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책 뉴스 독서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미디어 공모전 신문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77)

  • 조화롭고 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하여

    2022.01.19
  • 허위정보 거르려다 언론 신뢰 해칠 수도

    2022.01.18
  • 안전한 유튜브 시청을 위한 길잡이

    2022.01.17
  • 미디어 리터러시는 독립 과목으로 교사 전문 역량 강화 서둘러야

    2022.01.14
  • 나를 알고 너를 발견한 소중한 시간

    2022.01.13
  • 디지털 세상의 변화 주체는 어린이와 청소년

    2022.01.10
조화롭고 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하여

​ ​ 조화롭고 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하여 책 소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 현직 고교 교사가 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 대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와 수업 실천 사례’라는 부제처럼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수행할 모든 교사를 위한 지침서가 될 만한 책이다. 저자의 집필 동기와 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권영부 (동북고 수석교사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 비판적 미디어 수용 교육 쪽으로 지나치게 기울게 되면 미디어의 순기능을 왜곡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려면 리터러시 역량 강화 교육, 비판적 미디어 수용 교육, 창의적 미디어 활용과 생산 교육은 물론 민주 시민성을 키우는 ..

2022. 1. 19. 16:51
허위정보 거르려다 언론 신뢰 해칠 수도

허위정보 거르려다 언론 신뢰 해칠 수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언론 불신의 딜레마 ​ ​ 미디어 리터러시는 21세기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필수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언론 수용자의 올바른 정보 판단 능력은 언론의 신뢰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오히려 언론의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와 그 내용과 해결 방안을 소개한다. 권순택 (언론개혁시민연대 활동가) “강의를 듣고 나니까 (언론의 왜곡 보도가) 더 눈에 띈다. 더 눈에 잘 보이니까. ‘매우 신뢰하지 않는다’였으나 그보다도 더 신뢰하지 않게 된 편이다. 통계를 보면서 ‘뭔가 생략됐다’고 느껴졌는데 팩트체크를 해보니 누락하고 계산된 부분이 있었다.”_수강생B ‘가짜뉴스’가 미디어..

2022. 1. 18. 11:04
안전한 유튜브 시청을 위한 길잡이

안전한 유튜브 시청을 위한 길잡이 언론인권센터 ‘미디어 인권 가이드라인’(안) 제정 ​ ​ 유튜브는 영유아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미디어일 것이다. 그동안 일부 유튜브 콘텐츠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는데 이와 관련해 언론인권센터가 초안을 공개했다. 가이드라인 준비 과정과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 강수지 (언론인권센터 활동가) ​ ​ 에는 이용자들이 유튜브 이용 시 지켜야 하는 기준을 ‘댓글’, ‘정보 이용’, ‘혐오 표현’, ‘불법성’, ‘정서 인식’ 총 다섯 가지로 구분했다. 그리고 ‘영유아’,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과 노년’ 등 이용자의 생애 주기에 따른 개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 미디어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레거시 미디어에서 뉴미디..

2022. 1. 17. 11:33
미디어 리터러시는 독립 과목으로 교사 전문 역량 강화 서둘러야

미디어 리터러시는 독립 과목으로 교사 전문 역량 강화 서둘러야 2022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 발전을 위한 제안 ​ ​ 2015 교육과정 이후 7년 만에 교육과정이 개정된다. 이 글에서는 교육부가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관련해 미디어 리터러시가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학교 미디어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 (정현선·장은주, 교육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 ​ 장은주 (마곡중 교사) ​ ​ 공통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 내용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교과에서 학습했던 내용을 통합하고, 시민적 역량 및 진로와 연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를 전문적..

2022. 1. 14. 11:21
나를 알고 너를 발견한 소중한 시간

​ 나를 알고 너를 발견한 소중한 시간 초등 4학년생이 만들어간 ‘목요음악방송’ ​ 경남 김해에 위치한 대감초등학교는 전교생 28명의 작은 학교다. 그러나 이곳 선생님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열정과 학생들의 참여 열기만은 그 어느 학교 못지않게 크다. 4학년 학생들의 참여로 매주 이어진 학교 음악방송 제작기를 소개한다. ​ ​ 이경민 (대감초 교사) ​ ​ 7주 동안 목요음악방송을 하면서 서로가 좋아하는 음악이 다르고 서로의 관심사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라는 개인을 표현하면서 ‘너’를 알아가고 ‘나와 너’를 알아가 우리라는 공동체를 알아가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시작은 갑작스러웠다. 사회 과목에서 ‘지역 문제와 주민 참여’라는 단원을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다. 우리 지역의 문제를 이야기하다가..

2022. 1. 13. 14:24
디지털 세상의 변화 주체는 어린이와 청소년

“디지털 세상의 변화 주체는 어린이와 청소년” ‘2021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데이’ 개최 후기 ​ ​ 유네스코(UNESCO)는 매년 10월 마지막 주를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으로 지정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는 행사를 2012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미디어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학술 행사와 이벤트를 통해 분야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연구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토의하는 논의의 장을 펼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0월 19일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시청자미디어재단, 주한미국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2021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데이’ 행사를 소개한다. ​ ​ 박다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커뮤니케이션팀 전문관) ​ ..

2022. 1. 10. 09:50
1 ··· 41 42 43 44 45 46 47 ··· 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