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뉴스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독서 공모전 NIE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계간미디어리터러시(85)

  •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2023.03.09
세상에 격려와 기쁨을 주는 따뜻한 네트워크

기획연재: 미디어 바로알기 '공동체 미디어' 이해하기 ​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 2004년 처음 시작된 공동체 라디오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지역 결속에 기여해 온 공동체 미디어의 대표 사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광의의 공동체 미디어는 단순히 한 마을의 미디어나 라디오를 넘어 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다 깊은 의미를 지닌다. 네 번째 순서로 ‘공동체 미디어’를 들여다본다.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속적으로 ‘미디어교육 학습공동체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공동체를 통해 주체성을 지닌 다중들의 미디어교육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주체적인 미디어 이용과 공동체 참여가 활성화될 것이다. 공동체 미디어가 비난과 악플이 아닌 ..

2023. 3. 9. 14:38
1 ··· 12 13 14 1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