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NIE 미디어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뉴스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바람도 쉬어가는 그 곳, 라오스 여행 이야기

    2013.08.19
  • 아이의 창의력 키워주는 ‘열려라 팝업북!’ 展에 다녀오니

    2013.08.16
  • 국내 최초 100시간 신문읽기에 도전해보니

    2013.08.16
  • 지방출신 기자의 고백, ‘너의 사투리가 들려’

    2013.08.14
  • 신문기사를 통해 살펴본 오늘 날의 ‘연애학개론’

    2013.08.14
  • 신문기사에서 찾아본 무라카미 하루키 열풍!

    2013.08.13
바람도 쉬어가는 그 곳, 라오스 여행 이야기

라오스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까맣게 그을린 구릿빛 피부의 아이들이 순백의 미소를 띠고 맨발로 뛰노는 모습이 떠오르시나요? 혹시 라오스하면 떠오르는 적당한 풍경이 없으신지요? 그간 여행지로서의 라오스는 타 동남아 국가들에 비해 인기가 덜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해마다 휴가철이면 태국과 베트남, 캄보디아 등지로 떠나는 사람들이 공항을 가득 매우지만 정작 라오스를 여행하고 왔다는 사람의 이야기는 전해 듣지 못했거든요. 불교와 코끼리의 나라, 사회주의 국가 라오스가 사람들의 이목을 끈 것은 다름 아닌 2009년 뉴욕타임즈가 죽기 전에 가봐야 할 나라 1위로 라오스를 지목한 이후입니다. 외국의 원조를 받으며 살아가는 가난한 동남아 국가에 때 묻지 않은 어떤 진풍경이 펼쳐져 있는지 사람들은 궁금해 하기 ..

2013. 8. 19. 10:23
아이의 창의력 키워주는 ‘열려라 팝업북!’ 展에 다녀오니

어린 시절, 부모님이 주신 크리스마스 카드를 펼치니 오색찬란한 트리가 튀어나왔던 적 있으신가요? 친구에게 받은 생일 축하카드를 펼치니 마술처럼 케이크가 등장한 순간은 없으셨나요? 이런 방식이 적용된 책을 ‘팝업북(Pop-up book)’이라고 부릅니다. ‘팝업북’은 책을 펼쳤을 때 입체적으로 그림 등이 튀어나오도록 한 일종의 장난감 책입니다. 서울 서초구 양재동 아트센터ida에서 열리고 있는 ‘열려라 팝업북’ 展은 지난 세계팝업아트전의 감동을, ‘팝업북’을 제일 많이 ‘보고’ ‘읽는’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다양한 주제로 재구성했습니다. 책이 아닌 하나의 예술품으로 당당히 전시되어 있는 ‘팝업북’! 그 매력, 함께 느껴보실까요? 다양한 원리가 숨어있는 예술의 집약체 ‘팝업북’ 책장을 넘기는 순간 종이가..

2013. 8. 16. 13:14
국내 최초 100시간 신문읽기에 도전해보니

100년이 넘게 우리는 신문 앞에서 침묵했다. 그리고 어쩌면 어느 날 종이신문이 진짜로 침묵할지도 모른다는 위기 아래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 읽기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바로가기] 나는 평소 신문을 자주 읽는다. 스마트폰으로도 기사를 읽지만 종이신문을 더 선호한다. 가능한 한 여러 개의 신문을 읽고 관심 가는 내용을 메모하고 사색하는 것을 즐긴다. 하지만 종이신문은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에 그 자리를 잃고 있다. 무엇보다 딱딱하고 지루한 것이 돼 간다는 것이 문제였다. 평상시에 그냥 지나치던 신문으로 재미있는 기억을 만들 순 없을까? 신문을 읽다 문득 한 가지 재미있고 의미도 있는 도전을 한번 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1..

2013. 8. 16. 09:57
지방출신 기자의 고백, ‘너의 사투리가 들려’

나는 사투리는 제1언어로 받아들인 ‘사투리언’이다. 한강이남 지역에서 태어났고,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을 접할 기회는 드물었다. 억양이 독특하다거나, 어미에 일관된 특징이 있다든지, 문장을 축약해 쓴다는 자각은 없었다. 보고 듣고 느끼는 걸 표현하며 사는 동안 사투리는 벗을 수 없는 옷, 일종의 피부가 됐다. 사투리에도 ‘서열’이 있다? 고등학생 되던 해 나는 집을 떠나 고등학교 기숙사로 들어갔다. 나를 포함해 12명의 룸메이트는 모두 사투리언이었다. 소소한 차이는 있었다. 행정구역상 주소가 달랐고, 그에 따라 사투리의 구성 성분도 바뀌었다. 당연하게도 소통의 문제는 없었다. 다만 사투리의 우월함을 두고 언쟁이 벌어지긴 했다. 기준은 명확했다. 어떤 사투리가 표준어와 많이 닮았느냐, ..

2013. 8. 14. 13:35
신문기사를 통해 살펴본 오늘 날의 ‘연애학개론’

우리는 현재, 속된 말로 ‘사랑꾼’이라 불릴 만큼 ‘사랑’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연일 보도되는 스타 커플의 탄생, 아무리 들어도 질리지 않는 사랑노래들, 비슷한 이야기 구조지만 매번 흥미진진한 연애드라마들. ‘사랑’이라는 주제만으로도 우리는 충분히 가슴 설레 합니다. 이렇듯 ‘사랑’은 항상 같은 패턴과 비슷한 사연을 지니고 있어도 도무지 질리지 않는 주제입니다. [출처-서울신문] 비너스의 탄생(Nascita di Venere), 보티첼리 ,1486년경.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보티첼리의 명작. 172.5X278.5cm의 캔버스에 템페라와 그림물감으로 조개 위에 서 있는 나체의 비너스를 그린 것. 메디치 가(家)에서 분가한 로렌초 디 피에르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Lorenzo di’ ..

2013. 8. 14. 10:00
신문기사에서 찾아본 무라카미 하루키 열풍!

한국과 일본의 소녀, 그리고 미국의 한 신사가 영어권 국가에서 우연히 만나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서로의 언어는 물론이고 영어가 서투른 한국과 일본 소녀, 그리고 일본어는 조금 알지만 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미국 신사와의 만남. 공통된 대화 거리가 없고 어색한 분위기가 흘렀음은 보지 않아도 느껴지시죠? 침묵을 깨고 일본인 소녀가 서툴게나마 영어로 이야기를 꺼냅니다. ‘미도리’라는 일본 식당에서 파트타임 웨이트리스로 일을 하게 되었다고. 이때 “어!” 하며 한국 소녀가 입을 엽니다.“미도리?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 주인공 이름이 미도리였는데..노르웨이의 숲이었나?” 그때 미국인 신사가 거듭니다.“미도리 뜻이 초록인데 자기 얼굴은 초록색과는 안 어울린다고 했었지..?” 그 이후의 모습 상상이 가시나요? 서로의..

2013. 8. 13. 14:00
1 ··· 374 375 376 377 378 379 380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