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미디어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이벤트 미디어교육 공모전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기자 언론진흥재단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교육(253)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해

    2022.04.14
  • 중학교 미디어리터러시 교과서 국내 첫 발간! ‘청소년과 미디어’ 알아봐요!

    2022.04.14
  •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연수 프로그램 안내>

    2022.03.16
  • 2022년에는 갓생 살자!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

    2022.02.04
  •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2022.01.28
  •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2.01.27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해

10대 청소년 3명 중 2명이 코로나19로 인해 미디어 이용 시간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전국 중1~고3 학생 2,8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Ⅱ: 10대 청소년’1) 보고서에 따르면 66%가 ‘코로나19로 인해 미디어 이용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학업이나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자 비율은 19.1%나 차지하였습니다. ​ ​ ​ ​ 10대 청소년이 가장 즐겨하는 미디어 채널은 유튜브로, 응답자의 97.7%가 유튜브를 이용한다고 답했습니다. 그중 5%는 유튜브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사용 시간을 줄이게 되면 초조하고 불안해진다고 답했습니다. 더욱이 유튜브를 이용하다 의도치 않..

2022. 4. 14. 17:58
중학교 미디어리터러시 교과서 국내 첫 발간! ‘청소년과 미디어’ 알아봐요!

​ ​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길러 주기 위해 개발한 중학교용 미디어 리터러시 교과서 ‘청소년 미디어’가 서울시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인정교과서로 선정되었습니다! *인정교과서란? ​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가 없거나 보충해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교육부장관의 인정을 받고 시도교육감에 의해 승인된 교과서를 말합니다. ​ 또한, 교사용 지도서도 함께 승인을 받아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이끌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 ​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미디어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콘텐츠를 창의적으로 생산하면서도 그 영향에 대한 책임을 지고, 미디어를 활용해 사회적 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중..

2022. 4. 14. 09:35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연수 프로그램 안내>

안녕하십니까?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은 “국내 1호 미디어교육 전문 교원연수기관”으로 교원의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역량 강화 및 학교 현장의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확산을 위해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 미디어교육원 교사연수 소개 바로가기 ◀ https://www.kpf.or.kr/front/news/articleDetail/592509.do ​ 2022년의 미디어교육원 교사연수는 방학 기간을 활용한 정규과정(15시간, 1학점)과 월별 비정규과정(특강)을 운영코자 합니다. 더불어 미디어 자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미디어 이슈, 트렌드 특강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교사연수 연간일정을 안내드립니다. * 코로나..

2022. 3. 16. 14:15
2022년에는 갓생 살자!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

2022년 새해가 밝은 지 벌써 한 달이 지났네요! 여러분 모두 작심삼일 하지 않고 세운 목표를 꾸준히 지키고 계시나요? 올해도 갓생을 살기 위한 다양한 목표와 노력들이 있을 텐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채널이 제안하는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는 어떠세요? 첫 번째 목표는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무럭무럭 건강한 성장을 위해 청년들은 목표를 향해 달려갈 수 있는 체력을 위해 중장년층은 아픈 곳 없이 튼튼한 건강을 위해 모두에게 운동은 필수적이겠죠? 하루 몇 분 이상, 일주일에 몇 회 이상 등 각자 상황에 맞는 개인적인 건강과 운동 목표를 세워보아요~ 두 번째 목표는 “자린고비 정신으로 절약하기”입니다. 직장인분들은 연말정산 하실 때 생각보다 많았던 작년 소비 내역에..

2022. 2. 4. 14:00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 ​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캐나다 미디어스마트 ‘20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 ​ 캐나다의 대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관 미디어스마트(MediaSmarts)가 2021년 10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Media Literacy Week)’을 개최했다. 16회를 맞이한 ‘20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 정선임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 서강대 박사과정) ​ ​ “우리의 삶이 훨씬 더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필수가 됐다.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은 온라인에서 접하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대중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거나, 혹은 우리가 미디어와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다.” ​ ​​ ​미..

2022. 1. 28. 09:56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1 저널리즘 주간’ 마이클 데주아니 교수 기조 강연 전문 ​ ​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기간에 열린 ‘미디어교육, 세상을 비추다 (Re:flect)’ 콘퍼런스의 기조 강연자 마이클 데주아니 교수의 강연과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 전문을 싣는다. ​ ​ 마이클 데주아니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 디지털미디어리서치센터 교수) ​ ​ 일부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면 주로 잘못된 정보를 확인하고 방지하는 데, 즉 팩트체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그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정의되어야 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들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비평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안녕하십니까. 오늘 저를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강연할..

2022. 1. 27. 18:00
1 ··· 19 20 21 22 23 24 25 ··· 4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