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미디어 뉴스 신문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공모전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4월의 추천도서 - 수업으로 시작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2022.04.20
  •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2022.04.19
  •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2022.04.18
  • [웹진 다시보기] 통계·그래프의 숨겨진 진실 찾아내는 ‘데이터 리터러시’

    2022.04.15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해

    2022.04.14
  • 중학교 미디어리터러시 교과서 국내 첫 발간! ‘청소년과 미디어’ 알아봐요!

    2022.04.14
4월의 추천도서 - 수업으로 시작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차별없이 함께 어울려 사는 세상!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입니다. 세계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한 국가의 국민을 넘어 세계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세계시민교육이 아주 중요한 영역이 되었습니다. 세계시민교육은 세계 공동체의 일원인 장애학생들에게도 마땅히 필요하고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책 「수업으로 시작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을 이루는 개념 요소들을 보다 구체화 하고 직관적인 수업활동으로 구성하여 이론을 가볍게 다룸과 동시에 수업활동을 통해 세계시민성이 자연스럽게 길러질 수 있도록 합니다. ​ ​ ​ 디지털·미디어의 초연결 시대에 보다 성숙한 세계시민(Cosmopolitan)이 되기 위해서는, 미디어리터러시 교육도 중요한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도 장애학생들을 위한 ..

2022. 4. 20. 17:00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2022 학교미디어교육 주간 ‘미디어교육 국제 세미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총괄 주관한 학교미디어교육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교육부, 경인교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가 지난 1월 20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됐다. 다양한 논의가 오간 이날 세미나의 핵심 행사였던 런던정경대 소니아 리빙스턴 교수의 강연과 특별 대담 내용을 소개한다. ​ ​ 배상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격차를 목격하게 된다. 디지털 소외 계층은 더 소외되고 가진 자는 더 많이 갖게 되는 현상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아동·청소년에게 디지털 인프라의 제공뿐만 아니라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1부에서는 먼저 ‘..

2022. 4. 19. 15:55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 ​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교 수업 사례 ​ ​ 아직은 다소 생소한 단어일 수 있지만 ‘메타버스’는 최근 미디어, 게임, IT 업계 등에서 뜨거운 화두다. 그런데 업계뿐이 아니다. 교육 현장에서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바로 메타버스에 관심 있는 선생님들이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관한 실험과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초등학교에서 진행된 실제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 ​ 오인선 (인천 천마초등학교 교사) ​ ​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해 가상공간에서 체험해 보도록 수업 내용을 재구성했다. 도시에 필요한 학교, 공원, 상가 등의 위치를 고민하고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서로 협의하고, 도로의 방향과 예상되는 문제점을 정리해 가상의 공간에 만들었다...

2022. 4. 18. 16:41
[웹진 다시보기] 통계·그래프의 숨겨진 진실 찾아내는 ‘데이터 리터러시’

​ ​ 언론 보도 속 데이터 바로 읽기 통계·그래프의 숨겨진 진실 찾아내는 ‘데이터 리터러시’ 박준석 (데이터과학자, 《가짜뉴스의 심리학》 저자) ​ ​ ​ 언론에는 각종 ‘숫자’가 많이 등장한다. 숫자는 가장 객관적인 정보라 생각되지만, 그러한 우리의 믿음을 배신하는 경우도 있다. 오늘은 숫자, 데이터에 속지 않고 제대로 읽기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를 알아보고자 한다. ​ ​ ​ ​ 첫째, 시각화 자료의 숨은 함정을 조심해야 한다. 시각화는 쉽게 눈에 띄고 때로 자극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독해해야 한다. 특히 막대그래프 Y축의 시작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자료가 주는 인상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3차원 시각화 자료에도 불필요한 요소를 삽입하여 핵심인 데이터 ..

2022. 4. 15. 17:54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해

10대 청소년 3명 중 2명이 코로나19로 인해 미디어 이용 시간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전국 중1~고3 학생 2,8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Ⅱ: 10대 청소년’1) 보고서에 따르면 66%가 ‘코로나19로 인해 미디어 이용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학업이나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자 비율은 19.1%나 차지하였습니다. ​ ​ ​ ​ 10대 청소년이 가장 즐겨하는 미디어 채널은 유튜브로, 응답자의 97.7%가 유튜브를 이용한다고 답했습니다. 그중 5%는 유튜브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사용 시간을 줄이게 되면 초조하고 불안해진다고 답했습니다. 더욱이 유튜브를 이용하다 의도치 않..

2022. 4. 14. 17:58
중학교 미디어리터러시 교과서 국내 첫 발간! ‘청소년과 미디어’ 알아봐요!

​ ​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길러 주기 위해 개발한 중학교용 미디어 리터러시 교과서 ‘청소년 미디어’가 서울시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인정교과서로 선정되었습니다! *인정교과서란? ​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가 없거나 보충해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교육부장관의 인정을 받고 시도교육감에 의해 승인된 교과서를 말합니다. ​ 또한, 교사용 지도서도 함께 승인을 받아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이끌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 ​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미디어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콘텐츠를 창의적으로 생산하면서도 그 영향에 대한 책임을 지고, 미디어를 활용해 사회적 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중..

2022. 4. 14. 09:35
1 ··· 46 47 48 49 50 51 52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