가 대두되면서 뉴스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가짜뉴스에 대응하는 방안 중 하나로도 제안된다...
20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