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이벤트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신문 독서 기자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스마트폰 공모전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92)

  • 한국언론진흥재단, ‘군과 미디어’ 연수 진행하다!

    2022.05.19
  •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 개설로 완성된 『부산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2022.05.17
  • 경제 기사, 주의해야 할 점 세 가지

    2022.05.16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2022.05.16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유권자가 바라보는 선거보도

    2022.05.13
  •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2022.05.11
한국언론진흥재단, ‘군과 미디어’ 연수 진행하다!

​ ​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방부 소속 국방정신전력원이 협업해 공보정훈병과 장교들을 대상으로 4월 25일과 26일 이틀간 재단 미디어교육원에서 ‘군과 미디어’ 연수를 진행하였습니다. ​ ​ ​ ​ 언론학자, 국방 담당 현직기자와 미디어담당 기자, 작가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번 연수는 언론의 기능, 미디어리터러시 등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주제와 보도자료 작성, 기자 소통법 등 공보 실무자를 위한 과정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 ​ ​ ​ 첫날은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의 ‘미디어와 선전’, SBS 박수진 기자의 ‘뉴미디어 시대의 뉴스-MZ는 어떤 뉴스를 원할까?’, 세명대 심석태 교수의 ‘공보 실무자를 위한 언론의 기능과 언론윤리 법제’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둘째 날은 JTBC 김민관..

2022. 5. 19. 11:26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 개설로 완성된 『부산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 개설로 완성된 『부산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첫걸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역량 중의 하나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세계 각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최근 개발한 『디지털 리터러시』교과서는 디지털 환경에 올바르게 참여하기 위한 디지털 역량을 기르며, 디지털 시대의 민주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 의식을 포함한 다양한 지식과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김성율 부산광역시교육청 장학사 부산광역시 교육청은 2018년부터 약 2∼3년간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정착시키기 위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이후에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디지털 시민성 교육 추진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 개설을..

2022. 5. 17. 17:52
경제 기사, 주의해야 할 점 세 가지

​ ​ 경제 기사, 주의해야 할 점 세 가지 정확한 개념파악이 중요한 경제 기사 읽기 ​ ​ 경제 기사를 어렵다고 생각하는 일이 많다. 그런데 그것도 생각하기 나름이다. 경제 용어와 개념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점은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논리 구조만 보면, 정치 기사 등 보다는 훨씬 쉽다. 각종 복선이나 숨겨진 의미를 억지로 분석해내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즉, 정확한 개념 파악이라는 허들만 넘으면 경제 기사만큼 쉬운 분야도 별로 없다. 그런 의미에서 정확한 경제 기사를 쓰고 읽을 때 주의해야 할 점 세 가지를 말하고자 한다. ​ ​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 첫째, 경제 용어를 일상용어처럼 해석하지 말자. 둘째, 모르는 경제 개념을 내가 아는 일에 비유해서 이해하지 말자. 셋째..

2022. 5. 16. 18:22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 한국언론학회 집담회-‘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 ​ ​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자와 실무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이는 미디어 생태계가 너무나도 빠르게 변하고 있고, 광범위하게 미디어 활용이 늘어나면서 하나의 특정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내리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운영에 더 큰 주의를 기울이면서 정작 개념적 정의와 관련해서는 근본적인 논의의 장이 자주 마련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 ​ ​ ​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연구회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근본적..

2022. 5. 16. 13:40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유권자가 바라보는 선거보도

6월 1일은 전국동시지방선거날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1,000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엠브레인퍼블릭 대행, 조사기간: 2021.11.22.~2021.11.26.) 언론의 선거보도에 대한 인식, 허위정보와 팩트체크 등에 대해 설문조사한 연구1)에 따르면 72%가 선거관련 정보는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의 뉴스섹션에서 가장 많이 접한다고 답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텔레비전 59.2%, 구글 등 검색사이트 47.5%, 유튜브 35.9%를 통해 선거관련 정보 이용이 이뤄지고 있었으며, 텔레비전을 제외하면 디지털 플랫폼이 선거관련 정보 이용의 중심축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선거 관련 가짜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유권자는 45.7%로 절반에 가까웠습니다. 허위정보 및 가짜뉴스의 영향력을..

2022. 5. 13. 09:16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 ​ 프랑스 끌레미(CLEMI, 미디어 정보 교육 연계 센터) ‘2022년 언론 주간 교육 가이드’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 ​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 ​ ​ ​ 정보 통신 사회에서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정보에 입각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프랑스 ‘학교에서의 미디어와 언론 주간’이 지난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됐다. 2022년의 언론 주간의 주제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정보 얻기‘로, 올해의 테마를 위해 끌레미는 교육 가이드를 배포했다. 교육 가이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 ​ 첫 번째는 ‘표현의 자유에 대해 질문하기’다.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에서 때때로 통제되지 않는 표현과 마주하게 되면 표현의 자유의 한..

2022. 5. 11. 09:20
1 ··· 38 39 40 41 42 43 44 ··· 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