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2)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다독다독 스마트폰 이벤트 기자 미디어 독서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책 언론진흥재단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뉴스(108)

  • 뉴스일기로 채워가는 우리의 일상! -어린이편-

    2021.09.17
  •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는 최고의 방법!

    2021.01.13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2020.08.19
  •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2020.03.02
  •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2020.02.28
  • 허위정보로 바뀌게 될 세상이 무서워요

    2020.01.15
뉴스일기로 채워가는 우리의 일상! -어린이편-

제3회 공모전 참가자 여러분! 모두 뉴스일기 잘 작성하고 있나요? 지난 달 제3회 공모전 중간점검 이벤트를 진행하여 200명이 넘는 참가자분들의 뉴스일기에 대한 열정과 꾸준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어린이 친구들은 뉴스일기로 어떻게 일상을 채워가고 있었을까요? 함께 확인해 보아요!! 위례초등학교 6-1 미디어 싹쓰리 팀은 학교의 6학년 전교생인 3명의 학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매일 기사를 고심하여 고르고 뉴스일기를 작성한 후 세 명이 함께 비판적인 시각으로 냉철하게 돌려본답니다! 아마 제3회 가 끝날 때쯤이면 세 명의 미디어 전문가가 탄생할지도 몰라요~ 위례초등학교 미디어 싹쓰리 팀의 세 가지 멋진 각오 인상깊은데요~ 매일매일 뉴스일기를 작성하는 꾸준함과 혼자가 아닌 함께 미디어 리터러시를 실천하는..

2021. 9. 17. 14:00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는 최고의 방법!

세상을 넓고 깊게 알게 해주는 최고의 방법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학생 지도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19년부터 국민들에게 뉴스 정보를 분별력 있게 이용하고,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다.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에서 수상한 초등학생의 뉴스일기와 이 학생을 지도했던 교사의 지도 과정을 소개한다. 글 이경민 (대감초 교사) 뉴스를 읽으면서 공소시효가 무엇인지 알게 됐다. (중략) 이런 것은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다. 교과서가 아닌 내용을 우리 반은 배우고 있다. 뉴스를 보는 것이 좋은 점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은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특별상 수상자인 박도담 학생의 뉴스일기 일부분과, 박도담 학생을 지도했던 이경민..

2021. 1. 13. 15:21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지난 6월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Q&A 이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남겨주신 다양한 질문들 중 주요 내용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질문들을 선별했으니 주목해주세요! 어떤 언론사의 뉴스를 읽는지는 자유입니다! 특정 언론사로 제한하기 보다는 다양한 논조의 기사를 읽으며 같은 사안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으로 이야기 하는 뉴스를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제2회 뉴스 일기장의 ‘미디어·뉴스 리터러시 이해하기’, ‘ 작성하는 법’에 더욱 상세한 허위정보 구별법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 기록은 뉴스의 출처를 밝히는 것이므로 지원자가 나중에 뉴스를 찾기 위해 필요한 활동입니다. 뉴스의 제목, 날짜, 기자명 등 중요 정보만을 적어두거나, URL을 기록..

2020. 8. 19. 09:19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 토론회 지난 10월 23일 방송회관에서는 전국언론노동조합과 방송기자연합회, KBS, MBC 공동 주최로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팩트체크 저널리즘 강화를 중심으로’란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언론노조가 제안한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 설립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토론회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송현준 (전국언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를 제안하는 이유입니다. 많은 정보가 생산되는 상황에서 언론의 기사 작성을 위한 ‘사실 확인’은 더욱 세밀해지고, 단단해져야 합니다. 특히,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지상파는 더욱 책임감을 느껴야 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언론사 내부의 갈등이야 늘 있..

2020. 3. 2. 11:00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교과 연결 게임 리터러시 수업 부모님 눈을 피해가며 오락실에 드나들던 세대들의 게임과 오늘날 게임에 대한 정의는 완전히 다르다. 현재 게임은 청소년이 즐기는 가장 대표적 문화 활동이라고 한다. 영화, TV처럼 하나의 미디어로서 ‘게임’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교과목과 게임을 연계한 수업도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글 이귀영 (전북 양현고 교사) 게임 문화 비평은 게임을 통해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게임 중독, 욕설, 현질 등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생각을 쓰도록 했다. 사람들이 게임을 어떻게 이용하고, 게임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서 성찰해 보는 시간이었다. 게임은 오늘날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 활동1)..

2020. 2. 28. 18:00
허위정보로 바뀌게 될 세상이 무서워요

성남 삼평중 ‘청소년 저널리즘반’ 활동 “지금의 뉴스 플랫폼은 너무 많은 뉴스와 어뷰징 뉴스로 혼잡해” 있으며, 따라서 앞으로는 “개인별로 맞춤 뉴스를 필요로 할 것.” 꽤 전문적으로 들리지만 이 말은 미디어 비평가가 아니라, 동아리 활동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받은 어느 ‘중학교 1학년생’의 날카로운 분석이다. 꽤나 매력적인 삼평중 동아리 ‘청소년 저널리즘반’의 수업 속으로 들어가본다. 글 조혜영 (미디어교육 전문강사) 청소년 저널리즘반 수업은 뉴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균형 있는 시각을 함양할 수 있으며, 뉴스 이용자의 적극적인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과정으로 구성했다.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지식정보 처리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것이었다. 경기도 성남 삼평중학교의 ‘청소년 저널리즘..

2020. 1. 15. 09:18
1 2 3 4 5 6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