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6)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5)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공모전 미디어교육 기자 스마트폰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독서 뉴스 NIE 이벤트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3)

  • SNS와 저널리즘

    2016.11.23
  • 일독일행(一讀一行), 당신도 변할 수 있다. 유근용 작가가 전하는 '독서노트 작성법'

    2016.11.22
  • 롱폼 텍스트, 뭣이 중헌디?

    2016.11.22
  • 독감, 이렇게 예방하세요!

    2016.11.21
  • 기자 체험과 NIE 수업 함께해요. 조선일보 뉴지엄(Newseum)

    2016.11.21
  • 나를 깨우는 한 줄 (11월 2주차)

    2016.11.18
SNS와 저널리즘

[요약] 지난 6월 미국 하버드대 저널리즘 연구소인 니먼랩이 '2016 미국 뉴스 미디어 보고서'를 통해 현재 미국 성인의 절반가량이 페이스북에서 뉴스를 접한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소셜미디어 뉴스콘텐츠의 증가 미국인들은 주로 영상중계 서비스인 '페이스북 라이브'나 뉴스 서비스인 '인스턴트 아티클'로 뉴스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미국 내 일간지 구독률과 신문광고 매출은 전년에 비해 각각 7%, 8% 감소한 반면 이용자 수가 16억 명이 넘은 페이스북은 지난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총 수익의 약 30%인 80억 달러를 벌어들이기도 했다. 이렇듯 뉴스시장에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플랫폼의 지배력은 계속 확대되는 추세다. 국내 상황 또한 마찬가지다. '2015 한국언론수용자 의식조사'를 보면 이동형..

2016. 11. 23. 11:00
일독일행(一讀一行), 당신도 변할 수 있다. 유근용 작가가 전하는 '독서노트 작성법'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요약] 계획만 하는 계획중독자인 당신의 인생을 변화시켜줄 특강이 지난 10월 매주 주말 열렸다. 특강의 연사는 초인 용쌤이라는 닉네임으로 알려진 유근용 작가. 유 작가는 14년간 삶의 기록이 담긴 다이어리, 생각의 축(軸)을 형성한 독서노트를 청중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터넷, 스마트폰,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아날로그의 향수를 맡게 해주는 그의 독서노트, 다이어리에는 특별함이 있었다. #꿈만 꾸는 사람은 실천하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 강연 시작, 유근용 작가는 “상상만 한다고 해서 꿈이 이뤄진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는 메시지로 말문을 열었다. “행동이 없는 상상은 무의미하고 기록이 없는 상상은 있을 수 없다”며 “사..

2016. 11. 22. 17:00
롱폼 텍스트, 뭣이 중헌디?

[요약] 현재의 젊은 세대는 뉴스에 대한 관심은 적지만, 실제 디지털 뉴스 시장의 환경 변화를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멀티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디지털 뉴스와 비디오 이용이 잦은 밀레니얼 세대의 저널리즘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걸까요? 도널드 레이놀스 저널리즘 연구소에서 최근 발행한 보고서 을 통해 소개합니다. #스노폴, 디지털 롱펌 저널리즘의 출발 본 연구 보고서는 특히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롱폼 저널리즘’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2012년 12월 뉴욕 타임스는 미국 워싱턴주 캐스케이드 산맥의 눈사태를 다룬 멀티미디어 형태의-비디오, 인포그래픽, 멀티 디자인 요소들을 결합한-총 1만7,000자의 기사, ‘스노폴(Snow Fall)’을 발행했다. 그리고 이후 등장한 ‘멀티..

2016. 11. 22. 12:00
독감, 이렇게 예방하세요!

[요약] 11월이 되자 날씨가 본격적으로 추워졌습니다. 완연한 겨울이 오면 독감이 유행할 텐데요. 이에 앞서 다독다독에서 독감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독감은 독한 감기? 흔히, 독감을 ‘독한 감기’라고 인식해 병원에 가지 않고 일반 감기약을 먹기도 합니다. 그러나 의학적으로 독감과 감기는 엄연히 다른 질환입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을 의미하며, 주로 봄철과 겨울에 유행합니다. 감기의 원인은 리노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가 대표적이며, 변종을 일으키는 200종 넘는 많은 바이러스입니다. 둘의 증상도 다릅니다. 감기는 약간의 미열과 몸살기 증상이 나타나면서 콧물, 기침 등을 동반합니다. 이에 반해 독감은 갑작스레 38℃ 이상의 고열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기침, 두통, 근육통, 오한 ..

2016. 11. 21. 18:00
기자 체험과 NIE 수업 함께해요. 조선일보 뉴지엄(Newseum)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신문·방송 복합 미디어 체험 공간인 조선일보 뉴지엄에서 기자체험과 NIE(신문활용교육) 수업을 동시에 시행하는 프로그램은 오랜 전통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참여 학생들은 신문·방송 기자가 돼 기사 작성과 방송 뉴스를 직접 제작하는 미디어 체험과 신문 지면을 활용해 글쓰기 요령과 사고력·논리력 등을 배우는 NIE 수업을 통해 신문 읽기요령과 스크랩 방법을 조선일보가 직접 양성한 NIE 지도사로부터 배웁니다. 조선일보 뉴지엄은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조선일보 96년 역사의 발자취를 담은 ‘역사 기념관’과 신문 방송 기자 체험 공간인 ‘미디어 체험관’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뉴지엄은 국내 언론사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조선일보의 자취를 정리한 ..

2016. 11. 21. 11:00
나를 깨우는 한 줄 (11월 2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11월 2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나는 백만의 총검보다도, 석 장의 신문지를 더 두려워한다. 나폴레옹(napoleon bonaparte) 두려운 내일이지만 두근거리는 먼 내일을 생각하며 힘을 내요 김동혁『신호등처럼』중에서 경험이란 자신의 실패에 대해 붙여주는 이름이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좋은 책을 읽는 것은 지난 몇 세기에 걸쳐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과 같다. 르네 데카르트(Rene Descartes) 생각하는 대로 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살아온 대로 생각하게 될 것이다. 폴 부르제(Paul Charles Joseph Bourget)

2016. 11. 18. 17:00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53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