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이벤트 스마트폰 독서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뉴스(110)

  • 알랭 드 보통이 알려주는 뉴스 사용설명서

    2014.10.21
  • SNS가 뉴스에 미치는 영향, 미국 신생 뉴미디어에서 답을 찾다

    2014.07.14
  • AP, 로이터, 연합뉴스… 통신사와 신문사의 차이는?

    2014.05.20
  • 그땐 그랬지, 6070 대학가 미팅 엿보기

    2014.05.14
  • 모바일 뉴스 시대의 도래! 뉴스는 어떻게 소비되고 있을까?

    2014.04.15
  • 모바일 뉴스 큐레이팅 시대, 한국형 모바일 뉴스의 현주소는?

    2014.04.09
알랭 드 보통이 알려주는 뉴스 사용설명서

출처_ genk 우리는 정보가 과다하게 흘러넘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누가 기존에 만들어 놓은 정보도 있고, 자신이 만드는 정보도 있죠. 그래서 이 시대를 사는 사람은 범람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요자의 역할과 정보를 가공하고 다시 퍼뜨리는 공급자의 역할까지 함께 하고 있죠. 이런 식으로 가공되고, 전달되는 정보를 일컬어 우리는 '뉴스‘라고 하죠. 인터넷만 열어도 당장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뉴스가 우리 눈앞에 나타납니다. 그런 엄청난 양의 뉴스가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이 일상이 됐습니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비롯한 태블릿 PC 등의 기기가 보급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언제나 손쉽게 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었죠. 인터넷에 굳이 접속하지 않아도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페이스..

2014. 10. 21. 13:18
SNS가 뉴스에 미치는 영향, 미국 신생 뉴미디어에서 답을 찾다

출처_ flickr by Jason Howie “우리가 처음 시작했을 때는 투자자들이 언론 관련된 거라면 아예 거들떠보지도 않았어요.” 경제전문 인터넷신문 쿼츠(Quartz)에 실린 버즈피드(BuzzFeed)의 최고경영자 조나 페레티의 말입니다. “다들 그렇게 말했죠. ‘콘텐츠 만드는 사람들이나 뽑아서는 절대 벤처캐피털의 관심을 받지 못할 거야’.” 버즈피드는 그렇게 지난 2006년 창업했습니다. 그리고 7년 만에 방문자 수 기준으로 세계 1위의 커뮤니티 뉴스 사이트로 성장했답니다. 버즈피드는 팩트 발굴이나 분석보다는 가십성 읽을거리의 비중이 높습니다. 이런 것도 언론이냐고 묻는 사람도 있겠지만, 버즈피드가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콘텐츠 사이트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죠. 버즈피드..

2014. 7. 14. 10:26
AP, 로이터, 연합뉴스… 통신사와 신문사의 차이는?

취재를 하고 기사를 쓰며 사건과 사고, 세상의 모든 일을 알리는 언론의 기능을 담당하는 곳은 국내에만 해도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있습니다. 중앙 언론사를 제외하고도 각 지역마다 대표하는 언론사가 있고, 특정 독자층을 겨냥한 전문지도 있고 그 종류도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여기서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하루에도 수많은 기사를 발행하는 신문사, 방송국 등의 언론사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신문사 외에 ‘통신사’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다소 낯선 개념입니다. 통신사나 신문사나 똑같이 언론사로서 기능하는 것 아니냐고 할 수 있겠지만, 실질적인 개념과 하는 일 등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그럼 통신사와 신문사는 어떻게 다른지 다독다독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의 뉴스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어..

2014. 5. 20. 08:58
그땐 그랬지, 6070 대학가 미팅 엿보기

언제부터 미팅을 해보셨나요? 최근에는 미팅하는 연령층이 점점 젊어지고 있습니다. 남녀가 만나는 것에는 나이의 국경이 없다고 했던 옛말을 하던 사람들도 점점 다양한 연령층이 미팅하는 것을 보면서 놀라곤 하는데요. 그러면서 과거의 낭만과 순수함이 사라져 가고 있는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낭만이 가득했던 1960, 70년대의 대학가 미팅을 만나러 시간 여행을 해봤죠. ‘그땐 그랬지!’라고 외치면서 함께 가볼까요? 출처_네이버 영화 ‘클래식(2003)’ 스틸컷 지금과 달리 1960년대의 대학가에서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부르는 이름이 따로 있었습니다. 자취보다는 기숙사에서 대학 생활을 했던 이들은 4인 1실 규모에서 많이 지냈는데요. 4학년 ‘고문’, 3학년은 ‘실장’, 2학년..

2014. 5. 14. 16:42
모바일 뉴스 시대의 도래! 뉴스는 어떻게 소비되고 있을까?

이미지 출처_flickr by Shinichi Higashi 스마트폰 가입자 4,000만 시대가 머지않았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10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는 3,600만 명을 돌파했으며, 통신업계는 2014년 상반기 안에 가입자 수가 4,000만에 육박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폰을 위시한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대중화는 미디어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데요. ‘2013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모바일로 인한 미디어 환경의 지각 변동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 이용률(68.0%) 및 뉴스 이용률(55.3%)이 2013년 처음으로 데스크톱 PC 이용률(64.4%)과 뉴스 이용률(50.7%)을 앞지른 ..

2014. 4. 15. 11:17
모바일 뉴스 큐레이팅 시대, 한국형 모바일 뉴스의 현주소는?

▲ 출처_페이스북 페이퍼 사이트 최근에는 신문을 보는 사람보다 모바일로 뉴스를 보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간편하게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전통 미디어인 신문, 잡지 등이 고전적인 방법으로 계속 발전보다는 유지하는 사이 다양한 SNS 매체에서는 이용자의 관심사, 랭킹 알고리즘 등을 활용해서 ‘읽기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그래서 ‘소셜 리딩(social reading)’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탄생시켰죠. 이렇게 태어난 미디어들이 대부분 외국에서 만들어진 매체를 활용하고 있답니다. 이용자와 친숙하면서 모바일로 뉴스를 쉽게 만날 수 있는 한국형 모바일 혁신이 절실한데요. 외국의 사례를 통해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모색해볼까요? ▲ 출처_페이스북 페이퍼,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아이툰스..

2014. 4. 9. 16:44
1 ··· 12 13 14 15 16 17 18 1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