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251)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한국언론학회 집담회-‘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자와 실무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미디어 생태계가 너무나도 빠르게 변하고 있고, 광범위하게 미디어 활용이 늘어나면서 하나의 특정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내리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운영에 더 큰 주의를 기울이면서 정작 개념적 정의와 관련해서는 근본적인 논의의 장이 자주 마련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연구회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근본적..
2022.05.16 -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프랑스 끌레미(CLEMI, 미디어 정보 교육 연계 센터) ‘2022년 언론 주간 교육 가이드’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정보 통신 사회에서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정보에 입각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프랑스 ‘학교에서의 미디어와 언론 주간’이 지난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됐다. 2022년의 언론 주간의 주제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정보 얻기‘로, 올해의 테마를 위해 끌레미는 교육 가이드를 배포했다. 교육 가이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표현의 자유에 대해 질문하기’다.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에서 때때로 통제되지 않는 표현과 마주하게 되면 표현의 자유의 한..
2022.05.11 -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책 소개-‘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1) 최근 몇 년 새 ‘가짜뉴스’ 문제는 전 세계적 현안이 됐다. 더불어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도 급부상하며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단체에서는 관련 연구를 거듭해 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2021년 말 공동으로 번역 출간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을 소개하며 국내 시사점을 찾아본다. 임영호 (부산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저자들은 리터러시 배양 과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미디어가 제 역할을 소홀히 했다고 비판한다. 가짜뉴스 논란은 미디어가..
2022.05.10 -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가자닷컴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가자 닷컴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미디어와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사이트 학교가자닷컴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전국의 학교 현장이 문을 닫았을 때, 선생님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만든 온라인 학습 사이트입니다. 학교가자닷컴은 영상 콘텐츠들을 활용하여 학습 꾸러미(원격수업과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학습자료)를 만들고 그것을 링크를 통해 누구나 접속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대구 진월초 교사 신민철 학교가자닷컴은 2020년 구글이 선정한 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유네스코 교육 정책 세미나에서 한국 대표 사례로 소개되었습니다. 이처럼 전국의 교사들이 미디어와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하여 가장 혁신적으로 위기 상황을 대처했다는 측면에서 학교가자..
2022.05.09 -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유럽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 지난해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지속가능하며 안전한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2030 디지털 컴퍼스’라는 중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유럽집행위원회가 주도하는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Safer Internet Forum 2021)’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미래 디지털 사회의 주체가 될 아동과 청소년이 어떻게 하면 인터넷에서 마주할 위험과 기회를 포착하고 잘 대처할 수 있을지 논의하는 장이었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이수정 (서울대 강사/교육학 박사) 이해 당사자는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라이버시 등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2022.05.03 -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일리노이 주, 미국 최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의무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됨으로써 우리나라도 2024년부터는 공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확보됐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근거는 없다. 최근 미국 내 최초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법으로 의무화한 일리노이 주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정부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
202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