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NIE 신문읽기 기자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9)

  • 디지털 인류의 ‘필요조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2019.12.13
  • 국민일보,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2019.12.11
  • 미디어오늘 , JTBC가 생각하는 '가짜뉴스'의 기준

    2019.12.06
  • 인류의 새로운 질병 ‘디지털 미디어 중독’

    2019.12.04
  • 한겨레, 미디어가 알아야 할 '이용자 리터러시'

    2019.12.02
  • BTS가 선생님, ‘SKY 캐슬’은 수업 교재

    2019.11.27
디지털 인류의 ‘필요조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2019 글로벌 MIL 주간 콘퍼런스’ 참관기 유네스코는 2011년 모로코 페스에서 열린 ‘제1차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와 문화 간 국제회의’를 계기로 이듬해부터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을 지정해 MIL, 즉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알리는 각종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9월 스웨덴에서 열린 유네스코 주최 ‘2019 글로벌 MIL 주간 콘퍼런스’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예테보리대학의 울라 칼슨 교수는 기조발표에서 시민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정책은 정부, 시민사회, 학교, 미디어 기업 등 모든 관련 당사자들이 협업하는 가운데 이뤄져야 하며, 연구, 정책 결정자, 정치인들이 함께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지난 10월..

2019. 12. 13. 17:58
국민일보,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 앞에서 올드미디어에 익숙한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할 지 갈피를 잡기 어렵습니다. 유해 콘텐츠에 노출될 것을 염려해 유튜브를 보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죠. 아이들 스스로가 미디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기사 출처 : 국민일보 신은정 기자 국민일보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aIKvi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속 끓는 부모들 유튜브 공화국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면서 남녀노소할 것 없이 TV보다 유튜브를 찾는다. 동치미 담그기 같은 요리 정보부터 지지 정당 대 news.kmib.co.kr #유튜브 #속_끓는_부모들 #스마트폰 #미디..

2019. 12. 11. 14:59
미디어오늘 , JTBC가 생각하는 '가짜뉴스'의 기준

지난 11월 28~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미디어·정보리터러시(MIL) 국제 콘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세계 각지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종사자와 전문가들이 각국 미디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미디어 교육의 미래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29일 진행된 ‘[토크토크] 허위정보, 팩트체크,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세션에서는 JTBC 오대영기자가 뉴스룸 팩트체크 코너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같이 보러 가실까요? 기사 출처 : 미디어오늘(금준경 기자) 미디어오늘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q9ey5 JTBC가 생각하는 '가짜뉴스'의 기준 오대영 기자, “허위에 목적성 뚜렷하면 ‘가짜뉴스’”… “노회찬 운전기사 논란, 선제적으로 팩트체크 했어야” [미디어오늘 금준경 기자]..

2019. 12. 6. 17:51
인류의 새로운 질병 ‘디지털 미디어 중독’

미디어 과몰입, 과의존 현상이란?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게임에 깊이 빠져드는 청소년들을 향한 우려와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게임과 스마트폰에 몰두하는 원인이 아이들의 ‘의지 부족’ 때문만은 아닐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에 지나치게 몰입하고 의존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적이고 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소개한다. 글 구본권 (한겨레 미래팀 선임기자 / 《뉴스, 믿어도 될까?》 저자) 2019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ICD)을 개정해 2022년부터 게임 중독(게임이용장애 Gaming Disorder)을 공식질병으로 분류하기로 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전문가들의 오랜 논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통과됐지만, 국내에서는 논란과 반대가 치열한 사안..

2019. 12. 4. 17:27
한겨레, 미디어가 알아야 할 '이용자 리터러시'

미디어를 보고, 쓰고, 읽는 시청자의 능력이 크게 달라진 요즘 수용자로서 미디어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던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죠? 미디어 생산자는 미디어 이용자가 미디어에 끼치고 있는 영향력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기사 출처 : 한겨레(최선영의 미디어전망대) 한겨레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UtRvW 미디어가 알아야 할 ‘이용자 리터러시’ 최선영의 미디어전망대 www.hani.co.kr . #최선영의_미디어전망대 #한겨레 #이용자리터러시 #미디어조직 #미디어리터러시교육 #이용자 #미디어교육 #디지털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2. 2. 11:30
BTS가 선생님, ‘SKY 캐슬’은 수업 교재

서울 창천중 미디어 리터러시 동아리 활동 허위정보 문제가 심각해지며 ‘미디어 리터러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더불어 어린 학생들에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키워줄 수 있는 전문가와 수업이 절실하다. 지역도서관과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소개한다. 글 황치성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미디어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읽고 만들며 참여하는 능력, 즉 미디어 리터러시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역량으로, 그리고 허위정보를 판별하는 최적의 도구로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란 말이 있다.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는 뜻으로, 직접 경험해야 확실..

2019. 11. 27. 14:26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