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신문읽기 다독다독 미디어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NIE 독서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신문 헤드라인 속 어려운 용어 살펴보니

    2013.12.26
  • 대한결핵협회 창립 60주년을 맞아 살펴본 크리스마스 씰

    2013.12.24
  • 인간의 심리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2013.12.23
  • 겨울 종합선물세트, 겨울 지역축제 알아보니

    2013.12.23
  • 연말의 따뜻한 나눔, 우리나라 기부 문화 살펴보니

    2013.12.20
  • 술만 먹던 송년회는 NO! 이색 송년회 문화

    2013.12.20
신문 헤드라인 속 어려운 용어 살펴보니

독자가 신문을 읽을 때 가장 먼저 살펴보는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제목입니다. 표제라고 불리기도 하고 제목 혹은 헤드라인(headline)으로 불리는 신문기사 제목은 대제목과 소제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독자들이 기사를 읽을 때 먼저 제목을 보고 읽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제목이 신문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습니다. 어떤 제목은 한순간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하고, 또 어떤 제목은 기사의 중심내용을 잘 드러내기도 합니다. 이처럼 기사제목은 마치 마트의 시식코너처럼 기사를 미리 맛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하지만 간혹 기사 제목에 어려운 단어가 등장하면 어떤 내용의 기사인지 감이 오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신문 제목에 자주 등장하는 어려운 용어를 살펴보려 하는데요..

2013. 12. 26. 09:59
대한결핵협회 창립 60주년을 맞아 살펴본 크리스마스 씰

산타 할아버지가 착한 아이에게 선물을 주는 크리스마스 시즌입니다. 어렸을 때 선물이 받고 싶어서 어떤 착한 일을 해야 되나 고민했던 적이 한 번 쯤 있으실 텐데요. 그래도 어린 시절 빼먹지 않고 했던 착한 일 중 하나가 크리스마스 씰 수집이 아니었나 싶은데요. 오늘은 크리스마스 씰에 대해 알아볼게요. [출처 - 경기신문] 일제 강점기 신문 기사에 첫 등장한 크리스마스 씰 영국 산업혁명 이후 결핵은 유럽 전역을 공포에 떨게 했던 질병이었습니다. 덴마크도 예외는 아니었는데요. 덴마크 우체국 국장이었던 아이날 홀벨은 결핵에 걸린 아이들에게 보탬이 되고자 우편물에 동전 한 닢짜리 씰을 붙이는 방법을 생각해냈다고 합니다. 동전 한 닢이 모여 결핵에 걸린 아이를 구할 큰 기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믿은 그는 결국 ..

2013. 12. 24. 09:29
인간의 심리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여러분은 무엇이 자신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시나요? 돈, 명예, 자존심, 부모님이나 친구의 충고나 조언… 많은 것들이 떠오르실 텐데요. 경제학에서는 인간이 계산적이고 이기적인 존재라고 가정을 한 뒤 많은 결론들을 이끌어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난 20년간의 인문학, 사회과학 연구를 보면 그런 인간상이라는 건 일종의 신화 혹은 허구에 불과하다는 건 널리 알려져 있죠. 그렇다면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는 건 무엇일까요? (부키)는 우리의 모든 행동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은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고자 하는, 사회에 좀 더 잘 편입되고자 하는 욕구에 지배 받는다는 겁니다. [출처 - 교보문고] 한 유머 작가는 양..

2013. 12. 23. 13:02
겨울 종합선물세트, 겨울 지역축제 알아보니

매서운 찬바람이 부는 겨울입니다. 하지만 겨울에도 추위를 뜨겁게 달굴 축제의 열기는 뜨거운데요. 슬슬 방학이 시작되는 요즘, 아이와 함께 즐거운 추억을 만들고 싶어 하는 부모님이 많으실 겁니다. 색다른 데이트를 찾고 있는 커플도, 의리로 똘똘 뭉친 친구들도 물론 이 겨울을 뜨겁게 달굴 무언가를 찾고 계실 텐데요. 그래서 다독다독이 소개해드립니다. 특별하고도 재밌는 겨울 지역 축제! 강원도의 특색 있는 지역축제 요즘 강원 산골마을 주민은 손님맞이 준비에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합니다. 매년 수천억대의 경제효과를 거두며 대박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겨울 축제가 개막했기 때문입니다. 각 지자체도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특색 있는 겨울 축제를 열어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벌이고 있는데요. 가장 먼저 축제를 시작..

2013. 12. 23. 10:34
연말의 따뜻한 나눔, 우리나라 기부 문화 살펴보니

요즘 거리를 걷다보면 반가운 모습이 눈에 띕니다. 바로 ‘구세군 아저씨’인데요. 빨간 코트와 빨간 냄비가 정겹게 느껴집니다. 고사리 손으로 천 원, 이천 원씩 기부를 하는 아이들을 볼 때면 마음이 흐뭇해집니다. 며칠 전 익명의 후원자가 구세군 자선냄비본부에 1억 원을 기부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 후원자가 구세군 모금 계좌로 이체한 금액 중 역대 최고액이라고 하는데요. 구세군 측은 익명의 후원자를 찾으려 노력했지만 누구인지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연말이 되면 따뜻한 나눔을 베푸는 사람이 많아집니다. 나눔 행렬 덕분에 겨울이 무척 따뜻하게 느껴지는데요. 오늘은 연말이면 찾아오는 따뜻한 나눔, 기부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기부자들의 모임, 아너 소사이어티 아너 소사이어티(Honor So..

2013. 12. 20. 14:00
술만 먹던 송년회는 NO! 이색 송년회 문화

12월은 송년회로 시작해 송년회로 끝난다 해도 과언이 아니죠. 직장인이라면 송년회 ‘겹치기 출연’까지 소화하는데요. 1차, 2차, 3차까지 술을 마시며 끝없이 돌다보면 결국 인사불성이 돼 망신을 당하기도 합니다. 숙취로 다음날 일을 망치기도 일쑤여서 보통 문제가 아니죠. 그런데 술로만 점철된 송년회 문화가 요즘 달라지고 있습니다. 먹고 마시고 노는 것이 아닌 의미 있는 송년회로 변하고 있는데요. 이제는 달라진 송년회 문화, 다독다독에서 살펴볼까요? 술술술, 술만 마시는 송년회 이제 NO! [출처 - 스포츠서울닷컴] 지난해부터 사내 음주문화 개선 운동을 펼치고 있는 삼성그룹이 올해 말 송년회 시즌에 맞춰 ‘다음 날 아침도 상쾌한 송년회’라는 이름의 새 캠페인을 벌인다. 캠페인은 2일부터 27일까지 4주 동..

2013. 12. 20. 08:00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