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569)
-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미디어 리터러시 빠진 온라인 교육은 범죄” [미디어교육 석학 인터뷰] 헨리 젠킨스 USC 교수 한국은 1991년에야 국제연합(유엔)에 북한과 동시에 가입했지만, 1950년부터 유엔 교육사회문화기구(유네스크)에 가입해 활동했다. 2020년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가입 70돌을 맞아 유네스코가 해마다 10월 마지막 주에 개최하는 ‘세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대표회의(GMIL)’를 한국에서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2020년 주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디스인포데믹(허위정보 범람 현상)에 저항하다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다. 글 구본권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모든 시민이 정보를 유통할 때 좀 더 관심을 갖고 책임감을 갖기 바란다. 또 시민들이 각자 의존하는 정보 출처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2021.01.29 -
대상·주제별 세분화로 교육성·재미 모두 살려
대상·주제별 세분화로 교육성·재미 모두 살려 2020년 미디어 리터러시 홍보 영상 소개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뉴스의 분별력 있는 이용과 책임 있는 활용,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미디어 리터러시 홍보 영상을 제작해왔다. 2020년 홍보 영상을 소개한다. 글 곽은경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과장) 2020년에 제작한 미디어 리터러시 영상은 댓글 문화,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게임 리터러시, 유튜브, 유아 미디어 이용 습관 등 조금 무거운 내용을 재미있는 방법으로 구성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그동안 재단에서 협찬하거나, 제작했던 홍보 영상으로는 ▲(2016년) ▲(국범근 쥐픽쳐스 대표 편 / 박재홍 CBS앵커 편 / 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편 / 하..
2021.01.26 -
비전문가를 위한 가짜뉴스 판별 도구
비전문가를 위한 가짜뉴스 판별 도구 대학생이 만든 팩트체킹 웹 사이트 ‘올체커’ 지금 내가 보고 있는 뉴스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아리송할 때 쉽게 팩트체킹 해볼 수 있는 웹 사이트가 있다면? 이런 질문을 던지고 직접 해결에 나선 대학생들이 있다. 경인교대 컴퓨터교육과 전공 학생들이 개발한 일반 시민을 위한 팩트체크 사이트 ‘올체커’를 소개한다. 글 최유리 (경인교대 2학년) 우리는 가짜뉴스를 다룰 인력이 부족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이 보편화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시민이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팩트체킹 사이트를 고안했다. 한 손에 미디어를 담고 살아가는 사회에서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누구나 정보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
2021.01.22 -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참가자들이 말하는 뉴스일기를 통해 배우고 싶은 점!
공모전 참가자들이 말하는 뉴스일기를 작성하며 배우고 싶은 점! 제2회 공모전이 중반부에 접어들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뉴스일기를 작성하며 참여하고 계신데요! 어떤 계기로 뉴스일기를 시작하게 되었을까요? 여러분은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에 참여하여 어떤 것을 배우고 싶나요? 직접 그 답을 들어보았습니다!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라는 것을 알면 좋겠어요(홍수지님)” 다양한 뉴스를 읽으며 하나의 사건에 대해서도 여러 시각이 존재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동시에 나의 입장은 어떤지 정리해보는 것도 좋겠죠? “사실 여부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고 확인하는 능력(민지훈님)” 뉴스의 내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훈련도 가능하죠~! “선입견이 없는 통찰력(서윤하님)” 편하고 익숙한 방법으로만 뉴스를 소비..
2021.01.22 -
이론과 실습이 조화로운 ‘허위정보 분별 교육’,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에서!
이론과 실습이 조화로운 ‘허위정보 분별 교육’ 서울대 팩트체크센터의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 2020년 10월 31일~11월 1일 서울대학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는 온라인으로 서울 시내 고등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을 진행했다. 언론사-대학의 협업 팩트체크 플랫폼을 운영하는 SNU팩트체크센터에서 교육적 일환으로 처음 시도해본 프로그램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대학·지역사회 연계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교육적 시도를 해볼 수 있었다.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의 내용과 성과, 시사점을 공유한다. 글 양소은 (서울대 SNU팩트체크센터 연구원) 여러 수준의 팩트체크 교육 실습에 대한 기본적 틀과 지도안이 마련되어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2021.01.21 -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국내 미디어 업계의 미디어교육 참여 현황 및 과제 2020년은 예고도 없이 비대면 원격 교육이 갑자기 시작되면서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한 해였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와 해외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긴급 점검해보고, 특히 미디어 업계의 교육 참여 정도를 비교해보는 자리를 준비했다. 글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미디어 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미디어와 관련된 기관이나 단체 그리고 기업은 건전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것과 더불어 미디어 이용자를 위한 보편적 미디어교육에 대한 책임이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가장 큰 특징이 여러 유형의 공공 자산을 사용해 발생하는 ‘공공재’이거나 혹은 ‘공공재적인’ 성격을..
2021.01.18