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신문 스마트폰 NIE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기자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9)

  • KBS1TV <시사직격>, 유튜브로 인한 허위정보 피해 확산 다뤄

    2020.03.09
  • ‘교육’과 ‘재미’의 황금 조합을 찾아서

    2020.03.06
  • 참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해 온 사회가 동참

    2020.03.04
  • 제1회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전 접수 기간 연장 및 시상 내역 안내

    2020.03.02
  •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2020.03.02
  •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2020.02.28
KBS1TV <시사직격>, 유튜브로 인한 허위정보 피해 확산 다뤄

코로나19보다 빠르게 퍼져가는 '허위정보' 허위정보 양산의 근거지로 지목받는 유튜브. 지난 6일(금) 방영된 KBS1 에서는 허위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심각한 사회적 피해와 유튜브의 상관관계를 다뤘는데요, '불신의 전염-코로나19 가짜뉴스'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시죠. 영상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AUoVj2JxDjo

2020. 3. 9. 13:59
‘교육’과 ‘재미’의 황금 조합을 찾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상 ‘그것이 알고 싶다며’ 제작기 수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진짜와 허위정보가 뒤섞여 혼란스러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현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다. 미디어교육 사업을 펼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매년 미디어 리터러시를 널리 알리고, 허위정보에 대한 경각심 고취를 위해 교육용 영상을 제작해 오고 있다. 올해 만들어진 제1차 교육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 그것이 알고 싶다며’의 제작 뒷이야기를 전한다. 글 김현아 (SBS 모비딕 작가) 미디어 리터러시를 알리기 위한 많은 콘텐츠들이 있었는데 대부분 쉽게 설명하려는 기조였다. 우리는 한 발 더 나아가고자 했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부족하면 어떤 부작용들이 생겨날지 실제 사례를 통해 보는 이들의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효과를..

2020. 3. 6. 10:30
참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해 온 사회가 동참

미디어교육 프랑스 연수 참가기 프랑스는 국가적 차원에서 미디어교육을 적극 실시하는 나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미디어교육 전담 국가 기구인 클레미는 《미디어리터러시》에서도 여러 번 소개됐다. 최근 각 학교에서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거나 관심 있는 선생님들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주최하는 프랑스 미디어교육 연수를 다녀왔다. 주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한다. 글 황의석 (대전 백운초 교사) 프랑스 미디어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정부와 공공기관, 학교, 언론사, 시민사회, 학부모가 함께 참여한다는 것인데 이는 우리나라 미디어교육과 가장 비교되는 지점이다. 미디어교육을 효과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시행하려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이 모든 이들의 합의가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최근에 이루어지고 ..

2020. 3. 4. 11:19
제1회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전 접수 기간 연장 및 시상 내역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공모전 일기장 우편 발송 및 방문접수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공모전 접수 기한을 연장하였습니다. 아래 변경된 제출기간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제출기간 : 2020. 2. 24.(월) ~ 3. 13.(금) ■ 제출 방법 1) 온라인 제출신청서를 제출한다. (URL : bit.ly/2vOYH0u) 2) 일기장(파란색) 실물을 우편 또는 방문접수 한다. - 우편 접수 : 등기 제출 ※착불 불가, 제출자 이름, 연락처 필히 기재 - 방문 접수 : 평일 10:00~17:00 방문 접수 가능 ※점심시간(12:00~13:00) 방문 접수 불가 - 우편발송 및 방문접수처(뉴스일기 운영사무국) : *전화번호 필수 기재 04156 서울특별시 ..

2020. 3. 2. 16:29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 토론회 지난 10월 23일 방송회관에서는 전국언론노동조합과 방송기자연합회, KBS, MBC 공동 주최로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팩트체크 저널리즘 강화를 중심으로’란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언론노조가 제안한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 설립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토론회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송현준 (전국언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를 제안하는 이유입니다. 많은 정보가 생산되는 상황에서 언론의 기사 작성을 위한 ‘사실 확인’은 더욱 세밀해지고, 단단해져야 합니다. 특히,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지상파는 더욱 책임감을 느껴야 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언론사 내부의 갈등이야 늘 있..

2020. 3. 2. 11:00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교과 연결 게임 리터러시 수업 부모님 눈을 피해가며 오락실에 드나들던 세대들의 게임과 오늘날 게임에 대한 정의는 완전히 다르다. 현재 게임은 청소년이 즐기는 가장 대표적 문화 활동이라고 한다. 영화, TV처럼 하나의 미디어로서 ‘게임’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교과목과 게임을 연계한 수업도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글 이귀영 (전북 양현고 교사) 게임 문화 비평은 게임을 통해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게임 중독, 욕설, 현질 등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생각을 쓰도록 했다. 사람들이 게임을 어떻게 이용하고, 게임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서 성찰해 보는 시간이었다. 게임은 오늘날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 활동1)..

2020. 2. 28. 18:00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