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터러시(29)
-
미디어교육, 햇살처럼 어디에나 퍼져 나가길
미디어교육, 햇살처럼 어디에나 퍼져 나가길 ‘2020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현장 스케치 매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하는 ‘미디어교육 전국대회’가 2020년에는 더욱 특별해졌다. 2020년 10월 21일부터 닷새 동안 진행된 이라는 더 큰 틀 속에 열리며 의미와 규모가 더 풍성해진 이번 ‘미디어교육 전국대회’의 요모조모를 소개한다. 글 전혜진 (편집부) 박소라 교수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학교 교육과 젊은 세대에만 중점을 두고, 대중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허위정보 확산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는데, 시민들은 스스로 학습하도록 방치됐다는 의미다. 미디어 패러다임이 달라졌다. 뉴미디어 시대 상호 연결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정보의 생산과 수요에 참여한다. 특히 ..
2021.01.11 -
알쏭달쏭 포털뉴스 배열원리, '뉴스알고(NewsAlgo)'로 체험해보아요
'포털 뉴스 배열 원리' 알려드려요 언론진흥재단 '뉴스 알고리즘 개발' 시범수업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16년부터 3년간 ‘뉴스트러스트위원회’를 운영하며 저널리즘 가치에 기반한 뉴스 배열 알고리즘을 개발해 공개했다. 이렇게 탄생한 ‘뉴스알고’ 프로그램을 이용해 포털 화면에 나타나는 뉴스 배열의 원리 등을 직접 체험해보는 수업을 소개한다. 글 윤현옥 (미디어교육 강사) “프로그램이 정한 기준에 따라서 뉴스 기사에 점수를 매긴다는 것이 신기했다. 가중치를 다르게 매기면 그에 따라 점수가 바뀌는 점 또한 인상 깊었다. 기사 속에 ‘이럴 수가, 충격’ 등의 자극적이고 관심을 유발하는 내용이 있는지 바로 분석해 볼 수 있어 신선했다.” 구글 검색창에서 우리는 알고리즘을 만난다. 검색어를 다 작성하기도 전에 구글의 ..
2020.11.20 -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나온 책 -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허위정보 대응법’ 알려주는 저널리즘 훈련서 새로 나온 책-‘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 최근 많이 회자되는 ‘가짜뉴스’라는 용어는 흔히 사용되지만 동시에 매우 부정확한 표현이다. “뉴스란 공중이 관심을 갖는 것 중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데, 이런 기준에 맞지 않는 거짓 정보를 ‘뉴스’라고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 문제로 떠오른 허위정보 문제와 구별법 등을 깊이 있게 다룬 신간 《저널리즘, 가짜뉴스 & 허위정보》를 소개한다. 글 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 이론과 실습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각 모듈별로 명확한 학습 목표와 학습 결과, 그리고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저널리즘 교재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도 눈에 띈다. ‘가짜뉴스’란 말..
2020.11.18 -
스마트폰에 푹 빠진 우리 아이, 미디어 면역력을 키워주세요!
스마트폰에 푹 빠진 우리 아이, 미디어 면역력을 키워주세요! 건강하게 미디어를 이용하는 방법 어린 아이들이 미디어에 대한 면역력을 기르고,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키우는 방법은 무엇일까? 미디어 세상을 살아가는 아이들이 무수히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낚이지 않고 제대로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학교·학원이 문을 닫고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교육과정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되면서, 갑작스러운 온라인 학습 환경에 놓인 학생들의 디지털 미디어 노출 시간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난 만큼, 미디어 중독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의 수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며 중독 연령대는 점차 낮아지고 있다. “노모포비아(Nom..
2020.11.05 -
팩트체크를 넘어 사회 참여형 프로젝트로 성장! 청소년 팩트체크 대회 '체커톤' 알아보기
청소년 대상 팩트체크 대회 '체커톤' 알아보기 팩트체크를 넘어 사회 참여형 프로젝트로 성장 체커톤 - 허위정보 대응을 위한 새로운 교육 청소년 대상 팩트체크 대회 ‘체커톤’이 돌아왔다. 올해 체커톤의 가장 큰 특징은 하루 동안만 진행된 제1회 대회에 비해 올해는 온라인 교육과 예선, 본선을 거치며 무려 5개월간 진행되는 대장정이라는 점이다. 형식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확실하게 업그레이드돼 돌아온 제2회 체커톤을 소개한다. 글 이성철 (주감초 교사) 온라인 클래스에서는 팩트체크의 원칙 등 일반적인 방법론뿐 아니라 전문가의 강의, 학교 급별로 수준을 나눈 리서치 방법 특강 등이 진행됐다. 특히 미디어 프로젝트를 위해 5개 분과를 개설하여 청소년들이 수업을 선택해 들을 수 있도록 했다. 제2회 청소년 체커톤의..
2020.10.21 -
읽으며 역사속으로…진화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는 과연 신조어일까? ‘미디어 리터러시’ 용어의 역사와 개념의 분화·확장 ‘사회적 존재’ 인간에게 필요한 기본 능력 최근 들어 자주 사용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용어는 현대 소셜 미디어 사회가 만들어낸 신조어가 아니다. 대중매체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용어가 출발했지만, 특히 ‘리터러시’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변화를 역사적, 학문적으로 살펴보았다. 글 황용석 리터러시는 그 자체가 목적 개념이라기 보다는 수단적 개념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 용어를 효과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무엇을 위한’ 리터러시인가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진화하는 기술이나 표준화되고 제도화된 틀 안에 리터러시를 ..
2020.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