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신문읽기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독서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NIE 스마트폰 책 기자 이벤트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2022.05.02
  • [웹진 다시보기]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2022.04.29
  •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2022.04.26
  •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2022.04.25
  • [웹진 다시보기]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2022.04.22
  • [웹진 다시보기] 기사인 듯 기사 아닌 광고 걸러내기 위해 필요한 능력

    2022.04.21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일리노이 주, 미국 최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의무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됨으로써 우리나라도 2024년부터는 공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확보됐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근거는 없다. 최근 미국 내 최초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법으로 의무화한 일리노이 주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정부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

2022. 5. 2. 11:00
[웹진 다시보기]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2022 학교미디어교육 주간 ‘미디어교육 국제 세미나’ IT·디지털 기술의 혜택과 위험 균형 있게 가르쳐야 배상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 ​ 학교미디어교육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가 지난 1월 20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됐다. 다양한 논의가 오간 이날 세미나의 핵심 행사였던 런던정경대 소니아 리빙스턴 교수의 ‘디지털 환경의 아동 권리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의 국제 동향 및 과제’ 주제 강연과 특별 대담 내용을 키워드 중심으로 소개한다. ​ ​ ​ ​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동 권리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격차를 목격하게 된다. 디지털 소외 계층은 더 소외되고 가진 자는 더 많이 갖게 되는 현상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모든 아동·청소년에게 디지털 인프라의 제공뿐만 아니라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2022. 4. 29. 18:17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한국언론학회 집담회-‘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함께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와 범위를 논하는 일은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언론학회가 지난 2월 14일 개최한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집담회에서는 이와 관련된 전문가 논의가 이루어졌다.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미디어에 대한 의존이 점점 더 커져가고 심지어 지배당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미디어의 영향력이 큰 상황에서, 미디어 이용자가 ‘주도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곧 미디어 리터..

2022. 4. 26. 17:26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프랑스 끌레미 ‘2022년 언론 주간 교육 가이드’ 올해로 서른세 번째를 맞이하는 프랑스 ‘학교에서의 언론과 미디어 주간’이 2022년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됐다. 이 행사는 정보 통신 사회에서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정보에 입각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된다. 올해 언론 주간 교육 가이드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을 실행하겠다는 끌레미의 야망은 현실화되고 있는 듯하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수많은 언론사의 참여와 더불어 프랑스 정부가 허위정보와 관련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 언론 주간의 중요성을 적극 강조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프랑스의 미디어교육 전..

2022. 4. 25. 18:11
[웹진 다시보기]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메타버스 활용 초등학교 수업 사례 참여와 몰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오인선 (인천 천마초등학교 교사) ‘메타버스’라는 용어가 미디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이를 활용한 수업이 시도되고 있다. 메타버스의 수업 활용에 관심 있는 여러 학교의 선생님들이 팀을 구성해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 연구는 메타버스 활용 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한 뒤 교실에서 실천해 보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코스페이시스로 만드는 골드버그 장치 6학년 2학기 5단원 ‘에너지와 생활’에서는 에너지의 형태가 전환되는 과정을 다룬다. 이를 물리 엔진을 적용하여 3D 모델로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해 학생들이 협업하여 골드버그 장치를 만들고 ..

2022. 4. 22. 18:12
[웹진 다시보기] 기사인 듯 기사 아닌 광고 걸러내기 위해 필요한 능력

​ ​ 소비자 광고 리터러시와 교육의 중요성 기사인 듯 기사 아닌 광고 걸러내기 위해 필요한 능력 안순태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교수) ​ ​ ​ ​ 광고가 전달하는 상업적 메시지도 소비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원임에 틀림없지만 ‘기사’의 외피를 쓴 광고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 ​ ​ 기사형 광고는 네이티브 광고의 일종으로 플랫폼과 동일한 형태로 제시되어 광고 회피를 최소화하려는 방식인데 기사형 광고로 인해 상업적 정보를 뉴스로 받아들일 경우 불공정과 기만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언뜻 보면 뉴스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광고인 경우 상업적 의도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불공정한 설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 ​ ​ ​ 하루에도 수백 개의 광고와 마주치는 ..

2022. 4. 21. 16:47
1 ··· 45 46 47 48 49 50 51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